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Miss A의 전 멤버 孟佳에 대해서는 멍지아 문서를,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의 등장인물에 대해서는 오탈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소개

파일:亞聖.jpg[1]

"仁은 사람의 마음이요, 義는 사람의 길이다.

그 길을 내버리고서는 따르지 않고, 그 마음을 놓치고서는 찾을 줄 모르니, 슬프구나!"

孟子(BC 372 ? ~ BC 289 ?)

아성(亞聖)[2]

중국 전국시대 후기의 철학자, 정치가, 정치사상가로, 그 본명은 맹가孟軻. 공자孔子의 仁 사상을 현실 정치에 적용하여 논리적으로 체계화한 인물이며, 선진유가先秦儒家[3] 정신주의의 적통嫡統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대표적인 제자로는 만장과 공손추 등이 있으며, 주자(주희)에 의해 특히 부각되어 현재까지 한국에서 '유교의 대표 인사'로 꼽히고 있다.

부당한 권력에 대한 백성의 저항을 옹호하고, '왕의 권력은 백성들이 부여하는 것이다'라고 주장하는 등 그가 살았던 시대에 비해 매우 진보적인 주장을 한 인물이다. 맹자의 사상은 계몽주의 이후에 나타는 사회계약론과 굉장히 닮아있다. 사실상 근대 서양에서 사회계약론이 배태되기 수천년 전에 선행해 등장한 민(民) 본위의 사상이라 하여도 손색이 없다.[4]

원 문종 3년(지순至順 원년, 1330년)에 추국아성공鄒國亞聖公[5] 으로 추봉追封되었고, 이것이 현재 성균관 대성전 등지의 공문사당孔門祠堂 위패에 표기되는 공식 존호다.

라틴어로는 멘치우스(Mencius)[6]라 한다. 공자와 같은 이유로 라틴어화된 이름으로 불리는 둘뿐인 중국 학자다.

2 활동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사상계가 양주楊朱[7]묵적墨翟[8]의 사상에 경도되어 유학의 영향력이 약화되고 있다고 판단한 맹자孟子는 유학의 수호자를 자임하면서 공자孔子의 사상을 계승하는 한편, 다른 학파의 사상적 도전에 맞서 유학 사상의 이론화 작업을 전개하였다. 그는 공자의 춘추시대春秋時代에 비해 사회 혼란이 가중되는 시대적 환경 속에서 사회 안정을 위해 특히 '의義'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맹자가 강조한 '의'는 공자가 제시한 '의'에 대한 견해를 강화한 것이었다. 공자는 사회 혼란을 치유하는 방법을 '인仁'의 실천에서 찾고, 인의 실현에 필요한 객관 규범으로서의 '의'를 제시하였다. 공자가 '인'을 강조한 이유는 자연스러운 도덕 감정인 '인'을 사회 전체로 확산했을 때 비로소 사회가 안정될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때 공자는 '의'를 '인'의 실천에 필요한 합리적 기준으로서 '정당함'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맹자는 공자와 마찬가지로 혈연관계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도덕 감정인 '인'의 확산이 필요함을 강조하면서도, '의'의 의미를 확장하여 '의'를 '인'과 대등한 지위로 격상하였다. 그는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은 '인'이고, 형을 공경하는 것은 '의'라고 하여 '의'를 가족 성원간에도 지켜야 할 규범이라고 규정하였다. 그리고 나의 형을 공경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남의 어른을 공경하는 것으로 나아가는 유비적 확장을 통해 '의'를 사회 일반의 행위 규범으로 정립하였다. 나아가 그는 '의'를 개인의 완성 및 개인과 사회의 조화를 위해 필수적인 규범으로 설정하였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개인은 '의'를 실천하여 사회 질서 수립과 안정에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맹자는 '의'가 이익의 추구와 구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입장에서 그는 사적인 욕망으로부터 비롯된 이익의 추구는 개인적으로는 '의'의 실천을 가로막고, 사회적으로는 혼란을 야기한다고 보았다. 특히 작은 이익이건 천하의 큰 이익이건 '의'에 앞서 이익을 내세우면 천하에는[9] 필연적으로 상하 질서의 문란이 초래될 것이라고 역설하였다. 그래서 그는 사회 안정을 위해 사적인 욕망과 결부된 이익 추구는 '의'에서 배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맹자는 '의'의 실현을 위해 인간에게 도덕적 행위를 할 수 있는 근거와 능력이 있음을 밝히는 데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도덕 행위를 할 수 있는 선한 마음이 선천적으로 내면에 갖춰져 있다는 일종의 도덕 내재주의를 주장하였다. 그는, 인간은 자기의 행동이 옳지 못함을 부끄러워하고 남이 착하지 못함을 미워하는 마음을 본래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마음이 의롭지 못한 행위를 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동기로 작용한다고 보았다. 아울러 그는 어떤 것이 옳고 그른 것인지 판단할 수 있는 능력도 모든 인간의 마음에 갖춰져 있다고 하여 '의'를 실천할 수 있는 도덕적 역량이 내재화되어 있음을 제시하였다.
맹자는 '의'의 실천을 위한 근거와 능력이 인간에게 갖추어져 있음을 제시한 바탕 위에서, 이 도덕적 마음을 현실에서 실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하였다. 그는 본래 갖추고 있는 선한 마음의 확충과 더불어 욕망의 절제가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특히 생활에서 마주하는 사소한 일에서도 '의'를 실천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그는 목숨과 '의'를 함께 얻을 수 없다면 "목숨을 버리고 의를 취한다."라고 주장하여 '의'를 목숨을 버리더라도 실천해야 할 가치로 부각하였다.
ㅡ 2014년 9월 대수능 모의고사 비문학 지문 (17번 ~ 21번)

공자의 사상을 독자적으로 연구하면서, 양주묵적을 까고, 전국시대의 패도적 부국강병을 반대하고, 도덕적으로 정치하면 오히려 부국강병을 이룰 수 있다는 왕도정치를 말하였다.

공자의 인仁 사상을 본격적으로 현실 정치에 적용하고자 했던 맹자는 자신을 초청한 제후들에게 '인仁한 정치를 할 것[10]'을 역설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맹자는 본래 인仁의 크기를 헤아리는 척도의 덕목, 즉 부수적인 덕목의 위치에 있던 의義의 지위를 격상하고 인仁과 병칭하여 인의仁義라 명명하였다. 이 연유는 자사子思[11]가 남긴 《중용中庸》을 참고하여 이해할 수 있다.

중용》에서 공자가 이르기를; "인仁은 인人이요, 의義는 의宜이다[12]"하였는데, 이때 인仁을 풀이한 인人은 '사람다움'을, 의義를 풀이한 의宜는 '마땅함'을 뜻한다. 맹자는 여기서 '사람다움[仁]'은 물론이요, 더불어 '마땅함[義]'에도 주목하였다. 곧 공자의 인仁 사상에 강력한 '당위 개념'을 첨가하여 유가儒家 정치학의 논리를 견고하게 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이번엔 '당위의 당위성'을 설명해 줄 '성선설性善說'이 도출되게 된다. 그 자세한 바는 하위 항목에서 후술.

