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상황

太上皇, retired emperor

1 소개

제위를 선양하고 물러난 황제를 높여 가리키는 칭호로 줄여서 상황(上皇)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는 아버지아들에게 물려주고 이 칭호를 받았지만 반드시 그런 것만도 아니어서 아버지가 아니더라도 양위한 황제가 생존해 있으면 태상황이 되었다. 의 경우에는 태상왕(太上王), 상왕(上王)이라 부른다.

요즘에도 권력의 배후에서 실세로 군림하는 것을 일컬어 '상왕 노릇' 한다는 말을 흔히 쓴다.# 그런데 정작 한국사를 살펴보면 실제로 막후 권력을 행사했던 상왕은 끝까지 병권을 놓지 않은 조선태종 단 한 사람 뿐이고, 그 외에는 오히려 안습한 여생을 보내야 했던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일본에서는 몰라도[1] 우리나라에서 '상왕 노릇'이란 그런 거 없다. 다만 그 한 명이 이미지가 워낙에 크기 때문에 자주 인용되는 것.[2]

1.1 중국

기원은 중국 전국시대 조나라 무령왕이 아들 혜문왕에게 양위하고 자신을 군주의 아버지라는 뜻에서 '주부(主父)라고 자칭한 것이다. 다만 최초의 태상황은 진시황에 의해 추존된 장양왕이며 살아서 태상황이 된 최초의 인물은 한고제 유방의 아버지 태공(太公)이다.

남북조시대 북제에서는 무성제가 제위를 아들 후주에게 물려준 뒤 그 아들 후주가 다시 자기 아들 유주에게 제위를 물려줘서 두 명의 태상황이 존재하는 사례가 있었다.[3] 이 경우에는 본래 태상황이었던 무성제가 스스로를 무상황(無上皇)이라 칭하고 후주가 태상황이 되었다.

명나라정통제는 몽골과의 전쟁에서 생포되어 인질이 되었는데, 당시 명 황실에 의해 본인의 의지와는 전혀 상관없이 강제로 태상황 자리에 올랐다(..)

1.2 조선의 경우

대한민국에서는 조선 태종 때 태조 이성계정종이, 세종대왕 때 태종과 정종이 왕위를 넘기고 물러나 태상왕과 상왕이 존재하게 되었다.[4] 그러나 이 경우에는 두 사람의 전임자를 동시에 태상왕으로 칭할 수 없어서 태상왕과 상왕이 공존한 케이스.[5] 실제로 정종이 1419년 세상을 떠난 뒤 태종만이 상왕으로 생존한 상태에서 1421년 상왕을 성덕신공태상왕(聖德神功太上王)으로 높이기도 했다.

1.3 일본의 경우

일본에서는 정식 명칭이 다이조텐노(太上天皇, 태상천황), 줄여서 조코(上皇, 상황)[6]라고 하는데 이름에서도 감 잡았겠지만 일본사에서 중요한 단어이다. 헤이안 시대 말기, 덴노가 태자에게 제위를 물려주고 퇴위한 다음 조코의 지위에 앉아 정권을 장악하는 것이 관례였기 때문. 이 시기는 실질적으로 조코가 실권자이며, 덴노는 명목상 임금이기는 하나 실질적으로는 태자 정도의 지위 밖에 되지 않았다. 그래서 이 시기의 덴노들은 빨리 후계자에게 넘겨버리고 자신이 조코가 되는게 지상목표가 되어버렸다. 덕택에 빨리 덴노직을 넘겨버리고 조코가 되려고 다들 아웅바웅이어서 동 시기에 조코가 2인 이상인 경우도 있으며, 이로 덴노들의 정치는 제대로 꼬이게 된다. 심지어 아직 한창의 나이인 3~40대에 퇴위하려고 하는 덴노들도 있었다. 이에 따라서 당시에는 덴노들의 즉위시 평균 나이도 매우 어렸다. 이는 동양사에서 찾아보기 힘든 선왕이 후대 왕을 살아서 압도하는 몇 안되는 케이스다.

또한 조정 위에 인(院, 원)이라는 옥상옥 기관도 있어 조코가 권력을 좌우했다. 조코의 인세이(院政)와 덴노 조정과의 갈등은 무사들의 시대를 불러온 원인이 되기도 했다. 가마쿠라 막부 시대에 덴노의 실권이 완전히 박탈당하다시피하면서 이런 관례도 자연스럽게 소멸해버렸다.

조코가 출가해 승려가 되면 다이조호오(太上法皇, 태상법황), 줄여서 호오(法皇, 법황)라고 불렀다. 물론 출가한 뒤에도 권력을 내놓지는 않았다(…). 심지어 승려이면서 할 거 다 하고 살았다. 그냥 삭발하고 법명만 받은 땡중 수준. 많은 상황들이 이 방법을 애용한 이유는 책임감을 최대한 덜기 위해서였다. 실세로 군림하다가 나쁜일 생기면 "소신은 그냥 중일뿐..."이러면서 내빼고, 이에 따른 책임은 주로 아들인 덴노가 고스란히 뒤집어 써야 했다. 법황이란 표현에서 나온 것이 "로마 법황" 혹은 "교황"이라는 Papa(영어 Pope)의 번역어가 여기서 나왔다. 요새는 교종이라고 표현을 고치자는 말이 많지만.

