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LC

200px-VLC_Icon.svg.png
홈페이지

1 개요

VideoLan Project에서 개발하는 오픈소스 미디어 재생기이다. 윈도우 10에서 DVD 재생을 하려는 사람들에게는 그야말로 빛과 소금. 7까지만 해도 윈도우즈 센터를 무료로 깔 수 있었지만 10에서부터는 뜬금없이 DVD 플레이어 전용 앱을 깔려면 돈을 내야 하기 때문에 대체제로서 이걸 설치하는 사람이 늘어났다.

2 특징

기본적으로 크로스플랫폼으로 개발되었으며 포팅도 잘 되어 있어 리눅스, 매킨토시, 윈도우, FreeBSD 등 여러 곳에서 마구 돌아가며, 심지어 안드로이드iOS용도 있다. 또한 자체 코덱을 내장하여 코덱을 따로 받을 필요도 없으며 한국어도 있어서 사용이 편하지만, 역시 강력한 진입장벽... 그러나, 곰플레이어나 팟플레이어가 없는 리눅스, 매킨토시[1]에선 이걸 쓰는 한국사람도 많다.

공짜고, 내장코덱으로 별 수고 없이 편하게 웬만한 비디오는 다 볼 수 있기 때문에 해외에서는 매우 많은 사람들이 쓰고 있다. 호환성이 높지만서도, 당연히 모든 소프트웨어들이 그렇듯 OS에 따라 기능이 달라지고, 기본적으로 유닉스에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크로스플랫폼이면서 윈도우 버전보다 리눅스 버전이 더 우수한 몇 안 되는 소프트웨어이다.[2] 다음 팟플레이어와 비슷하게 코덱으로 ffmpeg(개발자 중 다수가 mplayer 개발자이기도 하다. 오픈소스라 코드 열람이 가능하고, 곰플이나 팟플도 여기서 코드를 가져다 썼다.[3])와 libmpeg2를 사용하는데, 옵션을 활성화하려면 커맨드라인에서 명령어를 실행해야 한다. 윈도우용에서도 외부 코덱과 EVR을 사용할 수 없다. 그래서 윈도우 사용자들은 잘 사용하지 않지만, 리눅스에서는 모질라 계열 동영상 재생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꽤 쓰이는 편이었지만 요즘은 토템 플레이어가 많이 쓰이면서 그나마도 잘 안 쓰이고 있다.[4]

DVD에서 영상을 추출하는 것도 지원한다. 다만 락을 해제하는 별도의 과정이 필요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자막을 제대로 입혀내지 못한다거나 하는 식으로 쓰기 불편한 점이 많으므로 다른 프로그램을 쓰는 게 낫다. 심지어 추출된 영상 파일이 약간 깨진 상태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m3u8이나 mp4등으로 스트리밍 되는 영상의 경우 파일-Stream으로 동영상파일로 저장이 가능하다. 그래서 가끔 스트리밍만 지원되는 영상 사이트에서 m3u8 주소를 뽑아낸 뒤에 이걸로 저장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굳이 이걸로 삽질하느니 모질라 파이어폭스의 확장을 이용하는 것이 더 편할 수도 있다.

2.1 iOS용

iOS용은 주로 인코딩 문제 때문에 쓰인다. iOS의 기본 동영상 플레이어가 MP4만 지원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기에 유저들 사이에서는 동영상 앱 다운이 거의 필수로 취급받는다. iOS용은 다른 상용 프로그램에 비해 성능이 좀 약하다는 평가가 있었다. 또한 애플의 FairPlay 관련 문제, 즉 FairPlay라는 비GPL 라이선스 앱과 같이 써야 하는 문제 때문에 내려간 적이 있었으나 현재는 GPL, MPL(모질라 공용 라이선스)[5] 외의 듀얼 라이센스로 가면서 다시 복구되었다. 복구되면서 성능도 향상되었는지 현재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매우 만족중. "돈 주고 쓰라고 해도 쓴다"는 평도 있다. 단 기본 자막 인코딩 설정상 한글 자막이 깨져나올 수도 있다. 이때는 자막 설정을 EUC-KR/CP949로 바꾸면 해결된다. 컴퓨터에서 쓸 때는 글자체까지 Arial Unicode MS로 바꿔야 한다.