사마천의 《사기》 맹순열전에 따르면 맹자는 자사 계열에서 배웠다고 하지만, 맹자 본인은 그냥 사숙(私淑, 사적으로 혼자 배웠다)했다고 한다. 참고로 지금 우리가 쓰는 사숙이라는 말 자체가 맹자에서 유래된 말이다. 또한 공자는 방대한 제자들을 길러놓았고, 이들이 대륙 각국에서 활약했기 때문에 맹자만 특별히 공자의 학통을 계승한 건 아니다. 오히려 맹자는 공자의 학통에서 보면 극단적인 지류에 가깝다.

사마천은 맹자의 주장이 당대 군주들에게는 황당하게 들렸을 거라는 평을 내리고 있다. 맹자는 당대 강국이었던 위(양)나라[13]와 제나라 등에 초청되어 차례대로 왕도정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전국시대에 그의 주장은 법가와 군현제의 확산에 눌러 기를 펴지 못했다. 맹자라는 책은 사실상 맹자의 실패의 기록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고 맹자의 사상이 마이너 한 것으로 이해하면 안된다. 맹자는 대단히 높은 평가를 받았던 동시에 자부심도 강한 인물이었다. 생존시의 명성을 기준으로 한다면 공자보다도 더 높았던 것이 맹자였다. 때문에 왕들은 앞다투어 맹자를 초빙하였고 높은 관직과 많은 녹봉을 주었다. 단적으로 맹자는 제나라에서 경-대부-사라는 춘추시대의 3단계 직급중에서도 최상위인 경의 직책에 있었고, 위나라에서 경의 직책에 있었다. 약소국 노나라의 대사구라는 대부 직책에 있었던 공자와 초강대국 제나라의 경의 직책에 있었던 맹자의 녹봉은 그 격이 달랐다. 단적으로 당시 화폐단위가 되었던 를 기준으로 할 때, 공자의 연봉은 조 90톤이 한계였지만 맹자의 연봉은 15000톤에 이르렀다. 너무 많아서 과장된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올 지경이다. 이게 아니라도 맹자가 한번 지나갔다고 하면 주변 군주들이 노자돈을 주지 못해서 안달이었다. 맹자가 제나라를 떠나서 추나라로 돌아갈 때, 지나가는 길에 있던 송나라와 설나라의 군주들은 맹자에게 황금 36kg[14]을 노자의 명목으로 주었다. 왕들이 아니라도, 임나라 왕의 동생 계임은 맹자가 군주들에게 명성을 얻기 전부터 후원을 하였고, 제나라의 고위관직에 있던 저자 역시 맹자에게 자금을 주었다. 이것은 맹자의 명성이 드높았으며, 동시에 평가도 높았다는 방증이다. 맹자의 인치는 인기가 없었지만, 묵가도가처럼 무정부주의 성향을 보이지 않는 것은 왕들이 모두 긍정적으로 수용했다. 그리고 맹자의 명성과 학교를 곁에 두고 싶어하였다. 그리고 작은 나라의 군주들은 맹자를 통해서 자신들의 안전과 이익을 보장받고 싶어했던 것도 같다.

하지만 맹자는 이런 것에 휘둘리고 싶어하지 않았다. 맹자는 고자편에서, '예를 다해주고 말도 들어주면 관직에 나가지만, 예는 다하지만 말을 들어주지 않으면 관직에 물러나는 것'을 임관의 첫번째 기준으로 꼽았다. 하지만 실리적이었던 맹자는 2번째와 3번째에서는 기준을 낮춘다. 두번째는 '말을 들어주지는 않지만 예를 갖춰주면 관직에 나가고, 예도 갖춰주지 않으면 물러나는 것'이고, 마지막은 '굶어죽게 되었는데 왕이 이것을 불쌍하게 여겨서 구제하여 준다면 나가는데, 굶어죽는 것보다는 낫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맹자의 기준은 당연히 첫번째에 있었다. 제나라 왕이 자기 말을 안 들어준다 싶으니 바로 사직계를 내놨다. 제나라왕은 맹자의 명성을 바란 것이었기 때문에 학교건물까지 세워두고 경 관직에서 1/10 정도의 녹봉으로 국학을 맡아줄 것을 대신 청했다. 이것도 국학기준으로는 상당히 파격적 대우이지만 맹자는 거절했다. 마지막으로 제나라를 떠나는 맹자에게 제나라 왕은 송별금조로 '순도 높은 금 100'을 보냈다. 도량형이 적혀있지 않지만, 이것을 같은 단락에서 언급된 것으로 보면 '일'이라는 단위가 되는데 이 기준에서 본다면 황금 30kg 정도에 해당한다. 맹자는 이것을 받지 않고 떠났다. 맹자 공손추 하편에서는 이에 대해서 이런저런 이유를 설명[15]하고 있는데, 아무리봐도 제나라 왕과 틀어져서 화가 나서 그냥 안 받았다 쪽이 가장 합당한 해석으로 보인다. 맹자는 그 만큼 자신의 위치와 역량에 대해서 자부심이 있었고, 그런 맹자를 써먹으려 했던 이들과 서로 투닥투닥하면서 평생을 보냈다.

맹자가 말싸움의 달인이었다고 알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 맹자의 내용을 보면 말싸움이 아니라 그냥 자기들 주장만 늘어놓고 있어서 누가 논파되었는지 나타나지 않는다. 맹자의 무수한 아가리파이트 승리기록인즉 그것이 맹자가 남긴 기록이기에 신빙성이 없다는 주장이 있으나, 원문을 읽어보면 승리했다라는 식으로 서술하지 않았다. 그냥 그 사람은 이렇게 주장했고, 맹자는 이렇게 주장했다는 구조. 소크라테스처럼 직접 맞장 떠서 논파하는 스타일이 아니다. 사실 소크라테스도 말싸움으로 상대를 이겼다기 보다는 상대의 원한만 사는 경우가 많았고, 댓글전쟁에서 알 수 있듯이 이것이 그의 죽음으로 연결되었다.

단지 맹자가 말하는 스타일이 매우 독하기는 했다. 또한 맹자의 말이 남고, 다른 사람들의 말은 사장되었기 때문에 맹자가 결과적으로는 이긴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양식적으로도 맹자가 다른 사람의 말에 반박하고는 한 단락이 끝나는 구조라서 맹자의 주장에 무게가 실리는 편집방식이다. 맹자의 말에 대한 반론이 있었어도 맹자가 가만있었을리 없었겠지. 이런 편집방법은 중국 고전의 여러 사상책에서 찾아볼 수 있고, 현대에서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이는 두 사람이 만나 토론을 나누고 그 결과를 기록한 것이 아니라, 저자가 책을 저술하면서 자신의 주장을 싣기 때문이다.비단 맹자뿐 아니라 위키에서도 수없이 많고, 또 끝없이 변화한다.