1.4 서양

태상황, 상황, 태상왕, 상왕 칭호는 동양에만 존재하고 서양에는 없다. 이것들은 중국식 존호이기 때문이다. 서양에서는 왕이 퇴위하는 경우에 칭호가 공작 내지 프린스로 격하되었다.

다만 온전히 격하라고 하기도 애매하다. 동양의 기준에서는 선왕이 보통 현 군주의 아버지나 할아버지, 형이 되는데, 서열관계가 명확한 동양에서 선왕의 칭호를 격하시키는 경우는 폐위의 경우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양에서는 그런 거 없다. 이는 서양의 귀족, 왕의 칭호는 '영토'에 따라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영국윈저 공이라든가, 네덜란드빌헬미나베아트릭스라든가.

다만 바티칸베네딕토 16세는 퇴위 후에도 추기경[7]이 아니라 전임 교황(Pope emeritus)이라 불리우며, '성하' 경칭을 계속 사용하고 교황을 상징하는 흰색 수단은 계속 착용한다. 벨기에의 알베르 2세와 스페인후안 카를로스 1세 역시 퇴위 후에도 국왕의 칭호를 유지한다.

러시아의 모 정치인도 상왕 노릇을 한 적이 있다. 그리고 국난이 닥쳐오자 어쩔 수 없이(?) 복귀 근데 미국도 조만간 상왕이 탄생하는걸 볼지도 모른다.

2 역대 태상황

상황, 태상왕, 상왕 포함.

2.1 한국

왕조군주후임자관계재위기간사망(나이)비고
시작종료기간
고구려태조대왕차대왕146165약 19년165(119세)[8]
신라진성여왕효공왕고모897.6897.12약 6개월897(30대?)
고려헌종숙종조카109510971년 4개월1097(13세)
충렬왕충선왕129812987개월1308(73세)재즉위(1298)
충숙왕충혜왕133013322년1339(46세)재즉위(1332)
조선태조정종1398.9.51408.5.2410년1408(74세)
정종태종1400.11.131419.9.2619년1419(63세)
태종세종1418.8.101422.5.104년1422(56세)
단종세조조카1455.윤6.111457.6.212년1457(17세)세손-세자--
상왕-폐위-복위
세조예종1468.9.71468.9.81일1468(52세)
중종인종1544.11.131544.11.141일1544(57세)
고종순종1907.7.201910.8.293년1919(68세)대한제국 태황제
1910.8.291919.1.219년조선 이태왕
(덕수궁 이태왕)

2.2 중국

왕조군주후임자관계재위기간사망(나이)비고
시작종료기간
진나라장양왕시황제---BC247(35세)추존
전한태공고제BC201BC1974년BC197(?)고제가 존봉
서진혜제사마륜질손301.1301.44개월301(?)복위(301)
후량태조은왕399399며칠399(63세)
북위헌문제효문제4714765년476(23세)모친이 독살
북제무성제후주5655683년568(32세)
후주유주57757724일578
(21세)
북주선제정제5795801년580(21세)
수나라양제공제조부617.12.18618.3.112개월 24일618(50세)
당나라고조태종626.9.4635.6.258년 294일635(71세)
측천무후중종705.2.22705.12.169개월 23일705(81세)
예종현종712.9.8716.7.134년 36일716(54세)
현종숙종756.8.12762.5.35년 264일762(78세)
순종헌종805.8.31806.2.115개월 12일806(45세)
소종덕왕900.11901.12개월904(37세)복위(901)
북송휘종흠종1125.12.231135.6.49년 159일1135(54세)
남송고종효종양부1162.7.241187.11.925년 153일1187(81세)
효종광종1189.2.181194.6.285년 130일1194(68세)
광종영종1194.7.241200.9.175년 266일1200(54세)
서요야율직로고굴출률장인121112132년1213(?)
서하신종헌종122412262년1226(64세)
명나라영종대종1449.9.221457.2.117년 142일1464(38세)복위(1457)[9]
청나라고종인종1796.1.11799.1.43년 4일1799(89세)

