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손

金馹孫
(1464 ~ 1498)
김일성과는 다르다! 김일성과는![1]

조선시대문신. 김종직의 제자이기도 하다. 본관은 김해. 자는 계운(季雲), 호는 탁영(濯纓), 시호는 문민(文愍).

김일손은 1486년(성종 17) 문과에서 2등을 하고 승문원(承文院)에 배속되어 벼슬길에 나섰다. 그는 이후 홍문관, 승정원, 사간원, 사헌부 등의 관직을 두루 거쳤는데, 이는 조선시대 엘리트 관원들이 역임하는 청요직(淸要職)이었다.

무오사화는 바로 김일손이 성종 재위시 사관(史官)으로 있으면서 썼던 사초(史草)에서 비롯되었다. 이 일로 인해 김일손은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여러 학자들과 함께 처형을 당하였다. 이때 수많은 사람이 화를 입었는데, <연산군일기>는 이 과정을 생중계하듯이 낱낱이 적어서 후세에 전했다.

김일손은 일찍이 스승으로 섬긴 김종직을 닮아 사장(詞章)에 능했으며 당시 고관들의 부패와 불의를 규탄하였다. 김일손이 세조에 대한 비판과 훈구파의 전횡을 사초에 올린 것은 죽기를 각오하기 전에는 어려운 일이다.

그렇다고 무오사화에 항목에 보면 관리로서 능력은 형편 없었다 사관으로서 일처리가 경솔하고 헛소문을 사초에 기록하고 스승의 잡글을 사초에 기록하여 자기 스승과 동문들에게 화를 입혔으니 성격은 강직할지 몰라도 그 경솔함 때문에 자기와 스승까지 화를 자초하였으니 말이다. 왕과 비에서는 1958년생 배우 이경영이 연기하였다.
  1. 고우영 연산군에서는 실제로 이 드립을 시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