NIGHT HEAD

1 개요

1992년 10월 8일부터 1993년 3월 18일까지 후지테레비 계열에서 심야에 방송된 21화짜리 일본 SF 드라마.
초능력을 가진 키리하라 나오토와 나오야 형제의 가혹한 운명을 그려, 컬트적인 인기를 얻었다.

원안이 된 건 기묘한 이야기에서 이이다 죠지가 각본, 연출을 맡은 상식술집(常識酒場)[1]과 트러블 카페(トラブル・カフェ). 이 때 형제를 맡은 배우는 이마이 마사유키토네사쿠 토시히데[2].

엔딩 영상에서는 롱고롱고 문자가 비춰지는 등 초 고대 문명과 정신 세계 등의 요소도 스토리에 포함되어 있다.

초능력이란 당시로선 낡은 주제로 결코 히트하지 않을 것이라고 제작자 측에서 예상하고 있었는데 한 시즌 종료 후, 심야 방송에도 불구하고 압도적인 인기를 얻었다. 본작은 초능력을 가진 사람에 대해 긍정적으로 그린 기존 경향과는 달리 초능력자의 괴로움이나 슬픔, 불행 등을 보였던 점이 참신하게 받아들여졌으며 어디까지나 진지하고 비극적으로 전개한 것이 당시 많은 시청자의 공감을 얻었다. 주연에 미남 배우들을 기용하여 여성층의 호응을 얻은 것도 인기 요인이라고 한다.

여담이지만 드라마 오프닝의 자막과 애니메이션 나레이션의 내용은 지금까지 밝혀진 뇌의 진실과 상당히 동떨어져있다. 항목 참고.

2 파생 작품

일본 만화 / 목록일본 애니메이션 / 목록
· · · · · · · · · · · · ·
숫자 · 라틴 문자
· · · · · · · · · · · · ·
숫자 · 라틴 문자


후에 영화[3], 소설[4], 만화[5], 비디오 게임도 제작되었다. 2006년 6월에는 본 작품을 기반으로 한 애니메이션 NIGHT HEAD GENESIS가 방영되기도 하였다.

3 줄거리

4 등장인물

4.1 주인공

  • 키리하라 나오토

사이코키네시스 능력을 가진 초능력자. 스푼 굽히기는 기본에 주위의 사물을 파괴할 정도로 큰 능력을 갖고 있지만 컨트롤이 어렵고 감정이 격화되면 분노의 크기에 비례하여 무의식 중에 주위의 물체나 사람을 상처입힌다. 태어나서 울었을 때에는 시계가 마구 울리거나 장난감이 부서지는 등의 현상을 일으켜 부모를 불안하게 했으며 성장하면서 그 힘은 더 강해져 초등학교 입학 후에도 싸움을 하다가 무의식적으로 상대를 다치게 만들어 괴물이라고 불리며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다. 초능력의 강함이 감정에 좌우되는데다 본인 또한 성급하고 상대의 도발에 넘어가기 쉬워 그때마다 상대에 상처를 입는 동시에 자신의 마음도 다치는 악순환을 되풀이했는데 결국 어떤 사건[6]을 계기로 나오야와 함께 능력이 전면적으로 개화해버린다. 보통 생활을 보내는 것조차 어려워진 무렵 어디선가 두 사람의 소문을 들은 초능력 연구소 소장, 미쿠리야가 나타난다. 그의 설득을 받은 부모에게 수면제를 받아먹은 두 사람[7]은 초능력 연구소에 보내져 15년 동안 사회와는 동떨어진 생활을 보내게 되었다. 기억력도 뛰어나 초능력 연구소 생활에서는 많은 책을 독파했으며 차의 운전 메뉴얼도 익혀 "결계"가 풀린 뒤에는 작은 연습으로 차를 운전해 연구소에서 탈주하는 데 성공한다. 이야기 초반에는 자신의 초능력에 고심하고 일반 사회에서 "평범한 생활"을 보내기 위해 능력을 억제하는 것을 의식하면서 살아왔지만 성장하면서 자신의 힘은 동생을 지키기 위한 것이라고 깨닫게 된다. 미사키 노인이나 후타미 쇼코가 제시한 변혁[8]의 길을 나오야와 둘이서 찾게 된다. 막바지에서 나오야의 위기에 대응해 순간이동(텔레포트) 능력도 익힌다.

드라마 배우는 토요카와 에츠시, 애니메이션 성우는 모리카와 토시유키.