2.1 인의왕도론仁義王道論

맹자께서 양梁 땅의 혜왕惠王을 만나 보시니, 왕이 말하였다.

"노선생께서 천 리 길을 마다치 않으시고 내 나라를 찾아 주셨으니, 장차 이 나라에 이익이 있지 않겠습니까?"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왕께서는 어찌하여 꼭 이익을 말씀하십니까? 다만 인仁과 의義가 있을 뿐입니다. 왕이 말씀하시기를; "어찌하면 내 나라에 이익이 있을까" 하시면, 대부大夫는 말하기를; "어찌하면 내 가문에 이익이 있을까" 할 것이고, 사士와 서민들은 말하기를; "어찌하면 내 한 몸에 이익이 있을까" 할 것이니, 이같이 위, 아래가 서로 다투어 이익을 도모한다면, 나라는 반드시 위태로워질 것입니다.
만 수레의 나라에서 그 군주를 시해하는 자는 반드시 천 수레의 가문에서 나올 것이고, 천 수레의 나라에서 그 군주를 시해하는 자는 반드시 백 수레의 가문에서 나올 것인데, 이미 만 중 천을 차지하고, 천 중 백을 차지했다면, 그 소유한 바는 많다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허나, 진실로 의를 뒤로하고 이익을 앞세운다면, 이처럼 빼앗지 않고서는 싫증낼 줄 모르게 되는 것입니다.
허나, 이제껏 인인仁人으로서 그 어버이를 저버린 예는 없었으며, 이제껏 의인義人으로서 그 군주를 뒷전으로 여긴 예는 없었습니다.
왕께서는 다만 인과 의를 말씀하십시오! 어찌하여 꼭 이익을 말씀하십니까?"

"산 사람을 봉양하고 죽은 사람을 장사지내는 데 유감이 없는 사회를 구현함이 왕도王道의 첫걸음입니다."
"5무畝[16]의 택지 주변을 둘러 뽕나무를 심게 한다면, 쉰 넘은 이들이 비단옷을 입을 수 있습니다. 닭, 새끼 돼지, 개, 큰 돼지 등의 가축을 기르는 데 그 번식기를 놓치게 하지 않는다면, 일흔 넘은 이들이 고기를 먹을 수 있습니다. 100무의 전답을 나누어 주고 그 농번기를 놓치게 하지 않는다면, 여덟 식구 딸린 가정에 굶주림이 없게 될 수 있습니다. 상庠, 서序[17]와 같은 교육기관을 설립하여 효제孝悌의 의義를 강명한다면, 머리 희끗한 이들이 짐을 이고서 길거리를 다니는 일이 없게 될 수 있습니다.

노인들이 비단옷을 입고, 고기를 먹으며, 뭇 백성들이 굶주리지 않고, 추위에 떨지 않는, 그러한 사회를 구현하고서도 王 되지 못한 자는 이제껏 있어 본 적이 없습니다."

"군주의 푸줏간에는 살찐 고기가 있고, 군주의 마구간에는 살찐 말이 있는데, 백성들의 낯에는 굶주린 기색이 있고, 들판에는 굶어 죽은 이들의 시체가 널브러져 있으니, 이는 짐승을 몰아다가 사람을 잡아먹게 한 것입니다.

짐승끼리 서로 잡아먹는 것조차 사람들은 혐오하는데, 백성의 어버이 된 자로 정치를 행함에 있어 짐승을 몰아다가 사람을 잡아먹게 함을 면치 못한다면, 어찌 백성의 어버이라 이름될 수 있겠습니까?
중니仲尼[18]가 말하기를; "순장용 목각 인형을 처음으로 만든 자는 그 자손이 없으리라!" 하였으니, 이는 사람의 형상을 만들어다가 부장품으로 썼기 때문입니다.
하물며 어찌 이 백성들을 굶어 죽게 만들 수가 있습니까?"

"힘으로써 인仁의 이름을 빌리는 자를 覇라 이르니, 패는 강대한 나라를 필요로 한다. 덕으로써 인의 본질을 행하는 자를 王이라 이르니, 은 강대함에 기대지 않는다. 湯은 사방 70리의 땅에서 일어났고, 무왕武王은 사방 100리의 땅에서 일어났다.

힘으로써 사람의 복종을 얻었다면 이는 마음으로부터의 복종을 얻음에 따른 것이 아니고, 다만 굴복자의 힘이 넉넉치 못했음에 따른 것이다. 덕으로써 사람의 복종은 얻었다면 이는 마음 한가운데로부터 솟구친 기쁨에 근거한 참된 복종을 얻은 것이니, 일흔 명의 제자가 공자께 복종한 것이 바로 이와 같다.
詩에 이르기를; "서쪽에서 동쪽에서, 남녘에서 북녘에서, 감복해 오지 않는 이 없네" 한 것은, 바로 이를 가리키는 것이다."

상위 항목에서 언급되었듯이, 맹자는 당대 제후들의 부국강병 정책을 '패도覇道'로 규정지었고, 옛날의 성왕聖王들이 행하였던 존덕애민尊德愛民 정책, 즉 '왕도王道'로의 회귀를 주장하였으며, 그 왕도의 실천 덕목으로서의 '인仁'과 '의義'를 제시하였다.

왕도 문서에도 나와 있듯이 왕도는 단순히 도덕에 목숨 거는 정치 형태가 아니다. 반드시 백성들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해 주어야 하며, 그것이 오히려 왕도의 첫걸음이라고 위 인용문에도 명시되어 있다.

사실 본원 유교식으로 본다면 아닌 게 아니라 그것이야말로 인의도덕仁義道德이다.

2.1.1 인의왕도론의 계승

보통 인의론, 왕도론 하면 '맹자의 고유한 사상'이다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뭇사람들이 맹자의 대척점에 서있다 생각하고 있는 순자荀子 또한 '인의', '왕도' 등의 용어를 자기 학설을 펼치는 데에 요체로 삼았다.[19]

순자의 비판 대상은 비단 맹자 뿐만이 아니라 공자를 제외한 제자백가 전원이었다. 순자는 '백가百家의 집대성자', '동양의 아리스토텔레스'로 불릴 만큼 비판철학적으로 대성大成한 인물이었는데, 그는 단순히 '공자님 빼고 다 쩌리거든요, 빼애ㅐ애ㅐㅐㅐ애애앸!!!!!' 거리지 않고, 공자의 사상을 중체中體로 하되 온고지신溫故知新할 수 있는 것이라면 여타 학파의 이론 또한 비판적으로 수용하였다. 예를 들어, 그의 수양론은 도가와 밀접하고, 그의 정체론政體論은 법가와 밀접하다.