2.3 일본

군주후임자관계재위기간사망(나이)비고
시작종료기간
시라카와(白河)호리카와(堀河)1087.11.261129.7.743년1129(77세)출가(1096)
도바(鳥羽)조부
스토쿠(崇徳)증조부
도바(鳥羽)스토쿠(崇徳)1129.7.71156.7.228년1156(54세)출가(1142)
고노에(近衛)
고시라카와(後白河)
고시라카와(後白河)니조(二条)1158.8.111179.11.2021년1192(66세)출가(1169)
로쿠조(六条)조부
다카쿠라(高倉)
안토쿠(安徳)조부1180.윤5.61192.3.1312년
고토바(後鳥羽)조부
다카쿠라(高倉)안토쿠(安徳)1180.2.211180.윤5.55개월1181(21세)
고토바(後鳥羽)츠치미카도(土御門)1198.1.111221.7.623년1239(50세)출가(1221)
준토쿠(順徳)
주쿄(仲恭)조부
고다카쿠라(後高倉)고호리카와(後堀河)1221.7.81223.5.142년1223(45세)출가(1212). 아들이 존봉
고호리카와(後堀河)시조(四条)1232.10.41234.8.62년1234(23세)
고사가(後嵯峨)고후카쿠사(後深草)1246.1.291272.2.1726년1272(53세)출가(1268)
가메야마(亀山)
가메야마(亀山)고우다(後宇多)1274.1.261287.10.2113년1305(57세)출가(1289)
고후카쿠사(後深草)후시미(伏見)1287.10.211299.7.2212년1304(62세)출가(1290)
후시미(伏見)고후시미(後伏見)1299.7.221301.1.212년1317(53세)
하나조노(花園)1308.8.261313.10.145년
고우다(後宇多)고니조(後二条)1301.1.211308.8.267년1324(58세)출가(1307)
고다이고(後醍醐)1318.2.261321.12.93년
고후시미(後伏見)하나조노(花園)1313.10.141318.2.265년1336(49세)출가(1334)
고곤(光厳)1331.9.201333.5.172년
고곤(光厳)고묘(光明)1336.8.151351.10.2415년1364(52세)출가(1352)
스코(崇光)
고코곤(後光厳)고엔유(後円融)1371.3.231374.1.293년1374(37세)
고엔유(後円融)고코마쓰(後小松)1382.4.111393.4.2611년1393(35세)
조케이(長慶)고카메야마(後亀山)1385~1386경1년?1394(52세)
고코마쓰(後小松)쇼코(称光)1412.8.291433.10.2021년1433(57세)
고하나조노(後花園)삼촌
고요제이(後陽成)고미즈노오(後水尾)1611.3.271617.8.266년1617(47세)
고미즈노오(後水尾)메이쇼(明正)1629.11.81680.8.1950년1680(85세)
고코묘(後光明)
고사이(後西)
레이겐(霊元)
레이겐(霊元)히가시야마(東山)1687.3.211732.8.645년1732(78세)
나카미카도(中御門)조부
고카쿠(光格)닌코(仁孝)1817.3.221840.11.1523년1840(69세)현재까지 마지막 태상황

2.4 베트남

왕조군주후임자관계재위기간사망(나이)비고
시작종료기간
레(李)혜종(惠宗)소황(昭皇)122412262년1226 (33세)
쩐(陳)태조(太祖)태종(太宗)122612349년1234 (?)
태종(太宗)성종(聖宗)1258127720년1277(58세)
성종(聖宗)인종(仁宗)127812903년1290(51세)
인종(仁宗)영종(英宗)1293130816년1308(51세)
영종(英宗)명종(明宗)131413207년1320(55세)
명종(明宗)예종(藝宗)1329135729년1357(58세)
예종(藝宗)순종(順宗)1372139524년1395(75세)
순종(順宗)소제(少帝)139813992년1399(22세)
호(胡)호계리(胡季犛)호한창(胡漢蒼)140114077년1407(72세)
후 쩐(後陳)간정제(簡定帝)중광제(重光帝)숙부140914146년1414(?)
막(莫)태조(太祖)태종(太宗)1529154113년1541(72세)
후 레(後黎)신종(神宗)희종(熙宗)164316497년1662(56세)재즉위(1649)
희종(熙宗)유종(裕宗)1705171612년1716(54세)
유종(裕宗)의종(懿宗)172917313년1731(53세)
의종(懿宗)현종(顯宗)1740175920년1759(41세)
  1. 헤이안 시대 때에는 왕위를 아들에게 물려주고 상왕(조고) 자리에서 좌지우지하는 것이 거의 관습화되었다.
  2. 애시당초 조선시대에 상왕도 태종 외에는 겨우 네 명(태조, 정종, 단종, 고종)뿐이고 대부분 조선시대 전반에 몰려 있었다.
  3. 즉 할아버지 무성제 - 아들 후주 - 손자 유주
  4. 세조도 그러긴 했지만 단 하루니 예외
  5. 다만 이 당시 신하들은 일상적으로 정종을 '노상왕(老上王)'이라고 칭했으며 태종은 그냥 '상왕'이었다.
  6. 먼나라 이웃나라의 영향인지 조우고라는 발음으로 알려졌는데, 실제 발음은 じょうこう(jōkō)이다. 그리고 한자 두 글자가 모두 장음인데, 일단 장음 표기는 하지 않는 것이 표준 표기법. 굳이 장음 표기를 하겠다면 '조오코오'가 될망정, 아무래도 '조우고'는 아니다.
  7. 세속 국가의 프린스와 동급.
  8. 삼국사기 기록 근거. 다만 태조왕의 재위기간과 수명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9. 탈문의 변(奪門之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