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RCT2

공식 웹사이트

1 개요

테드 존(Ted John, 닉네임 IntelOrca)이라는 영국 버크셔 주 출신의 프로그래머가 롤러코스터 타이쿤 2오픈소스로 배포하기 위해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하고 있는 프로젝트. OpenTTD를 롤모델 삼아 작업하는 것이라고 대놓고 공식 사이트에 써놨다. 2014년 4월 2일에 시작한 프로젝트로, 2016년 4월 현재 안정화 버전은 0.0.4이며 개발 버전은 6월 14일 기준으로 0.0.5가 진행 중이다.

개발 버전은 각종 버그와 기능 향상이 매일 수시로 반영·업데이트된다. 일단은 TTDPatchOpenTTD의 초기 버전 때 처럼 기존 RCT2 정품이 있어야 플레이가 가능하고,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데모 버전을 이용해도 동일하게 플레이할 수 있으니 10달러가 아깝다면 이 방법(한국어 설명)을 써보도록 하자. 참고로, 이 방법대로 OpenRCT2를 시작한다면 롤러코스터 타이쿤 2 확장팩의 시나리오를 실행할 수 없다. 이럴 때에는 데모 버전의 ObjData 파일을 전부 OpenRCT2 경로에 붙여 넣으면 된다. 위의 한국어 설명 링크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버그를 계속해서 잡고는 있지만 아직은 생각보다 자주 버그가 나타나니 주의해야 하며, 유사 프로젝트인 OpenTTD 또한 비동기화 문제로 자주 골치를 앓는 편이다. UTF-8을 지원하기 시작해서 비영어권 번역도 추가되고 있고 그에 따라 한국어 번역도 추가되었다.[1] 대한민국 원화(KRW)도 추가되었다.[2]

2 기존 게임과의 차이점

2.1 추가점

  • 창 모드 가능
창모드는 RCT1에는 있었으나, RCT2는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창 모드 플레이가 불가능했다.
  • 타이틀 시퀀스[3]를 새로 만들거나 편집하는 기능
  • RCT1 & RCT2 스타일의 디자인 중에서 선택 가능
꼭 RCT1/2 스타일이 아니더라도 내 마음대로 게임 UI 색상을 편집할 수 있다.
  • 자동 저장 기능
  • 트위치 방송과 연동 기능
트위치 시청자 이름을 손님 이름으로 지정하거나, 트위치의 채팅 알림을 게임의 하단에 알람을 띄울 수가 있다.
  • 각종 치트 지원
이러한 치트는 기존 RCT2 및 1에서는 에디터 등을 이용해야만 했던 기능이다.
단축키는 OpenTTD와 마찬가지로 Ctrl+Alt+C이다.
다음 치트를 사용할 수 있다.
  • 돈 늘리기, 놀이기구 고장 없애기, 공원 등급 고정, 잔디 청소, 고장 없애기, 손님 잔뜩 부르기, 손님 터트리기, 날씨 고정, 꽃 시듦 방지
  • 트랙이나 시설물 겹쳐 짓기 기능[4]
  • 건설 높이 제한 해제 기능
  • 이외 놀이공원 설정 변경 등 시나리오에서 지정한 제한 해제 기능
  • 시나리오 에디터에 필터 기능 추가
  • 한국어 번역
특히 그 시절의 향수를 느끼라고 기본 글씨체를 굴림으로 설정해놓았다. 한국어 번역 초기에는 맑은 고딕으로 설정되어 있었다.
(문서)/OpenRCT2/config.ini 파일을 수정하면 다른 글씨체를 설정할 수도 있다.
  • 배너, 놀이기구 입구 전광판 등에서 한글 출력 가능
1편과 2편에서는 ---- 로만 나오던 한글 문구들이 제대로 나타난다.
  • 직원(스탭) 고용하기 버튼을 누르면 위치를 자동으로 배치시켜주는 설정 추가
손님이 있는 곳에 무작위로 배치되므로, 아직 손님이 없는 경우 등은 수동으로 재배치를 시켜야 할 수 있다.
  • RCT2용으로 변환된 RCT1 시나리오를 추가하여 플레이 가능 다운로드 링크[5]
  • RCT1 저장 파일을 불러와 편집
다만 이 기능은 아직 완전하지 않아 콘솔에서 openrct2 edit 파일명.sv4 명령어를 입력해 OpenRCT를 실행해야 한다. 또한 놀이기구 등은 RCT1/2간 차이점 등으로 인해 불러와지지 않는다.
  • 화면 확대 기능
  • 리눅스 & 맥 네이티브 구동
다만 맥은 글꼴 문제[6]로 한글을 지정해도 한글이 보이지 않는다. 이곳을 참고해 한글 폰트 설정이 가능하다.