따라서 순자는 맹자의 사상 또한 일부 수용하였다. 아니, 수용한 수준을 넘어서 정밀화하고, 발전시켰다. 전문이 매우 기므로, 이에 대해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왕도

국가를 예의로써 선도함. 하나의 불의를 행하여 하나의 무죄한 이를 죽이면 천하를 얻는다 하더라도 그리 하지 않음. [20]
이상을 견지함. 정치 성원은 모두 도의적인 인사. 형법 또한 모두 도의적. 군주는 기민하게 뭇 신하를 부리되 이 또한 도의적인 마음으로써 함. 옛날의 왕자들은 이같이 하였으므로 작은 데에서 시작하여 큰 데에 이르렀고, 천하에 그 밝음이 감추어지지 않아 후세까지 이름이 전해짐. 이른바 '의義가 우뚝 서면 왕자가 됨'은 이를 가리킴.

패도

덕이 온전치 못하고 의가 완전치 못하나 대체로 천하의 도리가 모여있음.
형벌과 포상이 매우 분명하여 천하와 뭇 신하들의 신임을 삼. 한번 선포한 정령을 바꾸지 않으니 백성을 속이는 일이 없음.
한번 협약을 맺는다면 동맹국을 속임이 없음. 옛날의 패자들은 이같이 하였으므로 변방의 나라이면서도 천하를 호령했고, 강대하여 중원을 위태로이 하였음. 이른바 '신信이 우뚝 서면 패자가 됨'은 이를 가리킴.

망도亡道[21]

공리를 일으키는 의와 신에 힘쓰지 않고 오직 사익을 추구함.
작은 이익을 취하는 데 백성을 속이기를 꺼리지 않음. 큰 이익을 취하는 데 동맹국을 속이기를 꺼리지 않음.
본래의 소유를 바로잡을 생각은 하지 않고 남의 소유를 항상 탐냄. 이같이 하므로 그 신하와 백성 또한 그 군주를 속일 마음을 가지니, 때문에 위, 아래가 분열됨. 자연 적국도 그를 경시하고, 동맹국도 그를 의심하므로, 권모술수만 난무하여 마침내 군주 본인은 죽고, 나라는 망하게 되니, 이로써 천하의 큰 치욕거리가 되어 차후 악례惡例를 들 때 반드시 꼽히게 됨.

흥미로운 점은 '패도'의 위상을 중간 수준으로 높이고, 본래 패도의 위상에는 새로이 '망도'를 두었다는 것. 종래의 맹자식 왕패론王覇論을 참고하여 '온고지신'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순자》에는 아예 별도의 편목으로 〈왕패王覇(왕도와 패도)〉 편이 있다.[22] 위키러들의 일독을 권한다.

2.2 성선론性善論

이 문단은 성선설(으)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고자告子가 말했다.

"성性은 고리버들과 같고, 의義는 광주리[23]와 같습니다. 인성人性으로써 인의仁義를 행함은 고리버들로써 광주리를 만듦과 같습니다."
맹자가 말했다.
"선생께서는 고리버들의 성을 따라 광주리를 만든다 여기십니까? 장차 고리버들을 해친 뒤에야 광주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장차 고리버들을 해치고서야 광주리를 만들 수 있다 한다면, 선생의 말씀은 곧 장차 사람을 해치고서야 인의仁義를 행할 수 있다는 말씀이 되어 버리지 않습니까? 천하 사람들을 선동하여 인의에 화禍를 입히는 것은 필시 선생의 이 말씀일 테지요!"

"입이 맛있는 음식을 좋아하고, 눈이 아름다운 빛깔을 좋아하고, 귀가 흥겨운 소리를 좋아하고, 코가 향긋한 내음을 좋아하고, 사지가 편안함을 좋아함은 분명 성性이지만 그 충족은 명命에 달려 있으므로 군자君子는 그것을 성으로 여기지 않는다. 부자 간에 인仁이 있고, 군신 간에 의義가 있고, 주객 간에 예禮가 있고, 현자에게 지智가 있고, 천도天道를 지킴에 성聖이 있음은 분명 명이지만 그 시발始發은 성에 달려 있으므로 군자는 그것을 명으로 여기지 않는다."
"우산牛山은 본래 나무가 무성하여 아름다웠다. 허나 산이 큰 도읍의 교외에 있어 사람들이 날마다 도끼를 들고와 벌목해댔으니 어찌 그 아름다움이 보존될 수 있었겠는가? 그래도 밤낮으로 회복, 생장하고, 비와 이슬이 적셔주었으므로 그루터기에서 다시금 새싹이 움트지 아니한 바 없으나 소와 양들이 몰려와 그것마저 뜯어먹었으니 비로소 이처럼 민둥산이 된 것이다. 사람들은 민둥산 된 모습을 보고서 '저 산에는 일찍이 재목이 없었다' 여기지만 그것이 어찌 산의 성性이겠는가?

사람에게 있는 것 중 어찌 인의仁義의 마음이 없겠는가? 그 양심을 팽개쳐 두는 것은 나무에 도끼질을 하는 것과 같다. 날마다 베어대니 어찌 그 아름다움이 보존될 수 있겠는가? 그래도 밤낮으로 회복, 생장하므로 새벽녘 즈음 기氣의 호오好惡는 남들과 가까움이 근소하지 않게 된다. 허나 대낮에 세속에서 행하는 바는 그것을 다시 옥죄어 망실되게 한다.[24] 이 옥죄임이 반복된다면 밤에 일어났던 기는 존속될 수 없게 된다. 밤에 일어났던 기가 존속될 수 없다면 곧 그 어그러짐은 금수禽獸와 멀지 않게 된다. 사람들은 금수 된 모습을 보고서 '저 사람에게는 일찍이 재질이 없었다' 여기지만 그것이 어찌 사람의 정情[25]이겠는가?
그러므로 합당한 길러짐을 받고서도 장성하지 않는 것은 없으며, 합당한 길러짐을 받지 못하고서도 소멸하지 않는 것은 없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가꾸면 존속되고, 버리면 망실된다. 그 출입에 정해진 때가 없고, 그 향하는 곳은 알지 못하겠다"하셨으니, 이는 사람의 마음을 두고 하신 말씀이 아니겠는가!"

"그 정情[26]을 따져 본다면, 곧 선善을 행하기에 가하니, 때문에 이른바 성선性善이라 하였다. 불선不善을 행한다면 그것은 재질의 죄는 아니다. 사람이라면 다 측은지심惻隱之心이 있고, 사람이라면 다 수오지심羞惡之心이 있고, 사람이라면 다 공경지심恭敬之心이 있고, 사람이라면 다 시비지심是非之心이 있다. 측은지심은 인仁, 수오지심은 의義, 공경지심은 예禮, 시비지심은 지智이다. 인의예지仁義禮智는 밖에서 욱여넣어지는 것[27]이 아니라 내 고유의 것이다. 이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것은 단지 사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르기를; '구하면 얻게 되고, 버리면 잃게 된다' 하였다. 혹여 서로의 차이가 두 배, 다섯 배에 이르고 심지어는 헤아릴 수도 없는 지경에까지 이른다면, 그 재질을 다하지 못했기 때문인 것이다.
詩에 이르기를; "하늘이 뭇사람을 낳으니, 물物이 있어 칙則 또한 있도다. 뭇사람이 상도常道를 지니니, 이 아름다운 덕을 좋아하노라!" 하였으며, 공자께서도 말씀하시기를; "이 시를 지은 사람은 도를 아는구나!" 하셨으니, 해서 물이 있으면 반드시 칙 또한 있으며, 뭇사람이 상도를 지니니, 해서 이 아름다운 덕을 좋아하는 것이다."

