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에서 언급하는 정보는 기초적인 지식으로만 받아들여야 합니다. 바다위키에 등재된 의학 정보를 맹신하지 마십시오. 본 문서를 의료행위, 자가 진단, 교육 등에 활용함으로 인해 불이익이 발생해도 바다위키는 법적 책임을 질 의무가 없습니다. 건강 관리와 질병 진단은 반드시 병의원·보건소 등 전문 의료기관만을 이용해야 합니다.
의학 관련 문서에 오해를 낳을 가능성이 있는 자의적인 생각이나 공인되지 않은 학설 등의 확인되지 않은 정보는 타인의 건강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筋肉痛 / Myalgia
1 개요
근육에 느껴지는 통증을 의미한다. 원인은 다양하다. 일상에서 흔히 만나는 원인으로는,
- 삐거나 늘려지는 부상
- 과도한 근육 사용
- 긴장, 스트레스
- 평소에 전혀 운동하지 않다가 갑자기 운동한 경우
- 설사 등으로 수분이 과도하게 저조해 진 경우
등이 있다.
다른 원인으로는,
- 의약품/마약의 부작용
- 질병
- 전해질 불균형
- 염증
- 신경증 : 어휘 선정을 잘못 한 것이 아니다. 실제로 우울증 등에서 하루종일 몸을 움직이기도 싫은 권태감이나, 공포증 등등에서 공포의 대상을 떠올리거나 실제로 볼 때 문자 그대로 뭔가가 마비되는 느낌이 근육통이란 견해가 있으며, 드물게 이런 환자들에게 근이완제나 IMS 치료 등 근육통을 경감시키는 처방으로 효과를 보는 경우가 실제 있다.
1.1 운동에 의한 근육통
DOMS;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소위 '알이 밴다'고 말하는 그 현상. 젖산에 의해 일어난다는 속설도 있으나, 젖산은 그냥 운동 부산물일 뿐이다. 최근에는 젖산이 오히려 근육통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분비된다는 학설도 제기되었다. 명확하게 검증되지는 않았으나, 과도한 운동으로 인해 근육의 연결 조직 등에 미세한 손상이 생기고, 이로 인해 통증이 생기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대체로 심한 운동을 한 다음 날에[1] 근육통을 느끼게 되며, 통증이 느껴지는 부위에는 제대로 된 힘이 들어가지 않게 된다.[2] 적으면 1일, 심하면 3일 넘게까지 지속되며 꽤나 고생스럽다. 원래는 잘 할 수 있는 일을 통증 때문에 할 수 없게 되기도 한다(팔굽혀펴기, 무거운 짐 들기 등).
특히 의외로 근육통에 걸리면 가장 골치아픈 부위는 다름아닌 배, 즉 복근. 여기에 근육통이 생기면 일상생활 곳곳에서 예상치 못한 복통으로 충격에 빠질 수 있다. 특히 재채기를 할 때 배에 가해지는 고통은 상상 이상. 웃을때도 아프다 으아악
그렇지만 근육통이 느껴진다는 것은 해당 근육 부위의 근섬유가 파괴되었다는 뜻이고, 이는 휴식과 영양섭취를 통해 더 강한 근섬유로 재생된다. 즉, 근육이 단련된다는 것을 의미하니 긍정적으로 생각하자. 게다가 운동을 거듭할수록 통증 자체에도 익숙해져서 오히려 운동 후 뻐근한 느낌이 개운하다고 느끼는 사람도 있다. 문제가 있다면 섭식장애가 있는 사람에겐 헬게이트가 열린다(...)
근육통은 뚜렷한 치료 방법이 없다. 시간이 약이다. 파스든 안마든 직효는 없다. 다만 혈액 순환을 도와주는 모든 것은 약간의 효과가 있다. 마사지, 얼음 찜질, 미지근한 물에 목욕, 가벼운 운동 등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 필요하면 적절히 소염진통제를 복용해도 좋다. # 근육통 때문에 온몸이 비명을 지르는데 목욕은 몰라도, 가벼운 운동이라니? 좀 의아한 얘기일지도 모르지만 부상이 아닌 근육통인 경우 적극적인 휴식(Active Rest)적인 개념으로, 평소 운동량의 60퍼센트 수준으로 가벼운 육체 활동을 해주는편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 폼롤러나 스포츠테이프 등의 보조 요법을 쓰는 것도 좋다.
