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카쿠 덴노

일본의 역대 덴노
118대119대120대
고모모조노 덴노고카쿠 덴노닌코 덴노

610px-Emperor_K%C5%8Dkaku.jpg

光格天皇
일본의 119대 덴노.

방계황족 간인노미야의 2대 당주 스케히토(典仁) 친왕의 6남으로 태어났다. 황통으로는 113대 히가시야마 덴노의 4세손. 이름은 본래 모로히토(師仁)였으나 師仁이라는 한자가 死人과 같은 발음으로 읽힐 수 있다는 이유로, 즉위한 뒤 토모히토(兼仁)로 개명했다.

중환에 시달리던 고모모조노 덴노는 후계를 정할 틈도 없이 급사하고 만다. 고모모조노 덴노에게는 태자가 없고 황녀 요시코(欣子) 내친왕 1명만 있었다. 이에 급히 4대 세습친왕가문들 중의 한곳인 간인노미야에서 간인노미야 스케히토 친왕의 6남을 양자를 들이는데 그가 바로 고카쿠 덴노이다. 고카쿠 덴노는 1780년 즉위하며 요시코 내친왕은 고카쿠 덴노의 황후가 된다.

덴노 재위기간 도중에 덴메이 대기근이 발생하자 고카쿠 덴노는 에도 막부에게 백성들을 구제하도록 명하였다. 또한 1811년 치시마 섬의 측량을 위해 일본에 온 러시아 군함 디아나호가 일본에 억류되는 이른바 고로닌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교섭의 내용을 전부 보고하도록 하는 등 조정의 권위 회복에 노력하였다.

막부와 조정의 힘의 관계를 잘 보여주는 사건 중 하나가 존호사건 이다. 고카쿠 덴노가 제위에 오르자 그는 그의 아버지 스케히토 친왕보다 관위가 높았다. 뿐만 아니라 막부가 정한 금중병공가제법도(禁中並公家諸法度)에 따르면 스케히토 친왕의 서열이 섭관가[1]보다도 낮았다. 덴노의 아버지가 신하인 섭관가보다 지위가 낮다는 것에 불만을 품은 고카쿠 덴노는 스케히토 친왕에게 태상천황(太上天皇)의 존호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에도 막부가 반대하여 성사되지 못하였고, 이 사건은 후에 존왕사상을 낳는 계기가 된다.

박학하고 다재다능하였던 고카쿠 덴노는 학문에 열심이었으며, 시와 음악에도 조예가 깊었다. 또한 400여 년간 단절되었던 교토의 이와시미즈 하치만 궁(石清水八幡宮)이나 가모 신사(賀茂神社)의 임시제의 부활, 조정의 의례 부활 등을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대학료를 대신한 조정의 공식 교육 기관의 설치를 구상하였으나 그의 재임 중에는 실현되지 못하였다. 다음 덴노인 닌코 덴노 대에 와서야 조정 공식 교육 기관인 가쿠슈인이 설치된다.

고카쿠 덴노는 1817년 5월 7일 닌코 덴노에게 양위하고 물러나 이듬해 5월 9일에 태상덴노가 되었으며, 1840년 12월 11일 6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능은 교토 시 히가시야마(東山) 구에 있는 센뉴지(泉涌寺, 천용사)에 있다.

고가쿠 덴노는 현재 황실의 직계 조상으로, 부계 기준으로 따져서 지금의 황실 구성원 이외에 신적강하해서 별도의 가문을 창시한 후손은 없다. 아울러 방계 출신으로는 가장 최근에 즉위한 덴노이기도 하다.

고카쿠 덴노 이후 태상황이 된 덴노는 지난 200년 동안 없었는데, 2016년 아키히토 덴노가 나루히토 황태자에게 조만간 양위할 것이라는 궁내청 관계자의 발언이 보도되어 고카쿠 덴노의 사례가 언론에 주목받았다.
  1. 摂関家, 섭관에 임명되는 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