2.2 멀티플레이

여러 사람들이 하나의 공원을 만드는 방식이며, 아직 여러 부분에서 불안정한 요소가 많아 자주 튕기는 걸 감수해야 한다.
국내 서버라도 높은 확률로 들어가자마자 비동기 오류가 발생한다. 아직 안정화가 덜 되어 발생하는 현상.
  • 멀티 접속자를 그룹별로 관리하는 기능
이 기능이 없을 당시 멀티에서 지형 편집 등을 이용한 테러 행위가 많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추가된 기능. 각 그룹별로 할 수 있는 기능(eg. 지형 편집, 놀이기구 건설 등)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 RSA를 이용한 비대칭 키 인증
멀티플레이 접속시 RSA 알고리즘을 이용한 키 인증을 통해 사용자를 구분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를 통해 유저의 소속 그룹을 서버가 기억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접속자가 매번 들어올 때마다 서버 관리자가 유저 그룹 설정을 매번 건드려줄 필요가 없다. 이를 이용해서 서버 부관리자를 지정할 수 있다.

2.3 모바일 플레이

ExaGear Strategies라는 앱을 통해 핸드폰에서 이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단 이 앱은 3일까지는 무료이며 이후부터는 구매가 필요하다. 실행 영상은 여기서 보자.

  • 준비물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ExaGear Strategies 앱, OpenRCT2 윈도우용 무설치 폴더에 Data 폴더 등 데모나 정품에서 추출한폴더를 넣은 것이 필요하다.
  • 방법
간단하다. Openrct2 폴더를 내장메모리에 있는 Exagear 폴더에 넣으면 끝난다.
  • 장단점
좋은 점은 폰에서 PC 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이겠지만... 폰이 왠만큼 좋지 않으면 이 미친듯이 발생해 멀티플레이는 고사하고 싱글도 힘들 지경이다. 핸드폰이 좋은 위키러라면 한번 도전해보자.[7]

안드로이드의 경우 네이티브 앱으로의 컨버팅이 진행 중이니 기대해볼만 하다.[8][9]

3 여담

기존 RCT2에서는 시나리오 이름/설명, 오브젝트 이름 등이 CP-1252에 기반한 고유한 인코딩으로 저장되어 있었는데 OpenRCT2에서 UTF-8을 지원해버리면서 한국어 기준으로 모든 시나리오의 이름/설명과 오브젝트의 이름이 죄다 깨져서 나왔었다. 개발 중인 0.0.5 버전을 기준으로 오브젝트 및 시나리오 이름 등이 깨져서 나오던 문제는 어느 정도 개선이 된 상황.
펜티엄4에서도 잘 돌아가긴 하지만 그래도 원본과 비교한다면 랙이 다소 있다. 이는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코드를 역분석하여 다시 C언어로 코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생긴 문제이다. 아직 초기 버전인데다 부족한 부분이 많고[10], 최적화가 이뤄지지 않았다. 따라서 정식버전이 출시되기 전까지 랙을 감수하고 플레이해야 한다. 하지만 처리하는 양의 방대함을 생각해보면, 이러한 체감 랙의 차이가 롤러코스터 타이쿤 원본이 어셈블리어로 작성되었고, 심지어 최적화도 매우 잘 돼있어서 더 커보이는 영향도 있긴 하다. 물론, OpenRCT2 자체도 랙이 드물긴 하지만, 원본에 비할 바가 못 된다.
일부 백신 Sandbox기능과 충돌이 있다.[11]

홈페이지에서 받는 OpenRCT2는 XP를 지원해주지 않는데 여기에서 받은 openrct2.dll 파일을 설치한 곳에 덮어씌우면 XP 에서도 OpenRCT2를 즐길 수 있다.
  1. Github 참고
  2. 소스 코드 내에 원화 환율은 OpenTTD와 마찬가지로 £1 = ₩1,850로 설정되어 있지만 기술적인 문제로 아직은 기존 RCT2처럼 $1=£1=₩1,000 으로 바뀐다.
  3. 게임을 처음 실행하면 나오는, 여러 군데의 공원 모습이 나오는 화면.
  4. 겹쳐짓기를 응용하면 이런 식의 독특한 롤러코스터도 만들 수 있다. [1]
  5. 이 시나리오는 오리지널 RCT2에 추가해도 사용할 수 있다.
  6. OpenRCT2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굴림체를 기본 글꼴로 사용한다.
  7. 버벅임을 줄이려면 Exagear 옵션에서 Colour Depth를 15 bpp로 맞춰주고, OpenRCT2 게임 내 옵션에서 Uncap FPS를 체크해주면 된다. 초당 3~40프레임 정도, 혹은 그 이상 정도로 나온다.
  8. 실제로 ARM이 내장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포트된 네이티브 앱이 나왔다.
  9. 그러나 이게 웬만한 폰도 초당 20프레임을 못 넘긴다. 게다가 대부분의 폰이 실행시키자마자 하얀 화면만 뜨고 몇 초 후에 꺼져버린다. 차라리 좀 버벅거리지만 그래도 초당 30FPS 정도는 나오는 Exagear를 통해 플레이하는 걸 권장한다.
  10. 안정화 버전이 아닌 경우 리버전 하나만 달라져도 없던 버그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클리어하지 않은 시나리오 목록이 증발하곤 한다.
  11. OpenRCT2 세이브 파일 폴더를 찾을 수 없다든가, 랙이 심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