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종양

이 문서는 의학과 관련된 내용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언급하는 정보는 기초적인 지식으로만 받아들여야 합니다. 바다위키에 등재된 의학 정보를 맹신하지 마십시오. 본 문서를 의료행위, 자가 진단, 교육 등에 활용함으로 인해 불이익이 발생해도 바다위키는 법적 책임을 질 의무가 없습니다. 건강 관리와 질병 진단은 반드시 병의원·보건소 등 전문 의료기관만을 이용해야 합니다.

의학 관련 문서에 오해를 낳을 가능성이 있는 자의적인 생각이나 공인되지 않은 학설 등의 확인되지 않은 정보는 타인의 건강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국제질병분류기호(ICD-10)C70~C72
진료과신경외과
관련증상
관련질병

Brain tumor, 腦腫瘍

안에서 생기는 종양으로 뇌실질(腦實質)에서 생기는 종양 이외에도 뇌막, 뇌하수체 등의 내분비선, 뇌신경에 발생하는 종양 등을 모두 포함한다. 두개내종양은 원발성인 것과 전이성으로 나뉜다. 뇌(腦癌)이라고도 한다.

뇌종양의 증세는 대부분 두개골 내의 종양의 크기가 커짐으로써 더이상 자랄 공간이 없어 그에 따른 뇌압 상승으로 생기는 지속적인 심한 두통간질, 구토 등이다. 그러나 종양이 생긴 위치에 따라 증상은 천차만별이다. 그리고 1~2살 어린 아이부터 10대 초중고생, 20대 대학생/직장인들도 상당히 많이 걸리는 질병으로 나이를 가리는 암이 아니다.

뇌종양에도 종류가 나뉘어져 있는데, 신경교종(악성), 성상세포종(양성), 악성성상세포종(악성), 교모세포종(악성), 수막종(양성), 뇌하수체 선종(양성), 신경초종(양성), 선천성종양(양성), 두개인두종(양성) 전이성 뇌종양(악성)으로 나뉘어져 있다.

특히 신경교종이나 성상세포종 같은 뇌종양은 발생 단계부터 가지고 태어난 세포에서 유래되는 악성 종양이므로 매우 어린 나이에 앓는 경우가 대부분이다.[1]

국립암센터 사이트 글에 따르면 뇌종양인줄 모르고 양극성 장애조현병인줄 알고 정신건강의학과에서 그 치료만 받고 시간만 허비했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또한 안과나 내과의 경우는 안과의 경우는 시력이 이유없이 저하되어 쓸데없는 안과 치료에 시간만 허비하거나[2] 내과의 경우는 지속된 구토로 쓸데없는 검사로 소화제 치료만 하다가 결국 뇌종양이 진행되어 치료가 불가능해졌다는 안타까운 이야기가 있다.

그만큼 뇌종양 자체는 종양 중에서도 드물게 걸리는 종양 질환에다가 일반인들의 경우는 쉽게 걸리기 힘든 질병이라는게 원인이며, 또한 각과의 협진보다는 과중심으로 해결해보려는 의사들의 문제가 있으며, 일반인들의 잘못된 의료상식과 저렴하고 편한 검사와 치료만 받으려는 환자의 보호자들 더해지면서 이러한 의료 분위기로 인해서 뇌종양 환자들 중에서 손도 못쓰고 사망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한다.

뇌종양의 치료는 수술적 절제-방사선 치료-항암 치료로 이루어지며, 대부분의 환자가 저렇게 치료받는다. 물론 양성 뇌종양은 거의 방사선 치료 및 항암 치료를 하지 않는다. 수술적 절제가 대부분. 그러나 해부학적인 특징상 양성이라도 수술적 절제가 힘들거나 불가능한 뇌간부 종양에서는 추적 관찰이나, 방사선 치료를 고려한다. 악성의 경우 수술 및 항암/방사선을 시도한다. 지난 몇십년간 뇌종양 치료는 위의 세가지 방법으로만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면역 치료, 바이러스 치료, 전기 자기장 치료 같은 기법들이 연구되어 현재 임상중이다.

