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한국의 대표적인 어둠 속성의 악당 요괴. 그늘, 그믐 등의 단어에서 이름을 따온 것으로 보이며, '어둠 속에 선 거대한 것'이라는 뜻으로 추측된다. 어둠을 상징하는 또다른 한국 요괴 어둑시니와도 비슷하다. 하지만, 사람을 놀래킨다는 묘사가 부각되는 일종의 '요정'에 가까운 어둑시니와 달리 그슨대는 사람을 직접적으로 살해하는 묘사가 부각되는 '악귀'에 가까운 존재라는 차이점이 있다.
고려시대의 수호신이었다는 헛소문이 퍼져있으나, 이는 애초에 어둑시니에서부터 생겨난 오해를 그슨대에게도 동일시한 것으로 보인다. 그슨대의 어둠이라는 기원은 어둑시니와 같지만, 여러모로 후대의 괴담으로 보이는 특이점이 많다. (시골에서 목격담이 많고, 가재라는 뜬금없는 소재.)
제주도의 그슨새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그슨새는 독각귀(우산요괴)의 일종이므로, 그슨대와는 발음만 비슷할 뿐, 어둠을 상징하는 그슨대와 어둑시니와는 전혀 다른 카테고리에 속한다.
2 설명
주로 시골에서 목격담이 나오는 귀신. 처음 나타날 때는 어두운 장소에서 어린아이의 모습으로 사람들을 꼬신다. 희생자들은 어두운 길에 아이가 있는 모습을 보고 도움을 주기 위해서 다가간다. 하지만, 다가가면 순식간에 그림자의 모습으로커져서 그 사람을 놀라게 만들거나루미아?, 그림자로 덮쳐서 죽여버리는 잔인함을 보인다.[1]
조선시대의 운몽선 설화가 알려져있으나 사실인지는 미심쩍다. 그 내용은 무장이 길을 가다가 그슨대를 만났는데, 그슨대는 아무리 칼로 베어도 죽지 않았고, 점점 커지기만 했다. 결국엔 거대해진 그슨대가 장군을 집어 던져 죽여버렸다고 하는 이야기이다.
정석적인 조건부 불사신 요괴로서, 본래 모습인 그림자를 드러내면 물리공격으로는 퇴치할 수 없는 강적이다. 또, 공격 받을 때 마다 점점 거대해지므로, 퇴치법을 모르고 마냥 공격하면 결국 살해당한다. 그림자 괴물? 하지만 어둠이 없으면 힘을 쓰지 못하기에, 여럿이서 횃불을 들고 덤벼들어서 그림자의 본체를 없애버리면 퇴치할 수 있다.
또, 어째서인지 가재를 좋아하기에, 가재가 있다면 주고 도망가는 방법도 있다고 한다. 귀엽다.
3 해설
기본적으로는 한국의 어둑시니, 일본의 뉴도처럼 어둠을 형상화한 요괴이다. 하지만, 퇴치법은 뉴도나 어둑시니처럼 본질을 꿰뚫어보는 정신극복이 아니라, 빛이나 가재를 이용하는 직접적인 행동에 치중된다. 즉, 다른 어둠 요괴들에 비하면 그림자 몬스터로서의 속성이 부각된다.
어둑시니와 기원은 같지만 심리적 공포를 이겨낸다는 귀신철학적인 요소는 희석되었으며, 제물을 바치거나 횃불으로 쫓아낸다는 물질적인 해법이 강조되므로 몬스터에 가깝다.
물리공격을 받을수록 강해진다는 특이한 속성이 있다. 때문에, 정신력이 강하면 퇴치할 수 있는 어둑시니와는 달리, 오히려 용감한 사람일수록 상대하기 어렵다. 당장에 조선시대 장수가 그슨대를 무기로 열심히 공격했다가, 오히려 더 강력하게 만들어서 살해당했다는 전승을 보자.
특이하게도 가재를 좋아한다. 이는, 어린아이들이 가재를 잡으러 개울에 갔다가 실종되는 것을 경계하여, 밤길에 대한 공포심을 주기 위해서 만들어진 요괴라는 설이 있다. 단순히 가재를 좋아한다는 이야기도 있다. 어린아이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하니, 그냥 정신수준이 어린아이일지도 모른다.
현대에는 밤에도 너무 밝아서 힘을 쓰지 못한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 북한에선 힘 깨나 쓰고 다닐 지도 모른다. 통일되면 알아보도록 하자. (...)
4 창작물에서의 등장
엔딩 이후의 세계 3.5권 에서 홍칠성중 하나로 나왔다. 이름은 금혜선. 전직 정부 요원이었다고 하며, 그 때문에 반신을 살해하는데 쓰인 신살병기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검성 파이란한테 한번 살해당한후 커져서 검성의 첫번째 형태를 죽이지만 검성이 죽으면서 발동한 우주검에 만신창이가 되고, 그후 완전히 조각조각나서 살해당한다.
헌티드 스쿨 - 콘크리트 라비린토스에서는 벨제붑의 공격에 맥을 못 추고 도망가기 전, 말뚝이가 불러냈다. 전작에서 비슷한 요괴인 어둑시니가 나왔는데, 어둑시니를 "어린아이의 모습을 한 위험한 요괴"로 표현했고 그슨대를 "단순히 커질뿐인 검은 덩어리"로 표현한 것을 볼 때, 작가가 그슨대와 어둑시니를 반대로 알고 있다.
한국 창작물은 아니지만,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판다리아의 안개인 옥룡사의 네임드 전승지기 스톤스텝의 옛날 이야기 중 '야운골 이야기'에 나오는 그림자 괴물들이 거의 같은 모티브를 가진다. '의심'과 '불화'라는 두 괴물이 나오는데, 공격할수록 크고 세지고 무시하면 약해지고 작아진다.
직접적인 관련은 전혀 없으나, 동방 프로젝트에는 어둠을 상징하고, 식인을 하고, 어린아이의 모습을 한 루미아라는 캐릭터가 있다.- ↑ 일부러 사람들의 관심을 받으려고, 어린아이의 모습으로 펑펑 울면서 사람들을 부른다는 이야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