3 문제

몇몇 문제가 있는데, 예를 들어 자막이나 음성의 싱크를 당기거나 늦추는 것을 50ms 단위로 해서 세세한 싱크를 맞출 때는 좋지만 분 단위로 싱크를 맞출 경우 컴퓨터가 뻗는 것을 마음껏 감상할 수 있다.(...) 또 자막의 크기를 포인트 단위로 설정할 수 없다든지, 가끔식, 음계가 미세하게 내려간다든지 [6], 저화질에서도 영상을 점프하면 음성과 자막은 잠시 후에 로딩된다든지 하는 세세한 문제들이 은근히 많다.

3.1 한국어 및 자막 관련

한국어 시스템에서 사용하기엔 조금 불편한 점이 많은 편이다. 한국어 자막 출력이 특정 폰트[7]에 한해서만 가능하고 그 외의 폰트는 깨져나오기 일쑤이다. 또한 자막 태그 지원이 빈약하기 때문에 이탤릭 설정이나, 색깔이 설정되어 있어도 VLC 자막내의 옵션으로만 출력된다. 하지만 이는 smi 자막에 한정된 문제이다. smi 자막이 MS 에서 만든 윈도우용 자막이기도 하고, 또 한국에서밖에 쓰이지 않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유닉스 플랫폼인데다가 딱히 한국을 타깃으로 삼지도 않은 VLC 같은 경우 smi 자막지원에 미적지근한 편이다. 한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유닉스 오픈소스 플레이어들은 smi 자막지원이 한결같이 신통찮은 것을 보면 VLC가 폰트 제한이 있어도 깨지지 않게 출력한다는게 오히려 대단하다. 반면 해외에서도 자주 쓰이는 ass 자막같은 경우에는 여러가지 화려한 이펙트들이 별 문제없이 잘 표현된다.

4 기타

4.1 아이콘의 유래

아이콘이 동영상 재생과 관련 없는 안전용 콘인 이유가 따로 있다. 개발자중 한명이 술을 먹고 취해 콘을 머리에 쓰고와서이다. 거기에 콘을 아이콘으로 지정할 정도로 젊은 날의 똘끼(?)도 있었다고 한다. 이유

4.2 양덕후들의 동네북?

양덕후들, 특히 4chan에 서식하는 양덕들은 VLC를 매우 싫어한다. 렌더링이 흐리다거나 아티팩트가 더 생긴다거나 색감이 이상하다던가는 미세하지만 확실히 존재하는 차이로 싫어하는가 하면, 어떤 양덕들은[8] 10bit[9] 지원이 없다고 불평하기도 한다. 다만, 10bit 는 애니메이션이 아닌 경우 화질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VLC 뿐 아니라 다른 플레이어들도 지원이 제대로 안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10bit 로 인코딩된 미디어 파일은 GPU 가속조차 이용할 수 없다. 즉, 그냥 양덕들만의 리그. 양덕들의 오픈소스 대안으로 리눅스 유저는 MPlayer[10], 윈도우 유저는 Media Player Classic-HC 그리고 맥 유저는 무개념으로 무시당한다.[11]

사실 팬섭 양덕들이 VLC 를 까는 주된 이유는 가라오케 ass 자막 지원이 안됐다는 점이다. 본인들이 실컷 만들어놨는데 안 돌아가니... 최근에는 libass 를 통해 지원을 하긴 하는데, 저 팬섭이 VSFilter 를 이용하는 Aegisub 이라는 프로그램을 거의 표준처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저것과 호환이 안되는 건 다 까고 본다. 문제는, 저 VSFilter 는 윈도우 전용 API 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호환성에 치명적인 문제가 있고, 크로스플랫폼을 지향하는 프로그램 입장에서는 당연히 사용불가 아이템이 된다. 하지만, 그럼에도 팬섭 양덕들은 저 VSFilter 의 버그조차도 일종의 표준으로 받아들일 정도로 VSFilter 만 사용하며, 심지어 업데이트가 되도 여전히 기존 버전만 고집하고 있을 정도. 여러 모로 팬섭계의 IE6 이라 봐도 무방하다. 한국은 어쩌다보니 smi 자막을 사용하는 식으로 VSFilter 의 마수에서 간단히 비껴나갔다. 물론, 그로 인해 갈라파고스가 된 것은 함정. 사실, 양덕들은 딱히 VLC 만 까는 게 아니고 MPC-HC 와 MPlayer 및 그 변종들 제외하곤 죄다 까는 분위기다. 팟플은 기본 렌더러가 똥이라고 까고 KMPlayer 는 구식이라 까고 기타 등등... 물론,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게중에 제대로 된 의견도 물론 있지만 그 비율은 소수. 특히 자막관련 제외하고 VLC 를 왜 까냐고 정식으로 물어보면 제대로 답을 주는 사람은 거의 없다.

