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화물

耐火物 / Refractories

고온, 고열에 견딜 수 있는 물질을 지칭하며, 1000℃이상의 고온에서도 타거나 물질이 연질화되지 않고 버틸 수 있기 때문에 고온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제철소나 시멘트, 유리, 각종 소각로나 화장장에 이르기까지 불을 이용한 작업이 있는 곳이면 거의 다 사용하는 물질들이다.

흔히 건축재료로 사용되는 내화재료는 불에 어느정도 견딜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그 성질이 완전히 다르며, 내화물의 경우에는 주 사용처의 특징 상 1500℃가 넘는 고온[1]상에서도 버틸수 있어 상대적으로 더 가혹한 조건을 버텨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내화벽돌 제품으로 제조되어 건축자재로도 많이 사용되며, 제철소의 노재나 축로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내화물의 대부분은 포스코현대제철의 일관제철소에서 노재 및 축로공사용 재료로서 소화되고 있는 중이다.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제철소에서 철을 녹이거나 녹인 철이 담겨져있는 도가니나 그릇의 안쪽에서 그릇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 및 제품들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주로 알루미나와 실리카 계열의 물질들이 많으며, 이외에도 규석질, 점토질(샤모트질), 납석질, 고알루미나질, 마그네시아질, 드로마이트질, 지르콘질, 탄화규소질 물질들이 제조에 사용된다. 이 물질들을 이용해 생산한 내화물은 산-중성/염기성 내화물 또는 정형/부정형 내화물로 구분하며, 사용처 및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다고.

이 물질을 생산하는 업계는 업계 특성상 대부분 고정적인 공급거래선을 가지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포스코현대제철이 각각 내화물을 중점적으로 공급받고 시설을 관리받는 기업을 한 곳씩 두고 있으며, 이외 제강회사나 시멘트 등의 내화물 수요처들에게 내화물을 공급하고 있는 기업들이 존재한다.

철강산업이 사회간접자본 산업인데다가 수요가 커지면 커졌지 줄어들 일이 거의 없는 산업이라 내화물 관련 기업들은 매출이 꾸준하지만 B2B[2] 산업이기 때문에 일반인의 인지도가 바닥을 기고 있다는 점(...) 역시 특징이다.

광우병 논란/인터넷 속설 : 변성 프리온이 섭씨 6천도에서도 견딘다는 주장이 있는데 이게 사실이면 변성 프리온도 당당히 내화재에 들어가야만 맞는다. 그리고 개발해낸 사람은 진작에 노벨상 타고 세계적 명문대학의 교수로 떵떵거리며 전세계에서 달러를 그야말로 포대째 쓸어담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시궁창...

내화물 업계에 종사하는 뭇 위키니트들의 추가바람
  1. 철이 용융이 시작되는 온도이다.
  2. Business to Business. 일반 소비자가 아닌 기업 간의 상거래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