주로 마라토너들이 빠지는 러너스 하이 중독은, 이 근육통을 줄이기 위해 분비되는 엔도르핀에 인체가 중독되었을 때 발생한다.
1.2 근막동통증후군 (Myofascial Pain Syndrome)
근육긴장 등등이 너무 오래 지속된 나머지 근육의 어느 부분에 멍울(Trigger Point)이 져서 힘을 빼고 싶어도 뺄 수가 없게 되는 상태. 물리적인 이유로 통증이 생길수 있고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통증이 생길수도 있다.[3] 이게 환자들 본인은 죽을만큼 아픈데[4] MRI나 CT 등등 검사기구엔 된통 잡히질 않는지라 웬만한 의사들도 꾀병 취급을 해버리는 경우가 많다. 실제 진단은, 근골격계 구조에 대해서 잘 알고 있는 정형외과 의사가 TP가 예상되는 부분을 직접 만져서 멍울을 확인하는매우 아플거같은데...방식으로 이뤄진다.
근막통증후군, 근막통증증후군, 근막동통증후군 등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며, 여튼 '근막', '통', '증후군' 이 세 어절이 저 순서대로 들어있기만 하면 된다. 가장 보편상식적으로 말하면 담. 현대의 마취통증의학의 가장 큰 관심사. 동네 돌아다니다가 허리/목 등등의 통증을 비수술 요법으로 고쳐준다는 병원이 있으면 거진 근막통증후군을 다루는 곳이다. 양방에서 침술을 베꼈다고 말이 많았던 IMS와 TPI 요법이 이 근막통증후군을 치료하다가 나온 요법이다. (다만 일단 국내법의 판결로는 IMS와 한방침술은 서로 다른 요법이다.) IMS는 그 Trigger Point에 침을 놓는 요법이고 TPI는 주사기로 마취제를 주입하는 요법인데, 한번한번 놓을때마다 그 고통은 맞아본사람만이 안다. (IMS는 날개뼈 부위에 6cm짜리 침 놓는 게 기본이다.) 다만 저렸던 부위가 개운해지는 효과도 직빵이다. 알보칠 실제로 IMS와 한방침을 같이 맞아본 사람의 증언에 따르면, IMS에 익숙해지면 한방침은 침 같지도 않다고 한다.
서양 의학에서는 대체로 물리치료 및 근육이완제를 병행하여 치료하며, 체외충격파 치료(ESWT)가 새롭게 각광받고 있다. 근막통증증후군은 쉽사리 안풀리며 침을 맞고 물리치료를 하면 근육이 이완되어서 좀 나아진다. 병원을 못갈 상황이면 찜질기를 활용할 수 있으면 활용하고 수건을 뜨거운물에 적셔 짜내어 아픈부위에 찜질을 하면 고통이 좀 덜하게된다. (환자의 아픈정도에 따라 효과를 볼 수도 안볼수도 있다)
한편 묘하게 환자의 정서 문제를 해결해 주면 풀리는 경우가 있는데, 위에서 말했던 IMS로 우울증 치료했다는 경우도 우울증에 수반되는 신체화 장애를 근막통증후군으로 보고 치료한 경우고, 근막통증후군으로 3년간 전문 병원에서 치료받던 환자가 (근막통증후군 전문 병원으로 의료신문에도 실렸고 수련의들이 참관까지 오던 병원이었다) 군대에 제출할 진단서를 뗐는데 신체화 장애로 병명이 적혀있던 경우도 있었다.- ↑ 개인차가 있지만 근육통은 보통 운동 후 24시간 즈음에 시작된다.
- ↑ 감각적으로는 '나는 힘을 주려고 하는데, 왠지 몸에 힘을 주는 방법을 잊어버린것 같다.' 또는 '나는 분명히 힘을 주고 있는데 힘이 어디론가 샌다'에 가깝게 느껴진다.
그냥 힘주려도 아파서 못준다 - ↑ 의학적으로는 운동신경의 블라블라 어쩌구로 근섬유가 비정상적으로 짧아진 상태라고 설명하는데, 근육은 힘을 주면.움츠러들면서 그 힘으로 끌어당기는 운동밖에 없는 걸 생각하면 환자한테 와닿는 설명은 저것.
- ↑ 오죽하면 저 멍울을 가리키는 다른 이름이 Jumping Point다. 누르면 아파서 팔짝 뛸 정도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