교과서에는 맹자가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하고, 그보다 한 세대 아래의 순자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한다고 나와있다.

그러나 이는 서양철학의 존재론적 관점으로 대충 규정한 것으로, 여기에 기초하여 "아하! 맹자는 인간 본성을 가리켜 덮어놓고 선하다 했고, 순자는 인간 본성을 가리켜 덮어놓고 악하다 했구나! 우왕☆ 선악 라이벌 구도 재미지네영 ㅎㅎ"라고 이해한다면 전형적인 오독이다.

일단, 맹자라는 책을 읽어 봐도 맹자는 인간이 나쁜 짓을 하는 현실에 대해 개탄하고 있다. 전국시대의 카오스 상황 속에서 살았던 인간이 덮어놓고 인간은 선하다고 주장하는 건 말도 안 되는 것.

仁은 사람의 마음이요, 義는 사람의 길이다.

그 길을 내버리고서는 따르지 않고, 그 마음을 놓치고서는[28] 찾을 줄 모르니, 슬프구나!
사람들은 닭이나 개를 놓치고서는 이를 찾을 줄 알지만, 마음을 놓치고서는 이를 찾을 줄 모른다.
학문의 길은 다른 것이 없다. 놓쳐버린 그 마음을 찾는 것일 따름이다.

맹자의 주장은 서양의 존재론처럼 본질적으로 선하니까 어찌 됐든 인간은 선하게 행동한다는 말이 아니다. '선이라 할 수 있는 재질'을 가지고 태어났으니 이것을 놓치지 말고 꽉 붙잡아서 선하게 살려는 노력을 하라는 뜻이다. 특이하게도, 맹자의 학론에서의 성性ㅡ곧 '타고난 마음'ㅡ은 놓쳐버릴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맹자가 성을 마음[心], 의지[志], 기운[氣]과 깊게 결부시켜 보기 때문이다.

다음 인용문에서 이와 관련된 맹자의 철학을 더 엿볼 수 있다.

孟子曰: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人之所不學而能者, 其良能也; 所不慮而知者, 其良知也。
사람이 배우지 않고도 할 수 있는 것, 그것이 '양능良能'이고, 사려하지 않고도 아는 것, 그것이 '양지良知'이다.

孩提之童, 無不知愛其親者; 及其長也, 無不知敬其兄也。
포대기에 싸여 마냥 웃는 어린아이라도 그 어버이를 사랑할 줄 모르지 않고, 장성하여서는 그 형을 존경할 줄 모르지 않는다.

親親, 仁也; 敬長, 義也。
친족을 친애함은 인仁이요, 연장자를 공경함은 의義이다.

無他, 達之天下也。
(학문의 길은) 다른 것이 없다. (이를 확충하여) 천하를 휘덮도록 하는 것이다.
曰:
(제齊나라의 선왕宣王이) 말했다:

不爲者與不能者之形, 何以異?
아니하는 것과 못하는 것의 모양새는 어떻게 다른 것입니까?

曰: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挾泰山以超北海’, 語人曰, ‘我不能!’
'태산泰山[29]을 옆구리에 끼고서 북해北海[30]를 뛰어넘는 일'을 두고,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나는 못한다!'라 합니다.

是誠不能也。
이는 실로 못하는 것입니다.

‘爲長者折之', 語人曰, ‘我不能!’
'어른을 위해 나뭇가지를 꺾는 일[31]' 을 두고,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나는 못한다!'라 합니다.

是不爲也, 非不能也。
이는 아니하는 것이지, 못하는 것이 아닙니다.

맹자에 따르면, 사람이라면 누구나 나면서부터 어버이를 사랑할 줄 알고, 자라서는 형을 존경할 줄 안다. 그의 관점에서 이는 곧 자연적 필연성이다.

'어버이를 사랑함'은 '친족을 친애함'에 연결되므로 '인仁'의 덕목에 속하고, '형을 존경함'은 '연장자를 공경함'에 연결되므로 '의義'의 덕목에 속한다. 그렇다면 군자도, 선비도 아닌, 삶에 찌든 한낱 소시민에 불과한 우리이지만서도 저 고매한 인의仁義와의 거리는 생각 이상으로 아주 가깝다 할 수 있다. '어버이를 사랑함', '형을 존경함' 등의 기초적인 가족 윤리를 확충해 나간다면 곧 사회 윤리인 인의로 귀결될 것이므로.

이것은 곧 우리에게 선을 능히 행할 수 있는 재질이 태어나면서부터 구현되어 있음을 뜻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선의 재질이 있으면서도 '나는 성인聖人도 아니요, 군자君子도 아닌데, 어찌 능히 선을 행할 수 있으리오?' 하며 선을 행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타고난 것을 자기기만으로 찍어 눌러서 아니하는 것이지, 못하는 것이 아니다.

결국 맹자는, 선이라는 것은 결코 공허한 담론이 아니며, 어린아이나 평범한 사내, 아녀자에서부터 공자와 같은 성인에 이르기까지 모두 일상 생활에서 쉬이 행할 수 있는 것임을 외치고 있는 것이다. 불가능한 일을 강권하는 것이 아니다! 성리학에서 이르는, 이理니 기氣니 하는 거창한 우주론을 얘기하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서 맹자는 최종적으로 선언한다.

그 마음을 다하는 자는 그 성性을 알 수 있다.

그 성을 알게 되면 곧 하늘을 알 수 있다.
그 마음을 보존하고, 그 성을 기르는 것, 이것이 하늘을 섬기는 방법이다.
요절夭折과 장수長壽를 둘로 여기지 않고, 다만 수신修身하여 기다리는 것, 이것이 하늘의 명命[32]을 세우는 방법이다.

맹자는 성性에 대한 당대의 보편적인 관념, 즉 '하늘이 내린 본바탕'이라는 관념을 활용하여 자신의 학론에 당위성을 부여했다.

당대 중국의 상식으로 보자면, 하늘은 만물의 절대자임과 동시에 만물 운동의 근본 원리이다. 즉 모든 것의 주인이자 모든 것의 이치가 되는 존재이므로 섬기지 않을 수 없는 존재였다. 맹자는 이에 주목하여 '하늘이 내린 본바탕이 담긴 그릇[心]을 보존하고, 하늘이 내린 본바탕[性]을 기르는 것이야말로 하늘을 섬기는 방법이다' 선언한 것이다.

이로써 사사로이 이익을 추구하는 모든 활동은 '성性의 선단善端(선의 단초)을 보존하고 기르는 일' 앞에서 그 순위가 격하된다. 어째서 그러한가?

