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O F.O.W

주의. 성(性)적 내용이 포함된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성(性)적인 요소에 대해 직간접적인 언급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읽는 이에 따라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이 문서를 열람하실 때 주의하시기 바라며 원치 않으시면 문서를 닫아주세요.


Studio.png

1 개요

SFM을 사용하여 동인 3D 그래픽 포르노 동영상을 제작하는 동인 서클이다.만드는 동영상은 현재 100% 게임 캐릭터를 사용하고 있다. 친절하게도 어떤 메뉴를 클릭해서 화면이 변하건 무조건 성인인지 물어보는 페이지가 나온다. 어떤 의미로는 양심적이라고 봐야하는지 생각되는 곳

2 특징

2.1 영상길이

영상들이 대체로 10분에서 길면 30분이 넘는 영상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제작팀과 성우팀들이 따로 있는 터라 캐릭터들의 대사들까지도 직접 하는 경우가 많다. 대체로 SFM야동제작자들의 특징이 단독으로 제작하는 한계상 대사가 없거나 영상을 길게 만들기 힘들어서 10초 미만의 Gif 형식의 영상이 한계인데 F.O.W는 팀으로 구성되어있는 터라 영상을 길게 만들고 그 안에 가상스토리도 구성하는 특징이 있다.

2.2 국제성

서양권을 기반으로 두고 영어를 쓰고 있으나 팀원중에서는 일본인도 있으며 멤버들은 전세계에서 모은 다국적으로 구성되어있다.
동영상에서 나오는 캐릭터 역시 동서양를 막론하고 선택되고 있다.
한국인 멤버도 필요하다는 듯.(후방주의) 조건이 무지하게 까다롭다 참고로 저 후방주의짤은 키스x시스 TVA 7화의 장면이다

2.3 수익 방식

일반적인 동인 서클은 작품을 일정금액을 받고 판매하는 형식을 주로 취하고 있으나 이 서클은 전 작품을 인터넷에 무료 공개한다.
대신 Patreon이라는 후원 사이트를 통하여 공개적으로 후원자를 모집하고 후원자로부터 기부금을 받는 형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형식으로 비영리활동이라는 동인 본연의 정신과 서클 운영 자금이라는 현실을 조화롭게 만족시키고 있다. 2016년 9월 기준 매달 15000달러 이상의 후원금을 받고 있다.

2.4 높은 퀄리티

원본 모델링에서 추출하고 SFM용으로 포팅한 모델과[1] 애니메이션은 그 퀄리티가 여타 3D 그래픽 포르노 동영상과 비교하여 매우 높은 수준으로 완성되어있다. 또한 캐릭터 선정도 합리적인데 동서양 양쪽의 기준으로 봐서도 인정할만한 인기 높은 캐릭터를 적절하게 선정하여[2]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3 공개된 작품들

하단의 작품들은 대부분 10분~20분 길이이며, [FOW-숫자]형식의 고유 품번이 있다. 이 외에도 매월 나오는 1~2분대의 짧은 작품들이 있다. 짧은 작품에 한해선 남성향 여성향을 안 가리는듯... 영상 외에 클릭을 통한 플래시 게임 형식의 작품도 있다. 짧은 작품, 플래시형 작품은 공식 홈페이지의 겔러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3.1 Lara In Trouble

툼 레이더라라 크로프트를 히로인으로 한 첫 작품이다.

3.2 Kunoichi: Broken Princess

300px

DOA5의 카스미를 히로인으로 한 두번째 작품이다.
처음으로 PV 동영상을 유튜브에 게재하였으며 포르노 동영상으로써 작품을 충실하게 완성하여 관심을 불러 모으는데 성공하였다.
이 작품으로 이 서클의 인지도가 본격적으로 향상되었다. 2014년 11월 28일에 공개되었다.

3.3 Arena of Depravity - Coliseum of Lust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이렐을 히로인으로 한 세번째 작품이다.
이 작품은 상대 남성역의 캐릭터를 강철호드의 오크들중에서 후원자들의 투표로 결정하였는데 유연한 남자가 1위로 오르는 기염을 토하면서 능욕자로 선정되었다.
플레이어들이 이렐을 처음 만나는 시점, 즉 어둠의 문 공격 퀘스트에서 광산 노예가 되기 전의 이렐의 유연성 테스트 스토리라는 느낌으로 제작되었다. 이렐이 탈출하는 것으로 결말이 나지만 투기장에서 카르가스를 위시한 강철호드 오크들과 서슬니(...)에게 능욕당하는 내용이라고.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동인물 제작팀으로 요지부동의 1위(...)를 달리는 Rexxart 팀이 제작에 참여하여 작품의 완성도가 매우 높다.

