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학

Osteology

banner.jpg

1 개요

Osteology. 사람의 뼈대를 연구하는 학문

동물의 뼈도 다루나 보통 사람의 뼈대를 다루므로[1] 사람 골학(뼈대학) Human Oseology라고 한다.

2 인류학에서의 골학

인류학
하위분과[2]
체질인류학고인류학, 영장류학, 법인류학, 인류의 다양성
사회/문화인류학구조인류학, 사회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선사고고학, 역사고고학
언어인류학
응용인류학의료인류학, 영상인류학
방법론현지조사, 민족지연구, 골학, 계보연구, 통계학, 인터뷰

기본적으로는 해부학에서 다루지만 인문사회과학에 들어가는 인류학의 하위분과인 체질인류학, 고인류학, 법인류학에서도 기본적으로 다루는 분야이다.[3]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프리카 초기인류(Pliocene pre-cultural Hominids)와 같이 아주 먼 고대를 연구하는 고인류학 분야에서는 사람의 뼈대가 주 연구대상이다. 그리고 체질인류학에서는 고인류학과는 겹치는 면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현대와 가까운 시대를 연구할 때에도 그 잔존물인 뼈대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한편 법 인류학에서는 백골화된 현대인을 대상으로 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 신원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작업은 흔히 법정에서 공개적으로 증명해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른바 법인류학(forensic Anthropology)의 한 분과인 법의 골학(forensic osteology)이라고 한다.(미국드라마 본즈가 대표적인 예)

원시 인류 뿐 아니라 근현대 사람의 뼈에서 얻은 정보를 가지고 재구성을 하면 그 사람의 중요한 행동 양식을 알아 낼 수 있다. 치아를 포함한 뼈대는 유전자와 환경의 작용이 조합된 산물이기 때문이다. 뼈대는 몸의 틀을 구성하고, 치아는 개체와 환경 사이에 직접적인 연결고리를 제공한다. 살아있는 동안 근육, 인대, 힘줄, 동맥, 신경, 정맥 및 장기 등의 부드러운 조직(soft tissue)이 일으킨 작용은 뼈의 형태(morphology)에 그대로 영향을 미친다. 비록 부드러운 조직은 사망 후에 부패되어 없어지지만 뼈대는 그 작용의 증거를 오랫동안 간직할 수 있다.

뼈와 치아는 잘 부패되지 않기 때문에 개인의 존재를 알려주는 마지막 자료에 해당한다. 뼈와 치아를 이용하여 알 수 있는 것은 1차적으로 개체의 나이, 성별, 키 등이다. 또한 뼈를 통해서 생전에 겪었을 여러 병리학적 소견들도 확인할 수 있고, 개인으로 이루어진 집단을 분석하면 선사시대 인구집단의 구조, 생물학적 혈연관계, 문화, 생활, 질병의 양상 등을 알아낼 수 있다. 뼈와 치아를 기록한 화석 자료를 통해서 인류의 진화에 대한 역사를 살펴 볼 수 도 있다.

2.1 고고학에서의 역할

3 현장에서의 뼈대 발굴과 처리

어뗜 분야에서 어떤 빼대를 다루느냐에 따라서 처리과정은 달라진다. 기본적으로는 뼈대가 50년이 되었는지 안 되었는지에 따라서 형법이 적용여부가 결정된다. 아래 항목은 기본적으로 고고학, 체질인류학 연구대상 뼈대(사후 50년 이상의 뼈대)를 기준으로 서술함.

4 뼈대의 분석방법

4.1 개인 식별(Individuation)

뼈대를 통해 사람의 개인적인 신원을 확인하는 과정을 개인 식별이라고 한다.

  • 법 인류학에서는 그 사람의 상세한 신원을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우선 조사 대상이 사람인지 아닌지를 판단한 다음에 나이, 성별, 키 등의 개체 특징을 밝혀낸다.
  • 고고학에서는 이와 같은 신원 확인 작업보다는 식생활, 건강, 생물학적 혈연관계, 집단의 이주 등에 대한 인구 집단의 생물학적 특징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 고 인류학에서는 선사시대 희귀한 화석을 대상으로 인구 집단의 생물학적 특징을 연구하거나 인류의 진화론적 연결에 더 집중하고 있다.

4.2 뼈대의 병리학적 연구

항목참조

4.3 뼈대의 DNA 분석

5 해부학에서의 골학

해부학, 해부실습 항목 참조.
  1. 고고학이나 체질인류학에서 동물뼈와 사람뼈를 같이 다룬다
  2. 미국의 문화인류학자 보아츠에 의한 분류기준
  3. 이 학문들의 가장 기본적인 연구재료이자 연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