분명 맹자는 성에 '욕망을 추구하는 마음' 이 내재함을 시인한 바 있다. 그렇지만 맹자의 선포에 따르면 그것에서 중체中體, 내지는 대체大體가 되는 마음은 역시 '선에 대한 욕망을 추구하는 마음' 이다. 이는 보편성과 특수성의 구분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사람이 금수와 다른 점은 근소한데, 보통 사람은 이를 버리고, 군자는 이를 보존한다.

순舜[33]께서는 뭇 사물에 밝으시어, 인륜을 살피시고, 인의에 말미암아서 행동하셨으니, 인의를 천착하여 행동하신 것은 아니었다.

맹자에 시선에서 식욕, 성욕 등의 성은 아무런 색깔이 없는, 짐승과 똑같은 성이며, 논적인 고자의 입장과 이 점에서는 차이가 없다. 그러나 사단四端(측은惻隱, 수오羞惡, 사양辭讓, 시비是非의 마음), 양지良知/양능良能 등으로 표출되는 인간의 도덕적 생태를 고찰해 봤을 때, 그 근원에는 인의예지仁義禮智가 뿌리박혀 있는 것[34]으로 여겨지므로, 역시 사람의 성은 「선하다 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흰색 종이에 붉은점 몇개가 찍혀 있는 것을 보고 "붉다!" 할 수 있는 것과도 같다[35]. 맹자식으로 본다면, 「흰색 종이」는 「동물군 공통의 성」, 「붉은 점 몇 개」는 「인간군 고유의 성」. 하여 사람의 성은 그 구성이 보통 짐승들의 성을 기본 바탕으로 깔고 「선」이 덤으로(...) 얹혀진 형태라는 것. 좀 더 확실히 하자면, 맹자는 동물군 전체를 통괄하는 보편적 성이 있고, 그중에서도 「개의 성」, 「소의 성」, 「목도리도마뱀의 성」 등이라 따로 이름할 수 있는, 다른 종과는 차별적인 해당 종만의 특질적인 성이 있다고 본 것(뭐 당연한 말이다만)인데, 이중에서도 「사람의 성」의 경우 그 특질이 바로 「선」이라는 것.

이제 생각해 보자! 개가 뼈다귀에 관심을 보이고, 소가 되새김질을 하고, 목도리도마뱀이 목주름을 팔락팔락대는 것은 누가 뭐라고 하든 말든 녀석들의 생물적 특질이며 현실이다. 만약 지금 어떤 개에게 뼈다귀를 던져 줬는데 녀석이 뼈다귀를 노려 보며 으르렁대고, 소가 여물에다 까스활명수를 들어부어서 말아다가 원샷으로 때려 먹고, 목도리도마뱀이 웬 빨간 목도리를 목에다 둘둘 감고서는 명동 거리를 직립보행으로 활보하며 "메리 크리스마스~★"하고 인사를 건넨다면 이것은 말 그대로 자연스럽지가 못한 일이라 할 수 있다. 하늘이 구상한 종의 역할에 위배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사람의 경우는 어떠한가?

개가 살아가는 방법은 뼈다귀에 붙은 살점을 뜯는 것이고, 소가 살아가는 방법은 되새김질하여 먹은 여물을 쉬이 소화시키는 것이며, 목도리도마뱀이 살아가는 방법은 목주름을 펼쳐 적을 쫓아내거나 이성을 유혹하는 것이다. 사람이 살아가는 방법은 문명, 즉 구성원끼리 근력과 지혜를 교환하고 집대성하고 진보케 하며, 그 구성원 중 뛰어난 자는 높여 대사大事를 맡기고, 결손 있는 자에게는 도움을 주는, 상생의 공동체사회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가능케 하는 것이 무엇인가? 너와! 나의! 연결! 고리!인仁으로 대표되는 선善이다.[36][37]

실로 그렇다면 '보편성'과 '특수성'의 구분은 명확해진다. 우리 「동물군」은 모두 '움직여[動] 살아가야 하는' 운명을 타고났다. 이것이 뭇 동물의 「삶」ㅡ'보편'이며, 먹고, 마시고, 성교하고 하는 등등의 기본적인 욕망 추구가 이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어떤 식으로 움직여 살아갈' 것인가? 개들은 개들답게 뼈다귀를 찾고, 소들은 소들답게 되새김질을 하고, 목도리도마뱀들은 목도리도마뱀들답게 목주름을 팔락댄다. 이것이 개별 동물종의 「삶의 방식」ㅡ'특수'이다. 이처럼 개가 개다움으로 살아가고, 소가 소다움으로 살아가고, 목도리도마뱀이 목도리도마뱀다움으로 살아간다면, 사람 또한 사람다움[仁]으로 살아가는 것이 당연지사가 아니겠는가?

이것이 맹자가 본 천명天命이었다. 맹자는 남달리 유독 '타자의 마음'에 민감한 동물[38]인 인간, 그 특수종의 특수한 삶의 방식을 「선」으로 단정하고, 확신하였다. 하늘이 「인간군人間群」에게 할당한 「성」에는 「선」이라는 특수한 「기능」이자 「의무」, 「삶의 방식」이 있다고 천명闡明한 것이다!

헌데, 지금, 사람이 되어 사람임을 자각하고 사람으로 살고자 하면서도, 사람의 방식인 선을 행하지 않겠다!" 한다면?

그렇다면 인간종으로서의 직무 유기가 아니겠는가!

바로 이같은 논리로 맹자는 인도人道를 천도天道에 결부시켜 '당위의 당위성'을 증명하였다. 공자의 '인仁'에다 '천명天命으로서의 의義'라는 날개를 달았던 것이다.

2.2.1 순자 성악론性惡論의 도전

무릇 사람이 선善하게 되고자 하는 것은 그 성性이 악惡하기 때문이다.

대저 천박하면 중후하기를 원하고, 추하면 아름답기를 원하며, 협소하면 광대하기를 원하고, 가난하면 부유하기를 원하며, 미천하면 고귀하기를 원하니, 진실로 그 안에 없는 것은 반드시 밖에서 구하려 들기 마련이다.
순자

그리고, 이에 대해 순자는 비판을 가하며 인간의 성性이 혐오(嫌)스럽다는 성오설性說을 말하고, 성으로부터의 선이 아닌, 후천적인 교육과 학문으로부터의 선이 유학의 본질이라고 주장했다.[39][40]

물론 그렇다고 맹자가 인위적 노력을 등한시한 것은 아니다. 맹자가 학문과 교육을 강조한 측면은 《맹자》라는 서물 전체에서 폭넓게 드러난다. 그럼에도 순자에 비해 맹자의 학문, 교육 중시 경향이 부각되지 못한 이유는 〈권학勸學〉, 〈예론禮論〉 등의 별도의 편을 만들어 요즈음의 대학 논문 형식으로, 즉 세밀한 논증과 냉철한 문체로 학문과 교육의 중요성을 설파한 순자와는 달리 맹자는 이를 위한 별도의 편을 두지 않고 다만 《맹자》 여기저기에서 거의 기습적으로, 주로 감성적으로 꽂히는 일갈, 비유 등을 활용한 격언 형식으로써 명쾌히, 하지만 지나가듯이 학문과 교육을 언급했기 때문이다.

