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lum
필름과는 다르다! 필름과는!
로마군 군단병이 제식장비했던 투창이다. 영어식으로 읽어 필럼이라고도 한다.
1 개요
길이는 1.5~2.2m로 창날은 50~70cm, 손잡이는 1~1.5m다. 무게는 2~5kg 정도.
매체에서 보이는 전형적 로마군은 방패와 필룸을 들고 글라디우스를 허리에 차고있는걸로 묘사된다.
중투척병기의 일종으로 가늘고 긴 창날은 상대방 방패에 박힌후 휘어지며 창날과 손잡이를 잇는 추 부분이 매우 무거우므로 이것이 박힌 방패는 너무 무거워지는 데다가 박힌 필룸을 쉽게 뽑아낼수도 없어서 방패를 버릴 수밖에 없어진다. 필룸으로 짤짤이를 넣다가, 상황이 유리해지면 돌진해 접근전으로 들어가는 것이 로마군 전술의 기본이었다.[1] 참고로, 필룸은 일반적인 창처럼 접근 전투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었다. 냉병기 전장에서 팔방미인인 검병이 도저히 커버가 불가능한 부분인 대기병 대응력을 이것으로 해결가능하다.
필룸이 최초로 도입된 시기는 산악 민족이었던 삼니움 족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카우디움의 평화라 불리는 불명예스런 강화를 해야 했던 기원전 321년 이후다. 그때 이후 삼니움 족의 전법을 도입하여 군단병의 전법을 보다 유연하게 개량한 로마군은 여기에 삼니움 족과 에트루리아인들이 사용하던 창날 부분이 긴 던지기 창을 새롭게 도입했으며 전체 군단의 4/5의 병사에게 필룸을 장비시켰다.
이후 필룸은 제정 말기에 베르툼이라는 다트로 무장변경하기 전까지 계속 로마군의 제식무장으로 장비된다. 이 베르툼의 경우 표준 규격이 없고 각자 취향대로 만들었는지 무게와 크기가 천차만별이라 무거운 축의 경우 180~200g 정도이고 말이 다트지 정확하게 말하면 대형화살을 손으로 날리는 것과 크게 차이가 안난다. 다트라고 분류할 때는 중다트라고 말해야 할 정도. 어지간한 현대의 DMR소총이나 경기관총급의 무게인 필룸 하나를 소지할 것을 5~6개 씩 가지고 돌아다니면서 투척이 가능해졌으니 화력이 늘었다. 단, 필룸이 가지는 장점인 비상 시 1회용 대기병용 창의 역할을 더이상 바랄 수 없게 된 것은 큰 단점이 되었다. 뭐 이 부분은 제정시절 파르티아 등과 붙으면서 보강한 원거리 전력과 제정 말기의 기병전력이 커버해 주지만.
2 종류
필룸에는 가벼운 것과 무거운 것이 있었다. 가벼운 것은 멀리 던질 수 있었으며, 주로 먼저 가벼운 것을 던져 적의 기세를 누르고, 접근해서 무거운 것을 던져 적의 방어력을 저하시킨후 글라디우스로 돌격하는 것이 로마군의 주 패턴이었다. 물론 양쪽 다 접근전용으로 사용하는 등 다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훈련되었다.
이중 가벼운 것을 필라(Pila)라고 부른다는 잘못된 오해가 있지만, Pila란 말은 필룸의 복수형이다. 즉 그냥 두개 다 통틀어서 필라라고 하는 것이지 무게에 따라 투창의 이름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에서는 고지대를 이용하여 저지대의 상대에게 필룸 공세를 가하여 유리한 위치에 서기도 했다.
2.1 개량
공화정기에 알려진 개량은 다음과 같다. 가이우스 마리우스에 의해 한 것으로, 창날과 손잡이를 고정하는 철못을 목재 리벳으로 바꿨고,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창날 중앙부분을 일부러 부드럽게 하여 상대방 방패에 뚫고 들어간 후 제풀에 구부러지도록 고안했다. 카이사르의 개혁은 꽤 쓸만했는데, 해서 상대방은 필룸을 역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고, 필룸을 뽑지도 못하게 되어서, 필룸이 박힌 방패는 하는 수 없이 버리게 된다. 이를 통해 상대의 방어능력을 무력화시키고 일방적으로 공격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젔다.
다만 카이사르 이후에도, 개량자를 특정할 수 없다 뿐이지 필룸은 늘 조금씩 바뀌었다.