작품 공개전부터 투표라던가, 짤방 공개라던가... 하는 등의 홍보에 열을 올렸음에도 타 작품들과는 달리 홈페이지에 본 작품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구글에 뒤지다 보면 MEGA 링크 정도는 찾을 수 있다. 해봤거든.

3.4 Bioshag: Trinity

바이오쇼크 인피니트의 엘리자베스를 히로인으로 한 네번째 작품이다. DLC 포함 원작스포가 산재해있으니 미 플레이자는 주의.
2015년 7월 4일에 공개되었다.

3.5 Kunoichi 2: Fall of the Shrinemaiden

DOA5모미지를 히로인으로 한 작품이다. 전작인 Kunoichi에서 이어지는 스토리다. 2015년 11월 13일 공개되었다.
2016년 04월 14일 Kunoichi 2 DLC - Beastly Bacchanalia가 공개되었다.

3.6 Scarlet Nights EP 01. FEVER

DC 코믹스의 캐릭터들을 대상으로 하는 시리즈물인 Scarlet Nights의 첫 번째 작품으로, 2016년 06월 28일 공개되었다. 이번 작은 여자 빌런 할리 퀸을 히로인으로 삼았고, 앞으로 적어도 2편의 에피소드가 추가로 공개될 것이라고 한다.

4 제작중인 작품

STUDIO F.O.W 공식 홈페이지에서 완성 정도를 퍼센트로 알 수 있다.

4.1 Nightmare: Code Valentine

파일:MbPmTzS.jpg
바이오하자드질 발렌타인을 히로인으로 한 작품이다.

4.2 Asstroid:Primed

메트로이드 시리즈의 사무스 아란을 히로인으로 한 작품이다.
현재 5% 완성되었다.

4.3 Witch Hunt

월 후원 9000달러 돌파 목표 달성 보상[3]을 만족시켜 제작이 시작된 위쳐 3의 동인 작품이다.

4.4 Kunoichi 3

2016년 1월 중순 STUDIO F.O.W 후원 사이트인 Patreon에서 히로인의 모델링을 끝마쳤다는 글이 올라왔다. 히로인은 Kunoichi 2 엔딩 크레딧 직전에 등장하였던 DOA5아야네. 개봉연도는 2017년이다.

5 그 외

스카웃이 영상에서 약방의 감초마냥 등장한다. 그 이유는 제작팀의 서열 2위에 해당하며, 3D모델링 및 연출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는 Yagskie 의 '상징적'인 캐릭터이기 때문. 실제로 Yagskie가 독자적으로 제작한 GIF파일(수많은...)에도 매우, 다양하게, 큼지막하거나 재미있게.... 등장한다.그런데 후원금 9999달러 돌파 보상이 전 동영상에서 스카웃의 삭제이기 때문에 앞으로는 보기 힘들듯 하다.

5.1 StudioFOW Spring Madness!

StudioFOW Spring Madness!
StudioFOW에서 실시한 토너먼트형 캐릭터 인기투표. 2명의 캐릭터중 가장 표가 많은 캐릭터가 승리하여 다음 대전에 진출하는 방식이다.
캐릭터 선정 기준은 추출할수 있는 고 퀄리티 모델링이 존재하는 캐릭터로 한정되었었다.우승자와 준우승자는 차기 제작 동영상의 히로인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각 투표당 수천명이 참가하는등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그 와중에 부정투표 사건도 발생하여 부정투표로 몰표를 받은 소피티아가 탈락하는등 우여곡절도 있었다.
서구권 유저가 주 참가자였음에도 많은 표를 얻은것은 대부분 일본게임 캐릭터였다는 점이 특이사항.

이 투표의 최종 우승자는 사무스 아란이며 준우승자는 질 발렌타인이다.

  1. 물론 SFM 특유의 질감으로 인하여 원본 모델링과는 차이가 나는 편이다
  2. 선정된 캐릭터는 툼 레이더의 라라 크로프트,DOA의 카스미,바이오쇼크 인피니트의 엘리자베스이며 앞으로 제작될 동영상의 히로인은 DOA의 모미지,바이오하자드의 질 발렌타인,메트로이드의 사무스 아란으로 동서양에서 모두 인기가 높은 캐릭터들이다.
  3. 1년에 1개의 추가적인 동영상 제작 배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