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1 社會

영어: Society
스페인어: Sociedad

존재하지 않는 것
억울하면 무너지는것

이 글을 보고 있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온갖 집단체계를 폭넓게 일컫는 말이다. 작게는 가정에서 크게는 국가나 지구, 우주 단위까지.

이 사회의 구조와 기능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학문들을 사회과학이라 한다.

1.1 유래

'사회'라는 단어는 원래 동양에서는 없던 말로, 근대에 생긴 많은 단어들과 마찬가지로 근대에 society라는 단어를 번역해서 만든 단어이다. '동료끼리의 모임' 이라는 뜻에서, 당시 일본에 비슷하게 존재하던 모임인 사(社)와 회(會)를 합쳐서 생겨난 단어. 후쿠자와 유키치는 사람들끼리 사귄다는 뜻에 더 집중해서 '인간교제'라고 society를 번역하기도 했으나 이는 널리 쓰이지 못했다. '세상'이라고 번역하려는 사람들도 몇몇 있었다고.

'사'의 어감도 '회'의 어감도 거의 남아있지 않은 '사회'라는 단어는 오히려 그 불명확한 점 때문에 '인간교제'나 '세상'과 같은 단어들보다 더 널리 society의 번역어로 쓰이게 되었다. '사회'라는 단어 자체가 불명확한 의미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society라는 단어의 본의미와 어긋남이 없었다는 것.[1] 다만 통하는 것도 없다는 것이 아이러니(..)

그렇게 근대에 만들어진 후 100여년간 동아시아에서 자체적으로 쓰인 결과 society와는 사뭇 다른 뜻을 지니게 되었다. 현재 '사회'라는 단어는 아래의 속어의 케이스 등을 볼 때 '세상'과 비슷한 의미로 쓰이고, 초기에 '사람들의 모임'이라는 뜻은 비교적 약해진 상태. 그 때문에 죽은 시인의 사회는 상당히 이상하게 들리게 되었다. 항목에도 나와있지만 society에는 아직 그 뜻이 남아있는 탓. 우리말로는 '죽은 시인의 모임'이 더 적당하다.

1.2 군대 용어

군대에서는 민간인 사회를 뜻하는 말로 사용된다. 각 국어 사전의 정의에 따르면 교도소 죄수들 사이에서도 쓰이는 모양.

이곳에서 만들어진 물건은 싸제라고 부른다.

이 경우, 일본어로는 娑婆(しゃば, 샤바, 불교에서 현세를 가리키는 말)라고 한다. 그러므로 일본어로 이 뜻을 표현할때에는 社会(しゃかい)를 써서는 안 된다. 영어로는 군인 기준에서 바라보는 민간인 사회 자체를 civilian life나 civvy street 등으로 표현한다.

예문) "사회에서는 '그래요, 저래요,' 했을지 모르나, 여기서는 -다 또는 -까가 예절이다. 알겠나?"

군대에서 인터넷을 가리킬 때 은어로 "사바넷" 이라고 하는데, 거론되는 유력한 어원들 중에 "사회+바깥세상 네트워크" 와 "사바세계 네트워크" 가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2 관련 항목

3 교과목


파일:2009 개정교육과정 중학교 사회1.png
Social Studies

사회과 교과목을 일컫는 말이다.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 때까지는 《사회》라는 이름의 교과서를 사용하지만, 고등학교 2학년부터는 사회탐구 영역으로 9개의 분과된 과목[2]으로 배우게 된다.

크게 지리, 역사, 일반사회, 도덕으로 총 4개의 과목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 것은 수능의 사회탐구를 기준으로 본 것으로 실제 사회 교과서에선 초등학교 6학년 까지는 지리, 역사, 일반사회를 배우게 되고 중학교부터 역사가 개별적으로 분리된다. 도덕은 엄밀히 따지면 사회가 아닌 도덕윤리군에 속하는 과목이다.

사회 시간에 배운 것들은 실생활과 밀접한 내용들이기 때문에 잘 알아두면 유용하다. 그렇기 때문에 뉴스나 신문을 자주 보면 학습에 도움이 된다. 잘 배워두면 아는 척할 때도 좋다. 하지만 너무 하지는 말자 좆문가취급을 받는다

사회 교과서의 내용들 중엔 시대에 맞지 않는 것이 많다.(...)[3] 세월이 가서 변한 것들을 수정하는 게 늦어서 생긴 일.

사회 과목은 초등학생들 사이에선 가장 싫어하면서도 어려워하는 과목이기도 한데 이는 사회란 과목이 선생님들은 아니라고 하지만, 하지만 우리쌤은 암기과목이 맞다고 한다. 아싸 안 외워야지. 암기과목인데다 초등학생들에겐 흥미와는 거리가 있는 생소한 내용들도 많고 영역도 워낙 방대하기에 초등학생들에게 그만큼 체감 난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것이 아닌가 추측되고 있다고 한다. 다만 의외로 중학교부터는 시사나 사회 뉴스 쪽에 관심을 가지는 학생들은 사회 과목을 좋아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있다.

중학교의 경우 '사회1', '사회2'라고 써진 책을 배운다. 사회3은 2009개정 교육과정부터 폐지되었고, 대신 사회과목 속에 숨어있던 역사 파트가 '역사 상', '역사 하'로 독립하였다. 다시 2013학년도 중학교 1학년부터 적용된 2011 교과 교육과정에 따르면 사회①, 사회②와 역사①, 역사②라고 써진 교과서로 배운다.

2014년부터는 고등학교에서 '도덕' 교과가 폐지되고, 이 부분은 무엇이든지 뒤에 '윤리'만 붙이면 다 되는 마법의 교과 생활과윤리로 계승되었다. 사회도 폐지된다는 소문이 있었으나 2014년 입학생에게도 이 교과서가 배부된 것을 보아 흐지부지된 모양. 현재 고등학교 사회보통 교과는 한국사(필수과정), 사회[4],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법과정치, 경제, 사회문화, 생활과윤리, 윤리와사상 총 11과목이다.

고등학교 '사회'의 단원 수는 5개이다.[5] 개정 전에는 10개였다. 예전에 비해 지리 파트가 많이 줄었다.

4 司會

어떤 행사의 진행을 맡는 행위, 또는 그 역할을 맡은 사회자를 부르는 말.
  1. 야나부 아키라(2011), 번역어의 성립(翻訳語成立事情), 마음산책
  2. 7차 교육과정 때는 11개, 2007 개정 교육과정 때는 10개, 그 후 현재 한국사가 필수가 되어 빠졌다.
  3. 대표적으로 비상교육 중학교 사회1 내용을 잘 보면 갤럭시A가 나와있다...
  4. 2009 개정교과부터 필수교과가 아니다. 즉, 사회 안배우고 바로 다른 선택과목들 배우는 학교들도 많다(단, 고등학교 한정)
  5. 사회를 바라보는 창, 공정성과 삶의 질, 합리적 선택과 삶, 환경 변화와 인간, 미래를 바라보는 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