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바리

주의. 이 문서는 비하적 표현에 관한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비속어, 욕설, 멸칭에 관해 설명하는 문서입니다. 따라서 읽는 이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니 열람하실 때 주의하시고, 읽고 싶지 않으시면 문서를 닫아주세요.


중국어 : 阿兵哥(ābīnggē, 아빙거)


군인낮잡아 부르는 말. 빈도를 따지면 현역군인이나 군인이었던 사람이 자조적으로 부를 때 사용하는 단어이기도 하다. 즉 군대를 안갔거나 갈 일이 없는 사람이 군인에게 쓰면 안된다. 이는 흑인의 비하어인 니그로(또는 니거)와 유사하다. 친한 흑인끼리 서로 '니거'라 부르는건 괜찮지만, 모르는 백인, 황인이 할렘가에서 낯선 흑인 보고 니거라고 했다간 큰일나는 것처럼 현역이나 예비역 외의 사람이 쓰면 좋은 시선을 받지 못한다.

경찰을 비하하는 짜바리,짭새도 있다. 이쪽이 경찰이라는 특수업종에 대한 반대쪽의(조폭, 범법자, 부패경찰에 질린 시민, 시위대 등등) 두려움, 경계심, 혐오에 의해 만들어지고 통용되는 단어인 반면 군바리는 그 반대쪽이 아닌 자기들 스스로의 처지를 비하하는 자조적인 단어라는 점이 다르다. 군바리의 반대편엔(혹은 바깥엔) 민간인, 일반인이 있다.

126b-%ED%9C%B4%EA%B0%80.jpg
요즘에는 예비역이나 군필 등이 친근감(?) 있게 부르기도 한다. 강아지 발바리와 연관지으면 기분이 매우 안좋아진다.

어원에 대한 다양한 속설이 있으나, 대표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
1951년, 한국전쟁 당시 신속한 병사 충원을 위해 육군 제 1 훈련소가 제주도 모슬포에 설치되었다. 이 곳에서 전국 팔도의 장정들이 모여 훈련을 받게 되었는데, 그러다 보니 제주도 사람들은 본토의 외지 청년들을 제주도 방언에서 '젊은 사람들' 을 뜻하는 접미어인 '~바리' 에 '군' 을 붙여서 '군바리' 로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1]

그 후 이 용어는 당시 훈련받던 이들을 따라 본토에 까지 전파되어 군복무를 하는 장정들을 가리키는 대명사가 되었고, 이후 공식적인 언어 사용에 표준어가 정착되자 속어화되면서 점차 비하적인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혹은 일본어에서 바라(輩[ばら], …들, …무리)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이 '군'과 접합되어 '군바라 -> 군바리' 로 변화했다는 속설도 존재. 흔히 사용되는 은어인 '시다바리' 가 시타바라(下輩, したばら)에서 변화되었다는 것을 생각해 보면 설득력이 있다.

권재일 국립국어원장은 "이 단어의 정확한 어원은 사전에 나오지 않지만, 군바리는 '시다바리' 처럼 특정 직업을 비하하는 '바리' 가 붙은 단어로 보인다." 라고 말했다. 동아일보 기사

크라잉 넛의 '군바리230' 이라는 노래 가사를 보면, 군인에 대한 사회의 비하적 시선 및 군인의 자조적인 한탄이 그대로 담겨 있다.
네이버 웹툰뷰티풀 군바리라는 웹툰이 연재되고 있다.
청년실업 1집 '기상시간은 정해져 있다'의 수록곡 중 5번, 6번 곡의 제목이 각각 '군바리의 관계를 종식시키자 pt.1', '군바리의 관계를 종식시키자 pt.2'이다.(...)

  1. 지금도 제주도에서는 젊은 청년을 '동바리', 젊은 처녀를 '비바리', 결혼한 남성을 '왕바리', 결혼한 여성을 '냉바리', 학생을 '학바리'라는 방언으로 호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