4.3 버전 명

처음 시작 부터 1.1.x 때까진 골든아이의 이름을 써먹다가, 1.1.x 와서 골든아이가 지겨워졌는지 디스크월드 이름을 붙이기 시작했다. VLC 버전명에 역사적으로 최초의 디스크월드 캐릭터는 역시 짐짝(...) 짐짝의 주인들은 그 후에 붙여지게 된다. 특별히 2.2.x 버전이 세 마녀중 대장격인 웨더왁스 임에 불과하고, 테리 프래쳇 경이 사망하여 2.2.1 버전의 버전명은 테리 프레쳇이 되었다. 그리고 VLC 커뮤니티에서는 작정하고 디스크월드 캐릭터를 싸그리 붙여버리는 도미네이션 프로젝트를 개시하고 있다. 현재 개발중인 3.0의 버전 명은 베티나리 쓸려면 이름 다 쓰던가 아님 Lord 붙여라!
  1. 매킨토시용 곰플레이어도 있지만, 아직 베타다.
  2. 그렇기 때문에 곰플, 팟플이 리눅스로 이식된다 해서 윈도우만큼의 기능을 제공해 줄 거라 착각하면 안된다. 반대로 말하면, 곰플, 팟플이 좋아 보이는 것은 절반 이상이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의 덕이다. VLC나 MPlayer 같은 경우는 기본적으로 크로스플랫폼이라 시스템 API나 프레임워크에 별로 의존을 안 하기 때문에, 윈도우에서 다른 미디어 플레이어들에 비해 약해 보일지 몰라도 OS를 떠나 미디어 플레이어 그 자체로만 보면 상황은 급반전된다. 기본적으로 호환성 즉, portability는 코드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3. ffmpeg의 라이센스는 LGPL과 GPL 라이브러리가 혼용되어 있는데 GPL항목에 서술되어 있듯, 소스 코드를 공개하는 대신 이를 사용한 경우 소스코드를 공개할 것을 원칙으로 하는 라이센스이다. ffmpeg의 소스 코드 공개 요청을 철저히 무시한 결과 둘이 사이좋게 Hall of shame에 등재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Hall of shame은 폐쇄상태.
  4. 토템이 많이 쓰이는 것은 그것이 딱히 우수해서라기보다는 가장 인기있는 배포판인 우분투, 아니 Gnome 데스크탑 환경에서 디폴트인 탓이 크다.
  5. MPL은 상용 프로그램이 꼭 쓰여야 하는 경우에는 연결을 허용한다.
  6. 최신 버전에는 옛날 버전보다 덜 내려가고 다시 복구되는 듯 하다.
  7. Windows에서는 보통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나눔글꼴로 해결을 본다. (네이버 한글한글아름답게로 이동하기)
  8. 사실 게중에는 중국 일본쪽 릴그룹이 많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양덕이라 하긴 좀 그렇다.
  9. 외국의 애니 릴리스는 특별한 인코딩인 10bit를 쓰는 그룹이 많이 있다. 한국과 달리 .mkv 를 중요시하고 화질 및 렌더링 퀄리티 대비 저용량인 점을 매우 높이 사기 때문에 10bit를 쓴다 한다. VLC 도 현재는 문제없이 지원이 된다.
  10. MPlayer 는 거의 모든 미디어파일을 다 재생할 수 있다. 요즘 양덕들은 mplayer2 라는 MPlayer 포크를 더 선호하는듯 하며, 그에 걸맞는 프론트엔드를 쓴다
  11. 사실, OS X 도 유닉스라 mplayer2 를 포함하여 리눅스에서 돌아가는 거 대부분 다 돌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