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드부와는 다르게, 주로 클래식컬한 악기, 즉 현악기나 관악기를 다루는 현악부나 관악부가 합쳐서 편성되어 있거나 그 둘로 분리되어 있다.
우선 개설되어 있는 학교가 적다. 이유는 엄청난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인데, 일례로 바이올린만 하더라도 연습용을 산다고 할지라도 개당 5-10만원에 이른다. 악기를 가진 사람만 모으면 당연하게도(...) 인원이 모자라 개설될 수 없기 때문에 보통 학교에서 연습용 악기 정도는 지원해주는데, 열 명이 들어온다손 치더라도 50-100만원에 이르는 돈이 필요하다. 게다가 자기 악기가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험하게 다루는 경우가 많고 악기관리가 힘들기 때문에 1년을 넘겨 후배에게 물려주는 것은 고사하고 몇 달, 심하게는 한 달에 하나꼴로 부서지고 고장나기 때문에 우리학교는 다 찌그러진 30년 넘게 쓰고 있는 악기도 있는데 그야말로 예산잡아먹는 괴물 . 게다가 활이나 줄 등의 부대비용을 생각하면, 안심하기는 이르단다.
게다가 악기라는 것이 진지하게 오래(적어도 반 년) 배워야 어느정도 배운 티가 나는데, 클럽 활동 시간에만 잠깐잠깐 모여서 레슨을 받거나 연습한다고 해서 잘 될리가 없다. 점심시간이나 방과후에 연습하는 등의 활동이 필수적인데, 입시위주교육에서는 그런 것을 대체로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실력이 안는다 → 하기 싫다 → 실력이 늘지 않는다... 이런 사이클로 가는 경우가 많아 참여율이 갈수록 저조해지기도 쉽다.[1]
또 내부에서도 격차가 큰데, 소수의 학생들은 비교적 비싼 악기를 가지고 별도의 수강을 받는 경우가 있어[2], 연습용 악기를 가지고 CA시간에만 모이는 다수의 학생들과 구별된다. 이럴 경우, 소수의 학생이 다수의 학생을 가르쳐줄 수도 있지만 나쁘게 될 경우 위화감이 조성될 수도 있고 학예회나 축제 등에서 공연을 하게 되어 있는 동아리 특성 상 일부 못하는 학생들이 제외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어 안 좋을 수 있다.
특히 중학교의 경우 예술고등학교 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이 들어올 경우 동아리가 적절히 운영될 수 있지만, 알짜들이 예고로 다 빠지고 넘어온 일반계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하지만 기존에 악기를 배워보고 싶었던 학생들에게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으니, 부정적으로만 보기에는 어려운 면이 있다.
물론 실제로 예산이 꽤나 들어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