전기 자기장으로 치료하는 TTF 노보큐어가 미국 등지에서 제한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뇌종양이 아닌 다른 암을 치료하는 용도로 개발되어 쓰이고 있는 항암제나 다른 질병을 치료하는 약제들 중에서도 악성 뇌종양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동물 실험으로 밝혀지면서 사람을 상대로 임상실험을 앞두고 있거나 진행 중인 리포지셔닝 약물들이 많으므로, 임상 실험이 성공한다면 향후에는 수술+방사선+테모졸로마이드 (이외 기타 약제 병용)가 유일한 항암 요법인 현재보다 표준 치료의 폭이 넓어질 것으로 보인다.

가장 먼저 새벽이나 아침에 극심한 두통(두통 약을 먹어도 낫지 않고 지속적인 경우), 안과와 내과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시력 저하[3]와 구토가 생기거나[4] 정신과에선 원인을 알 수 없는 정신 이상 증세가 생겼을때는 신경과와 신경외과에 방문을 해서 각종 검진을 통해 아는 것 이외에는 방법이 없다.

그뒤 종양이 발견되고 수술이 끝나고 치료가 시작된 다음부터는 후유증이 생기면 안과, 내과, 정신과 등에 가서 추가 치료를 받는게 중요하다.

가장 중요한 신체 기관인 뇌에 발생하는 종양인 만큼 예후는 매우 좋지 않은 편. "악성"자가 붙은 건 현대 의학으로는 완치가 어렵다. 특히 교모세포종은 가장 악성의 암으로써 평균 생존기간이 2년 남짓이다. 교모세포종은 신경교종의 일종으로, WHO에서는 신경교종을 4단계로 분류하고 있는데, 그 중 가장 좋지 않은 4단계가 바로 교모세포종이다. 증식 속도가 빠르고 침윤성이 강해 수술로 완전히 절제를 하기 어렵기 때문에 재발이 흔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악성 뇌종양의 항암제 내성 원리와 재발 메커니즘 등이 하나씩 밝혀지고 있으므로 치료의 실마리가 보이고 있다는 것은 다행이라고 할 수 있겠다.

예후는 좋지 않지만 가끔 기적적으로 5년, 10년 이상 장기 생존하는 환자의 경우가 실제로 있다. 양성 뇌종양 중에서도 성상세포종, 두개인두종, 뇌간에 생긴 종양도 완치가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나 뇌간의 경우 숨골이 있어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에 수술하기가 까다로워, 의사들 가운데서도 권위자를 찾아가라고 할 정도이다.

악성 중에서도 수모세포종은 수술과 방사선 치료, 항암 화학요법등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다.

뇌하수체 종양은 뇌 아래에 있는 콩알만한 크기의 뇌하수체에 생기는 종양으로 진행속도가 느리고 증상이 늦게 나타나기 때문에 종양의 크기가 10mm 이상의 거대선종이 됀 후에야 발견됀다. 특별히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천천히 커지기 때문에 다른 병을 진료받다가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5] 발병시 각종호르몬계통의 이상이 생기며 고프로락틴선종, 말단비대증(거인증), 쿠싱씨병, 비기능성 뇌하수체 종양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코요태빽가가 2009년 뇌종양 판정을 받고 수술과 치료를 통해 완치된 적이 있다.
  1. 소아암 병동에 뇌종양 환자가 많은 이유이기도 하다.
  2. 안과 검진으로 확인 가능한 뇌종양의 대표적 징후로 시신경 유두가 붓는 '시신경 유두부종'이 있다.
  3. 안경으로 교정되지 않음.
  4. 뿜어내듯 분출하는 사출성 구토.
  5. 만성두통 또는 시신경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