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족 3대 비기

근육맨의 고향인 근육성의 근육신전에 벽에 새겨져 있는 왕가의 3대 오의. 근육왕가의 계승자들은 기본적으로 이 세가지의 비기를 모두 사용할줄 알아야만 하지만, 기술 하나하나가 너무나 어렵기에 한가지를 익힌 사람도 거의 없다. 물론 근육 마유미도 사용 불가능.

맨 처음에 나온 컷에서 새겨져 있던 기술과 다음에 나올때 새겨져 있던 기술이 다르며(...) 일단 비기라고 부를 만큼 강력한 기술이라면 여기에 새겨지는 듯 하다.
분명 최초에는 반격불가능한 완절무결한 홀드들이라고 나오지만 유데만화답게 당연히 이 설정은 무시당한다.[1][2] 하지만 이건 유데매직이 아니라 진짜 완전무결한 기술을 3가지로 형태로 분리되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유데매직이 아니게 되었다. 자세한 것은 후술.

일단 완벽 머슬 스파크가 최고로 어려운 홀드이다. 위력도 가장 강하게 묘사된다. 기술의 파괴력 순위는 스파크>리벤져>인페르노로 보인다.

반격방법들은 리벤저의 경우 더 닌자의 순역자재술로 위치를 바꾸거나,[3] 스파크의 경우는 뛰어난 유연성으로 홀드 자세에서 탈출[4], 인페르노의 경우엔 등짝에 탄 상대를 흔들어 떨어트리는 방법이 있다.[5]

위의 격파 방법은 전부 가능은 한데 인페르노 제외하면생각보다 꽤나 힘든 방법들이다.

그리고 근육족의 선조인 실버맨이 머슬 스파크와 매우 흡사한 기술이자 머슬 스파크의 원형이 애러건트 스파크를 보임으로써[6] 어쩌면 벽화의 기술들은 실버맨의 기술을 완전히 따라하지 못해 만든 마이너 버전으로 보였으나 실상은 실버맨이 자신의 필살홀드가 상대방을 완전히 병신으로 만들어 죽여버리는 잔악무도한 기술인데 실버맨의 최대 오의이지만 스스로가 생각한 정의초인의 틀에 부적합한 기술이기에[7] 이를 사람을 살리는 기술로서 개량할려고 했으나 실패했다고 한다. 거기에 형과의 대결이 일어나자 만일을 대비에 천상형제의 다툼 직전에 후세의 사람들이 자신이 생각했던 기술들을 개량해 사람을 살리는 기술로 승화시켜주길 바랬기에 나중에 근육족 3대 비기로 불리게 될 자신이 생각한 기술의 힌트를 그려넣은 벽화를 남겼다고 한다. 다만 이를 후세에서 잘못 해석한건지 하나의 기술을 해체시켜 3가지 형태로 남긴 것이 3개의 별개의 기술로 받아들인 듯 하다.

또한 벽화를 통해져 내려온 완전무결의 홀드라는 이야기는 본래 애러건트 스파크를 뜻하는 것으로 보이며 근육왕가의 계승자들이 왜 3가지 오의를 사용할줄 알아야 하며 왜 습득이 터무니 없이 어려웠는지에 대한 해답도 어느정도 유추할 수 있는데 우선 실버맨의 직계후손이자 최고 권위자인 근육왕가에서 3가지 오의의 형태를 구현함으로서 잊혀졌지만 애러건트 스파크를 개량하는 것을 이어받은 것이고 습득이 어려웠던 것은 한가지 기술을 3가지의 미완성된 동작으로 기록한 것이라 실전 사용에 부적격인 기술들이였던 것.

비록 목적이 잊혀지고 동작 중 일부가 살인기로 사용되기도 했지만[8] 실버맨의 뜻은 계속이어져서 끝내 근육맨의 머슬 스파크로 완성되었다고 한다. 근데 킬수는 인페르노가 제일 적고 스파크가 제일 많다?[9]

참고로 국내판에서는 기술명 앞에 근육이라는 말이 붙지만 원래는 머슬이다. 이것은 국내 정발판의 특징으로 원래는 근육버스터근육드라이버를 제외한 기술들은 모두 머슬이 붙지만 국내판에서는 모조리 근육으로 번역해놨다. 재미있는 것은 처음 머슬 도킹이 나왔을때는 틀림없이 머슬도킹으로 나오지만 그 다음 컷부터는 근육도킹으로 바뀐다는 것.


머슬 리벤져

머슬 인페르노

머슬 스파크

그리고 우리들의 성군 빅보디님의 숨겨진 4대 오의 머슬 임팩트가 있다 카더라
  1. 스구르에 의해 머슬인페르노가 가장 먼저 깨졌으며 그 다음은 피닉스에 의해 머슬스파크가 깨졌다. 반격불가능이라는 주제에 두번이나 깨졌다. 탈출 불가능한 블랙홀도 당연하듯이 탈출하는데 뭐...
  2. 하지만 피닉스가 머슬 스파크를 깨뜨렸을 때는 스구르는 카지바노 쿠소치카라가 없어서 약한데다가 피닉스는 사악 초인신 5인의 힘을 모두 받아들인 막강한 상태였던 상태였기에 홀드를 풀었고 인페르노의 경우 키드가 빙의한 덕분에 풀었지만 다시 한번 당했을 때는 못 풀었다. 깨졌다는 것에 임팩트가 강해서 그렀지 깨진상황 다 특수한 상황이었다.
  3. 따라서 펜타곤도 반격 가능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스위치를 건드릴려면 손이 하나 풀려있어야 하니 스파크와 리벤져의 경우 못 할 가능성도 있다.인페르노는 안된다
  4. 하지만 이것도 허리를 뒤로 90도 가까이 접을 수 있을 때의 이야기다(...)
  5. 근육맨이 키드가 빙의했을 때 사용한 방법인데 후에 피닉스와 대결 중에 한번 더 피격당하는데 못한것을 보면 의외로 하기 어려운 듯하다. 또한 떨어트릴려고 해도 상대가 이를 예상하고 버티거나 피격직전에 떨어뜨리면 FAIL
  6. 기술의 전초와 대략적인 형태는 같지만 관절기를 걸 당시 양 팔을 머리 뒤로 교차해서 꺾으며 고간 측에 다리를 거는 것이 아닌 무릎과 발목을 걸어내 꺾어내고, 낙하할 때 다리를 거는 것은 같으나 손목이 아닌 상박(어깨부터 팔꿈치)를 잡아내서 낙하하는데 머리를 안쪽이 아닌 바깥쪽으로 G를 주면서 목을 부러트리고 전신을 바닥에 찍어서 으스러트린다.
  7. 상대방을 죽일 마음으로만 써야 제 위력이 나오며 대결에서 패배한 자들 또한 진화할 가능성이 있는데 그런 상대를 살해하는 것은 그 가능성을 빼앗는 행위이기에 스스로 자신의 기술을 반성하며 불완전한 기술이라고 매도하게 되었다고 한다.
  8. 대표적으로 머슬 리벤저의 경우 철기둥 머리를 부딪치게 하지않고 링 바닥에 부딪치게하면 강력한 타격기 수준으로 쓸 수 있다.
  9. 스파크=4킬, 리벤져=1킬 인페르노=0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