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F1

Télévision française 1(프랑스 제1텔레비전)[1]다만 이것은 공영방송이었을 당시의 명칭으로 지금은 그냥 이니셜만을 사용한다.


공영방송 시절과 민영화 직후, 그리고 현재 쓰이는 로고

1 개요

프랑스 최대의 민영방송국
TF1(떼뻬엉)[2]은 TF1 그룹[3]이 운영하는 프랑스 최대 민영 TV 채널로 본래는 공영이었던 것을 1987년에 민영화한 것.[4] 프랑스 방송 시장 중 24%를 차지하고 있으며, 프랑스의 국제 뉴스 채널인 프랑스 24의 주주 중 하나이다. 자매 채널로 LCI, 유로 스포츠, TF6, TMC 등의 채널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SBS와 문화협정을 맺기도 했다.

2 역사

1935년 4월 26일 프랑스 체신부 산하로 설립된 Radiovision-PTT라는 국영 텔레비전방송에서 출발했다. 이는 세계 최초로 공인된 BBC의 개국년도(1936년 11월 2일)보다 1년 빠른 것이지만 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기도 하다. 이미 이때부터 아침방송(!)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송신은 당연히 예나 지금이나 에펠탑에서 이루어졌다. 1937년 방송 방식을 기계식에서 브라운관식으로 변경하면서 명칭도 'RNT'로 바꾸고 2차대전 직전까지 방송이 유지되었다.

이후 2차대전 당시 독일이 점령하면서 프랑스어 방송이 중지되고 독일어 방송이 행해지는 등의 굴욕을 겪다가(...) 해방 이후 RdF라는 국영방송국으로 재편되면서 'Télévision française'라는 명칭을 처음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1949년 RTF(Radiodiffusion française, 프랑스 라디오공사)가 출범하면서 이 명칭은 잠시 동안 묻혀지게 된다. 1964년 RTF가 ORTF로 명칭이 바뀌면서 광고 개념이 도입되었고 1968년에는 상표가 드러나는 일반적인 상업광고[5]가 허용되기 시작했다. 이후 1975년 ORTF가 해체되고 3개의 방송국(TF1, A2, FR3)으로 쪼개지면서 TF1명칭이 제대로 정착했고, TF1은 이 셋 중에서 가장 장르 종합적이고 전국방송적인 이미지를 구축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때서야 컬러 정규방송이 시작되었다(...)[6] 참고로 공영방송 시절에는 'tf1'이란 명칭보다는 단순히 'La Une'으로 불리는 경우가 더 많았다.

2.1 민영화와 그에 따르는 비판

그러다가 1987년 그 당시 총리였던 자크 시라크에 의해 세계적인 건설기업인 부이그한테 넘겨져 민영화 되었다.[7] 그러나 프랑수아 미테랑이 재선되고나서도 재 공영화 조치는 취하지는 않았는데 이미 격변기를 거친 방송계를 다시 들쑤시기엔 뭐했고 프랑수아 미테랑도 부이그와 사이가 그리 나쁘지는 않았기 때문이었고 또 재 공영화해서 없을 이득이 별로 없다는 이유때문이기도 하다.[8]어쨌든 이 시기 들면서 광고규제도 완화되고 미국 TV프로그램을 수입하거나[9] 스포츠 중계권을 대거 사들이거나 여타 자극적인 프로그램을 제작-방영하면서 A2와 FR3, 카날 플뤼[10], 라쌩끄[11]따윈 제치고 프랑스 방송계의 1인자가 되었고, 민영화된 TF1은 자크 시라크의 든든한 후원자가 되어 논조면에서 특히 보수적인 색체를 띄게 되었다. 어느정도냐면 1995년 대통령 선거때 총리[12]였던 에두아르 발라뒤르 적극적으로 공격하면서 시라크를 도왔다는 말도 있고, 2002년 대통령 선거때 라오넬 죠스팽이 3위로 낙선하고 장 마리 르펜이 17%의 득표율로 결선에 오를수있던 이유가 TF1에서 치안에 대해 부정적인 논조에 기사를 내보내면서 죠스팽을 공격했기라는 얘기가 나올정도[13]

2.2 프로그램

쌍둥이 줄루줄리
  1. 뗄레비지옹 프랑세즈 엉이라고 읽으면 된다 물론 글에 써져있듯이 이제 공영방송국이 아니므로 그냥 떼뻬엉이라고 해야 한다
  2. 영어식으로 읽으면 티에프원이나 프랑스어식으로는 이렇게 읽어야 한다
  3. 정확히는 부이그(Bouygues)라는 건설회사 소유이다. 한국의 SBS와 똑같다. 그리고 둘 다 인맥의 특혜를 받아 탄생되었다
  4. 한국과 반대로 1970 ~ 80년대 프랑스는 제1 채널이 오락 위주였고 제2 채널인 A2, 제3 채널인 FR3가 시사교양 위주였다. 그래서 첫번째 채널이 민영화된 것이다.
  5. 그 전까지는 광고 시간대라도 어느 회사에서 만들었는지는 밝히지 않고 하는 식이었다.
  6. 컬러방송은 1965년 ORTF 제2채널이 처음이다.
  7. 원래는 공영방송국 3곳중 2곳을 민영화할 예정이었지만 이에 대해 반발이 많았고 정치적인 고려도 했기 때문에 TF1만 민영화 했다는 후문이 있다.
  8. 이와 반대로 자크 아탈리의 미테랑 평전에 의하면 미테랑은 TF1을 다시 국유화 하고 싶어했었다고 한다. 그러나 불과 민영화 된지 2년만에 다시 국유화 시킬 경우 이를 빌미로 다수당이 바뀔 때 마다 집권당 마음대로 산업과 은행제도를 바꿀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포기했다고 한다(또 그 당시 총리였던 로카르도 반대할 것이라 생각했었다)
  9. 그래서 현재도 편성비중에서 자체제작 드라마가 별로 없고 미국드라마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10. 이후 이 이름으로 에스파냐 등 유럽 이곳 저곳으로 진출한다.
  11. 그 악명높은 메디아셋이 개입했는데... 망하고, 주파수는 회수되고 공영방송으로 넘겨져 오늘낭의 프랑스 5가 되었다.
  12. 1993년 총선에서 보수진영이 승리하면서 총리로 재임했다.
  13. 정작 죠스팽은 공영방송 광고규제를 강화해서(시간당 최대 12분에서 시간당 9분으로 축소) TF1 경영에 간접적이나마 도움을 줬던 전적이 있기는 하다. 사실 죠스팽도 TF1의 광고수입 증가를 의도한건 아니지만 말이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