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丈夫
큰 어른 남자라는 의미로, 남자다운 남자를 가리킨다.
어쩌면 군자보다 대인배에 더 걸맞는 표현일지도(…). 특히 한국과 같은 유교 문화권에서는 현대에 들어와서 쓰이는 대인배라는 표현에 그대로 대응하는 것이 대장부라고 할 수 있다. 색목인 말로 하자면 의미가 변색되기 전의 Macho라고 할 수 있겠다.
네이버 백과사전에는 이 말의 어원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다.
《맹자(孟子)》 등문공편(文公篇) 하(下)에 보면, 대장부란 과연 어떤 사람인가에 대해 맹자가 한 말이 나온다. 경춘(景春)이란 사람이 맹자에게 말하였다. "위(魏)나라 사람 공손연(公孫衍)과 장의(張儀)는 참으로 대장부가 아니겠습니까? 그들이 한 번 성을 내면 모든 제후들이 또 전쟁이 일어나지 않을까 근심하고, 그들이 조용히 있으면 온 천하가 조용하니 말입니다." 그러자 맹자가 이렇게 대답하였다. "그런 것을 가지고 어찌 사내 대장부라 하겠소. 그대는 아직 예기(禮記)란 책을 읽어 본 적이 없소? 거기에 보면 이런 말이 있다오. '장부가 처음 성인이 될 때는 아버지가 교훈을 주고, 여자가 시집을 가면 어머니가 교훈을 준다. 어머니는 딸을 전송하면서 시집에 가거든 시부모님께 존경을 다할 뿐 아니라 자신을 항상 경계하여 남편에게 어기는 일이 없게 하여라고 한다.' 하였소. 이처럼 순종하는 것을 바른 도리로 여기는 것은 단지 부녀자의 생활에 지나지 않소. 저 공손연과 장의가 다만 자기 임금의 뜻에 순종하여 높은 벼슬자리를 차지하려 하니 어찌 사내 대장부라 하겠소. 대장부라면 모름지기 천하의 가장 넓은 곳에 살며, 천하의 가장 바른 지위에 서서, 천하의 가장 큰 도를 행하여야 하오. 그리하여 뜻을 이루면 백성과 더불어 말미암고, 뜻을 얻지 못하면 홀로 그 도를 행하여, 부하고 귀하여도 능히 음란하지 않고, 가난하고 천하여도 능히 지조를 잃지 않으며, 위엄과 힘을 가지고도 능히 굽힐 수 없는, 그런 사람이야말로 대장부가 아니겠소?" 이 편은 맹자가 변설로 천하를 누비는 종횡가들을, 남편의 비위나 맞추는 교활한 첩이나 영리한 아내에 비유해 통렬히 비난한 것이다. 맹자에 의하면, 대장부란 천하의 큰 뜻을 품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시속에 굴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는 사람이며, 뜻을 이룬 후에도 교만하지 않고, 뜻을 이루지 못하더라도 비굴하지 않은 사람이다. |
위의 일화에서 경춘이 말하는 대장부는 능력자, 맹자가 말하는 대장부는 군자임을 알 수 있다. 즉 원래는 단순히 능력자라는 뜻으로도 쓰였던 말인데 유교가 보편적인 사상이 되면서 그 뜻이 높게 변했다고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유교적인 전통을 고수하는 곳에서 가끔 들을 뿐 현대에 들어와서는 잘 안 쓰인다.
일본에서 대장부라는 말은 놀랍게도 '괜찮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래선지 처음 일본어를 배우는 사람들은 '대장부'의 의미를 잘못 이해하기도 하였다.
예시)
A : "대장부냐?괜찮아? 안 아파?"
B : "대장부다 괜찮아. 문제 없어."
그 장비는 대장부인가?
하루나는 대장부예요!
대장부야, 절대 대장부라고!
대장부예요 대장부예요 대장부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