카이사르 시대엔 가벼운 필룸과 무거운 필룸을 가지고 다녔으나, 무거운 것은 점점 가벼워지고 가벼운 것은 점점 무거워져서, 결국 적어도 트라야누스 시대의 로마군들은 중앙에 무거운 추가 추가된 똑같은 모양의 필룸 자루 두 개를 들고 다니게 되었다.
또한 무게추가 하나가 아닌 둘 달린 것도 점차 보이게 되며, 어떤 이유에선진 모르지만 길이가 이전 시기에 비해 약간 짧아지게 된다. 또한, 필룸의 특징인 독특한 창날은 개성을 상실한 채 그냥 뾰족한 송곳 모양으로 변화하게 된다. 가장 마지막 버전의 필룸이 이것인데, 의외로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몇 년 전의 오스프리 시리즈에서도 후기 로마군은 벌써 세베루스 황제 이후 시절에서도 필룸을 쓰는 게 보이지 않으나 상대적으로 최근 나온 책에선 이 독특한 필룸이 자주 등장한다.
적어도 율리아누스 황제 때까진 계속 썼던 걸로 보이며, 이후 시기, 즉 동서 로마 분열기라 칭하는 스틸리코 시기의 로마군은 필룸 대신 플룸바타리로 부르는 다트를 쓰게 되긴 하지만, 당대인들은 이런 작은 투척 무기도 그냥 필룸이라고 자주 불렀다. 오늘날 우리가 그 시대 로마군에게 왜 필룸을 쓰지 않냐고 물어보면 놀랄지도
3 지급
군단병의 전대인 하스타티와 중반에 있는 프린키페스는 가벼운 것과 무거운 것 모두 소지하지만 후위인 트리알리는 나이에 따른 체력 문제도 있기에(로마군은 나이에 따라서 전위-중위-후위가 결정된다. 후에 폐지되지만) 둘 중 하나만 소지해도 되었다.
참고로 마리우스 개혁 이전의 트리알리는 가벼운 것 대신 4m쯤 되는 하스타(hasta)로 무장했다. 장창병의 특성상 무거운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꽤나 위력적인 무기이기는 했으나 일선 병사들은 이 필룸을 전혀 좋아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이것이 한 번 던지면 끝인 일회용 무기인 주제에 값이 꽤나 비싼데다가, 병사들이 직접 구입해서 써야 하는 캐쉬 아이템(...)이었기 때문이다.
가격이 만만치 않은데다가 1회용이라서 1년에 달랑 3번 받는 빠듯한 월급(로마의 일반노동자 임금과 동일)으로 자신의 장비를 모두 구매/정비해야 하는 로마 병사의 입장에서 필룸은 돈잡아먹는 괴물인 셈이었다.
그나마 나중에 공동구매(...)방식으로 바뀌어서 병사들의 지출을 줄이려는 노력이 더해지기도 했지만, 결국 로마군은 이후 필룸 대신 베르툼이라는 다트를 채용하게 된다. 손으로 던지는 다트 맞다. 대신 무기로 쓰기 위한거라 크기가 좀 많이 크고 무겁다.
4 번외 : 필룸 무랄리스
나무의 양 끝을 깎아서 뾰족하게 만들고 중간에 손잡이를 만들어놓은 장병기이다. 가볍고 길어 쉽게 사용할 수 있었기에 진지 방어나 야영지 구축시의 비상용 무기로 사용했다. 그 이름도 '성채용 창'이라는 의미이다.
사용법은 던지거나 직접 찌르는 등 다양한 용법이 있었다.
성채용 말뚝같은 것으로 묘사하는 경우도 종종 있으나, 어디까지나 무기이지 도구는 아니었다.
5 번외 : 현대의 필룸
해외 리인액트먼트계에서 로마군은 최대의 인기를 자랑한다. 그래서 지금까지 발견된 필룸 종류의 거의 전부를 구입하는 것도 실제로 가능하다. 워낙 수요가 많기 때문이다. 다만 원조 필룸같이 창목이 휘어지거나 나무 리벳이 부러지는 기능은 없다. 만일 그렇게 된다면 사람들 모두 거품을 문다. 리인액트는 재현이지 실전이 아니다. 창을 못 쓰게 만들 이유가 없는 것이다. 필룸 한 자루에 싸게는 99달러에서 보통 150달러 정도의 가격인데, 만만한 금액은 아니다.- ↑ 여기에 빈틈이 안 보이는 방패를 들고도 상대를 찔러댈 수 있는 검인 글라디우스도 중요한 입지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