  • 키리하라 나오야

상대의 마음을 읽는 리딩 능력을 가졌다. 나오토처럼 능력의 조절이 어려우며 특히 남에게 조금이라도 닿으면 강제로 상대의 생각이 보인다. 더구나 질투와 살의, 추악한 욕망 같은 마이너스 의식이 더욱 강조되어 나오야의 머리에 쏟아져 들어오는 성질이 있어, 그 때마다 큰 충격을 받다 혼절해 버린다. 그래서 형 이외에는 늘 남과 접촉을 피할 수밖에 없어 형 이상으로 "보통 사람의 생활"을 강하게 동경했다. 게다가 마음이 읽힌 대상자는 살짝 자신의 마이너스 의식이 그대로 자신에 피드백되기 때문에 나오야에 의해 그것이 언급되는 순간 설명 불가능한 막연한 혐오감이 발생한다. 대부분의 경우 그 혐오감은 반사적으로 그대로 나오야에게 쏠리는 경향에 있다. 어린 시절에는 자폐증이라고 진단되거나 인간의 거대한 마이너스 의식을 보는 바람에 기절한 채 의식 불명으로 그대로 정신 병원에 보내지기도 했다. 그러나 자신보다 타인이 상처받는 것을 두려워하는 마음 상냥한 성품으로 자신의 목숨을 노리는 인간에게도 연민의 마음을 나타내거나 동정하는 모습을 보인다. 나오토는 상처 입기 쉬운 동생을 지키려는 성향이 강하여 어린 시절부터 늘 함께하였다. 그래서 나오토는 아무것도 숨기는 일이 없는 상태지만, 그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할 만큼 두 사람은 강한 유대감을 가지고 있다. 연구소 탈출 후에는 리딩에 더해 예지 능력도 발현한 적이 있고 이야기의 종반에는 치유 능력도 싹트며 이윽고 그가 "변혁"때의 구세주가 되어 나타난다.

드라마 배우는 타케다 신지[9], 애니메이션 성우는 이시다 아키라.

4.2 초능력자

  • 미사키 노인

절대적 힘을 가진 초능력자로 형제가 지내던 연구소 일대에 결계[10]를 치고 형제를 데리고 오도록 지시했던 장본인. 어느 인류보다 더 긴 삶을 살았다는 듯. 형제는 작품 시작 시점에 그가 죽으면서 결계가 소멸함에 따라 밖에 나갈 수 있었다.

드라마 배우는 稲葉松雄, 애니메이션 성우는 우에다 요우지.

  • 후타미 쇼코

"힘"의 극한에 이르러 육체가 소멸되어 정신체가 된 소녀. 키리하라 형제 앞에 자주 나타나서는 두 사람을 이끈다. 마지막에는 더 고위의 다른 세계로 떠나는 길을 택한다.

드라마 배우는 야마구치 리에라[11], 애니메이션 성우는 와타나베 아케노.

  • 카미야 츠카사

예지 능력자로 자신의 말이 주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 자신이 본 예지를 보통 사람들에게 자주 이야기했다. 바이러스에 의한 인류 멸망을 예견하여 그 원흉이 된 쿠라하시 카나코와 형제가 관련되어 있다고 말했다. 소네자키의 마인드 컨트롤에 의해 살해되었다.

드라마 배우는 오기 시게미츠, 애니메이션 성우는 유사 코지.

  • 유지마 마사유키

초등학생. 할아버지를 괴롭힌 동네 노인을 자살을 위장한 마인드 컨트롤로 살해했으며, 기르던 개를 산책 중에 뺑소니 사고로 죽인 오토바이를 타던 고교생들을 같이 살해했다. 형제의 설득에 따라 어머니와 함께 초능력 연구소에 가게 된다. 미쿠리야에 의한 훈련 결과, 연구소 붕괴 후에는 거의 능력을 낼 수 없게 됐다.

  • 아마모토 사키에

극장판에 등장하는 여고생. 텔레파시의 변형으로 자신의 감정을 의사와 상관없이 주변에 전달해 버렸다. 이 때문에 어려서부터 집단따돌림을 당했는데 한 번은 죽어버리고 싶다고 생각했는데 이로 인해 옆 반에 있던 학생이 교실에서 뛰어내리기도 했다. 오쿠하라는 이 능력을 흡수해 전 인류의 의식을 하나로 하려 했다.

배우는 코지마 히지리, 애니메이션 성우는 센다이 에리.

4.3 ARK

겉으로는 무역상을 하는 대기업이지만 사원은 모두 초능력자이며 놀라울 정도의 적은 인원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름은 "방주"를 의미한다. 사장인 오쿠하라 아키코의 절대적인 예지 능력을 살려 정재계에도 깊게 관련되어 있고 마음만 먹으면 세계 정복도 실현 가능한 정도의 영향력이 있다. 그들의 목적은 변혁을 부정하고 인류를 위해서 물질 세계와 정신 세계의 공존을 도모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많은 일반인을 초능력을 이해 못하는 100마리째 원숭이 로 깔보고 있으며 그들이 말하는 인류는 자신들을 포함한 선택된 소수의 인간을 의미한다. 극장판에서 아마모토 사키에의 정신을 붕괴시켜 그 감정을 전염하는 능력을 대륙을 지배할 만큼 증폭시켜 인류 전체의 사상을 통제하려고 했다. 또 일상 업무로서, 초능력의 소양이 있는 자를 스카우트해 더 능력을 늘리기 위한 나이트 헤드 프로젝트를 사내에서 실시하고 있어 나오토와 나오야에 대해서도 "흡수 혹은 제거" 목적으로 접근한다.