이상은 애초에 《맹자》는 어록집의 성격, 《순자》는 논문집의 성격이라는 차이에서 기인하지만, 두 유자儒者의 성향 차이에서 빚어진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맹자는 성性을 선善으로 규정했기 때문에 학문이나 교육을 성性의 연장태로 보았다.[41] 맹자가 보는 인간은 그 기본적 성격이 '매일매일 선의지가 샘솟는, 대인大人의 자질이 충만한 무한의 가능태'이기 때문에 그 아름다운 성性을 보존하고 나아가 확충한다면야 구태여 학문의 중요성을 멱살 잡고 찐득하게 설명해 줄 필요는 없다. 선한 사람은 더 나은 선을 향해 매일매일 스스로 도약할 것이기 때문에.

반면, 순자는 성性을 악/오惡로 규정했기 때문에 선善을 작作하는 위僞[42]의 기능을 특별히 강조하였다. 위僞는 성性과는 엄격히 분分되어야 하며, 성性보다 그 가치가 격상되고 나아가 신성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순자는 위僞의 간판급 작용인 '학문', '교육'[43] 등을 자기 학설의 모토로 설정하고 이의 실용성, 필요성을 치밀하게 논증하고자 한 것이다.[44]

순자의 성론이 맹자의 성론을 저격하는 포인트는 "측은, 수오, 사양, 시비"의 마음 부분이라기 보다는 그 저면에 깔린 "양지, 양능"이다. 순자가 볼 때 '젖먹이 아이가 어버이를 사랑하는 것'은 다만 동물적 가족애일 뿐 인仁이라고까지는 할 수 없으며, '장성하여 형을 존경하는 것'은 분명 의義이지만 그것은 자연적인 순종성의 발로가 아니라, 장성하는 과정 중에 이미 가정교육을 거쳤으므로 도출된 인위의 결과이다.[45] 즉, 순자가 극력 부정하는 것은 '성性의 건설적 측면'이라기 보다는 '성性의 건설적 측면에 대한 도덕적 해석'이며, '성性과 위僞의 혼동'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맹자는 '선善의 자질'을 '선善'으로 보았고, 순자는 그냥 '자질'로 본 것이다. 순자가 인정하는 선善, 덕德의 성립 요건은 맹자의 그것보다 훨씬 까탈스러운(...) 수준이라는 것. 맹자: 이만하면 착하다고 해줄 만하지 않음? 순자: 응 아니야.

좌우지간, 이같은 순자의 시선은 대단히 현실주의적이며, 현대적이다. 우리도 익히 알고 있듯이, 아기가 어버이를 사랑하는 이유는 자신이 울면 당장에 어버이가 달려와 토닥여 주고, 안아 주고, 젖 먹여 주리라 기대하기 때문이요, 또한 그것이 실제로 실현되기 때문이다. 먼저 어버이가 아기를 만족시킴으로써 유대감이 촉발, 발달되고, 이것이 가족애로 이름되는 것이니, 결국 부모-자식의 '신성한 관계'도 실질적으로는 '이익'에 기초한 것이다. 그러므로 순자는 말했다: "이익을 좋아하고, 무언가 얻기를 바라는 것은 사람의 정情이요, 성性이다."

2.2.2 중세 新儒學으로부터의 '판정승': 성선론

허나, 후대의 유학자 대부분은 이같이 현실적인 성론을 제시한 순자를 버리고, 비록 개개인 간 해석의 차이를 보이긴 했으나, 다분히 이상적인 성론을 제시한 맹자를 아성亞聖으로까지 추앙하며 그 설說을 끝끝내 고집하였는데, 이는 순자의 성론이 당위 논증을 포기했기 때문이었다. 순자의 출현으로 인해, 자사와 맹자가 애써 천명天命과 짝지어 놓은 도道, 선善은 의무로서의 성격을 완전히 잃어버렸던 것이다.

순자가 성선론을 해체함으로써, 맹자가 양혜왕梁惠王 앞에서 부르짖은 "왕께서는 어찌하여 이익을 말씀하십니까? 오로지 인仁과 의義가 있을 따름입니다." 따위의 변설은 있을 수가 없게 되어버렸다. 이제 선善은 양심적 정언명령定言命令의 요청물이 아니라, 옛날 옛적 성왕聖王의 유별난 기호嗜好로 밝혀져 버린 것이다![46]

때문에 순자는 선배 유학자들이 즐겨 써먹었던 "이게 사람이 할 짓입니까?!!?!!!!"라는 인륜적 당위성의 논증을 통한 유세를 하지 않는다. 대신 순자가 택한 것이 '편의성' 논증이었다. 편의에는 '대편大便'과 '불편不便'이 있는데, 유학자들이 좇는 인의의 법도는 큰 편의, 대편을 낳게 되고, 소인들이 좇는 눈 앞의 이익은 종국에는 편의 아닌 편의, 불편을 낳게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는 결국 "이익을 대국적으로 도모하세요"라는 말이었다. 순자는 맹자가 철저히 부정하고 배격했던 '이익의 경세학'을 부활시킨 것이다.

뭔가 낌새가 좋지 않지만, '이익의 경세학'의 부활은 '인과 의가 있을 뿐이거든요??? 빼애애애ㅐㅐㅐㅐㅐㅐㅐ애애애앸ㅐㅐㅐ' 해봤자 어차피 들어먹지도 않는 현실의 패도覇道들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일단 유가儒家 자체가 정치력 건재한 세력으로 살아남아야 죽이 되든 밥이 되든 하니까...

하지만 사정이 어찌됐든, 이러한 태도를 보인 순자의 학문은 후대 유학자들이 보기에 유학의 본령을 파괴할 수 있는 위험한 발상이었다.

철학 항목에서 보이듯이, 동아시아의 철학은 서양철학과는 다르게 세상에 대한 "왜?"라는 질문이 아닌, "어떻게 해야 도탄에 빠진 세상을 구제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근간을 두고 있다. 그런데 순자의 학문은 이 사람의 심성에 대한 "왜?"라는 질문에는 매우 짧고 직관적으로 답을 할 수 있는 반면, "우리는 왜 선하게 살아야 하나요?"라는 질문에는 답하는게 어렵고 많은 추가적 논의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맹자의 경우는 '도덕'을 '인간의 본성'이라고 설명했고, 또한 하늘(天)과 연결시켜 일종의 종교적 당위성을 제공했다. 그렇기에 맹자의 사상에서 도덕은, 냉철한 이성의 작용이 아니며, '지키면 좋은 것'도 아니다. 지켜야만 하는 것이며, 그것이 당연한 것이다. '옳음'은 복잡하고 냉철한 이유가 있어서가 아니라, 그저 '옳으니까' 지켜야 하는 것이 된다.