  • 미쿠모 겐고
  • 소네자키 미치오
  • 후타미 요시키
  • 츠즈키 요스케

4.4 그 외 인물

  • 미쿠리야 쿄지로

초능력을 연구하는 과학자. 어떤 현의 산 속에 초능력 연구소를 설립하여 소장이 된다. 경시청에 지인(초능력이 얽힌 사건에 대해 연락을 취하고 있다)이 있으며, 초능력 관련 사건 등의 정보를 쥐고 있다. 정신병원에서의 사건 이후 나오토와 나오야를 데리고 왔다. 나오토의 분노의 화살이 자기에게 향하게 하는 것 행동을 하면서 두 사람을 나름대로 부드럽게 지켜본다. 나오토와 나오야의 탈출을 금방 눈치챘지만, 쫓아서는 안 된다고 다짐했다. ARK에 의한 연구소 붕괴 후, 격리되었지만 형제의 힘을 빌려 탈출하여 나중에는 러시아로 떠났다. 이 때에 3명은 화해한다.

배우는 후지타 토시야, 애니메이션 성우는 나카무라 히데토시.

  • 키리하라 유키히코, 나오미

형제의 부모. 어머니는 남편과 아이들을 위해 집안일을 하는 것에 행복을 느끼는 가정적인 여인이었으며 아버지는 장난감 회사를 운영하여 시제품을 가져와 아이들에게 가지고 놀게 했다. 하지만 형제의 힘에 두려움을 느껴 형제에게 수면제를 먹여 연구소에 보낸다.

연구소 탈출 시 시간축이 뒤틀려 부모님의 과거는 형제가 기억하는 과거와 달라졌다. 성은 키리하라(霧原)에서 키리하라(桐原)로 바뀌었으며 형제는 어린 시절에 친구인 소녀와 함께 공원에서 놀 때 연못에 빠진 소녀를 구출하다가 익사한 것으로 기억되고 있었다. 형제의 도움을 받은 소녀의 부모의 지원으로 시계점을 운영하고 있었지만, 형제가 부모를 만나러 올 것을 예견했던 오쿠하라가 소네자키를 들여보내 형제의 소행으로 위장하여 소네자키를 통해 가게를 부순다. "그럴 리가 없다"고 생각하면서도 어머니 쪽은 나오야의 모습에서 어린 시절에 죽은 것으로 기억하는 나오야의 모습을 찾고 있었다.
  1. 이 편의 줄거리가 그대로 1화에 쓰였다.
  2. 나중에 이마이 마사유키는 방송 프로그램의 호평을 받아 제작된 스페셜 프로그램 NIGHT HEAD THE OTHER SIDE에서 주연인 형사를 맡았다.
  3. 원작자 이이다 죠지 본인이 감독
  4. 이이다 죠지 본인에 의한 집필된 소설. 1~4권은 1화 완결의 옴니버스 형식인 드라마판에 비해 전체적으로 이야기가 이어지는 1편의 장편 소설로 형성되었다. 드라마에 등장한 인물이나 에피소드가 등장하지 않지만 소설이라는 매체를 살린 보다 깊은 심리 묘사가 특징으로, 미사용 에피소드도 곳곳이 바뀌어서 본편에 활용되고 있다. NIGHT HEAD THE TRIAL은 속편으로 영화판의 내용을 답습하고 있다. NIGHT HEAD DEEP FOREST는 드라마나 영화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연구소 생활 시절의 형제의 이야기 등의 외전이 2편, 그 후일담 1편으로 세편이 실려 있다. NIGHT HEAD 誘発者(유발자)는 THE TRIAL 이후 4년 후를 다룬 속편으로 완결편이다. 애니메이션 종반 에피소드에 해당한다.
  5. 한국에도 2001년도에 전 8권 정발되었었다
  6. 토지 매매를 빌미로 부모님을 속여 돈을 뜯어내려던 하나오카 가족을 형제가 저지하려 했다
  7. 당시 나오토는 12살, 나오야는 6살이었다
  8. 인류가 현재의 물질 문명으로부터 해방되어 정신 문명에 이르는 전환점.
  9. 애니메이션 NIGHT HEAD GENESIS의 나레이션을 맡았다
  10. 드라마와 만화에선 나무들 사이 사이에 밧줄이 쳐져 있는 형태지만 애니에서는 나무 기둥들에 밧줄을 묶어놓은 형태
  11. 야마구치 리에 명의로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