이제 순자의 사상을 보자. 순자는 '편의성'을 논증하는 방법으로 도덕을 설명[47]하려 하였지만, 이렇게 될 경우 도덕은 '인간의 냉철한 이성의 결과'로 추락한다. 그리고 공리주의 항목에서 보듯 순자와 비슷한 발상은, 맞냐 틀리냐와는 별개로 인간의 직관과 괴리된 도덕적 결론이 도출될 수도 있다.

그렇기에 맹자와 후대 유학자들의 관점에서 순자를 평가하면, '천하를 도탄에 빠트릴 수 있는' 위험한 사상이 되는 것이다. 유학자들이 유학을 파는 것은, 어디까지나 천하를 도탄으로 부터 건져내기 위함인데, 여기에서 위험성을 내포한 순자의 사상은 그 자체로 학문의 존재의의를 상실한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는 것이다. 유학자의 관점에서 볼 때, 순자의 사상은 재미있는 지적 유희는 될 수 있어도, 천하를 구원할, '도덕주의적으로 실용적인' 사상은 되지 못하는 것이다.[48]

유학자들의 1차 목표는, 서양식으로 말하자면 세상에 사랑정의평화를 구현하는 것이지, 지적 호기심의 만족은 어디까지나 2차적 목표였다. 물론 순자의 사상은 지적 유희 따위에 경도된 것도 아니고, 세상을 도탄에 빠트릴 위험성이 다분한가라는 물음에는 현대까지 연구자 개개인마다 견해가 천차만별이나, 적어도 후대 유학자들이 보기에는 잡스럽고[49] 위험한 사상이었다. 어떻게 보자면 참으로 순진하고, 다른 방면으로는 너무나 현실주의적인 것이다.[50][51]

결론을 맺는다면, 순자는 맹자를 비판적으로 계승하여 현실주의적으로 그를 극복하고 유학의 새로운 활로를 제시했지만 맹자와 같은 웅혼한 윤리형이상학적 체계를 세울 수는 없었다. 그의 학문적 성향이 아니었고, 그의 목적도 아니었으며, 시대의 요청도 아니었기 때문이었다. 그의 이런 해체적이고 냉철한 사유는 바로 그렇기에 후대 유학자들이 수용하기에는 오히려 두려운 것, 혹은 혐오스러운 것이었다.

ㅡ'하늘[52]'을 제거한 유학은 살아남을 수 있는가? 이제 오로지 개개인의 기호에 기대야만 하는 유학은 학문으로서의 절대성과 호소력을 가질 수 있는가?[53]

그렇게 맹자가 살아남았고, 맹자의 사상은 주자 이후 800년 동안 유학, 나아가 동아시아 윤리학의 정통으로 군림하였다.[54]

2.3 역성혁명론易姓革命論[55]

"백성이 가장 귀중하고, 사직社稷[56]이 그 다음이며, 군주는 가장 가볍다.

이 때문에 뭇 백성의 신임을 얻어야 천자天子가 되고, 천자의 신임을 얻어야 제후가 되며, 제후의 신임을 얻어야 대부大夫가 되는 것이다.
제후가 그 사직을 위태롭게 한다면, 곧 갈아치운다.
희생이 이미 이루어지고 기장과 피가 이미 정결하여 제사 의식이 때에 맞게 되었음에도 가뭄과 홍수가 일어난다면, 곧 사직을 갈아치운다."

제齊나라의 선왕宣王이 맹자에게 물었다.

"과인이 듣기로는, "제후였던 湯은 주군主君 걸桀을 몰아내고 천자天子가 되었고, 역시 제후였던 무왕武王은 주군 紂를 쳐내고 천자가 되었다" 하던데, 이것이 사실입니까?"
맹자가 답했다.
"전해오는 기록에 그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왕이 말했다.
"그들, 걸주桀紂가 폭군이었다고는 하지만, 신하 된 자로서 제 임금을 시해한 것이 도리에 맞는 일이겠습니까?"
맹자가 말했다.
"인仁을 해치는 자를 적賊[57]이라 하고, 의義를 해치는 자를 잔殘[58]이라 하며, 잔적지인殘賊之人을 단지 "그놈!"이라고들 하니, "무왕께서 그 '주'라는 놈을 처형하셨다"라는 말은 들었어도, "임금을 시해하였다"라는 말은 들어 본 바 없습니다."

맹자가 제나라의 선왕에게 말하기를 이같이 하였다.

"왕의 신하 가운데 그 처자식을 벗에게 맡기고 초楚나라로 유람을 간 자가 있었다 하지요. 그자가 돌아와 보니 처자식이 추위에 떨며 굶주리고 있었다 한다면, 어찌해야 하겠습니까?"
왕이 말했다.
"중히 쓰지 말아야겠지요.[59]"
맹자가 말했다.
"사사士師[60]가 사士[61]를 다스리지 못한다면, 어찌해야 하겠습니까?"
왕이 말했다.
"파면을 시켜야겠지요."
맹자가 말했다.
"사방 국경의 안이 다스려지지 않는다면, 어찌해야 하겠습니까?"
왕은 좌우를 두리번거리며 말을 돌렸다.[62]

유교적 민본주의民本主義를 설명할 때 가장 자주 인용되는 대목들이다.

맹자는 왕 앞에서 대놓고 잘못된 왕은 갈아치워야 한다, 백성을 착취하는 왕과 관료들은 도둑놈이다라는 말을 서슴없이 갈긴 인물이다. 여기에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신(神)은 갈아치워야 한다라는 말도 한 인물. 모든 정치권력과 종교권력의 권위를 마냥 인정하지 않고,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면 바뀌어야 한다고 말한 것이다.[63] 맨 마지막 구절의 경우 번역을 달리해서 "저는 (걸왕과 주왕을 죽였다는 것에 대해) 일개 필부들을 죽였다는 말은 들었어도 왕을 시해했다고 들은 적이 없습니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것은 단순히 이해득실을 따지는 공리주의가 아니라, 군주와 종교 권위의 정당성이 어디까지나 백성에게 있다는 말이다. 맹자가 굉장히 강조하는 것 중의 하나가 '좋은 것을 독점하지 말고 최대한 많은 백성들과 함께 하라'는 것이다.

특히 (天)을 백성과 동일시하여 천명(天命)의 개념을 인문주의적으로 뿌리박았고, 이 천명이 바뀌는(革) 기준을 민심으로 규정하여서 민본(民本)의 개념을 정치의 축으로 세웠다. '명분에 집착하며 현실성이 없다'는 오늘날의 유교에 대한 뒤틀린 평가와는 달리, 맹자의 정책은 정전제로부터 시작하여 어떻게 민생을 구해고 나라를 부강하게 만들지에 대한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애초에 맹자는 당대 패권자들에게 정책 파트너로서 초청을 받은 사람이다. 그냥 바른 말하는 사람이 아니라 실질적인 정책을 제시하는 사람이었고, 그를 초청한 군주들도 그 말을 실제로 실천하려는 의지가 있었다는 뜻이다.

맹자의 민본주의가 민주주의로 연결되었다는 주장을 한 사람은 아무도 없다.[64] 단지 민본적 사상이 민주주의와 상통하는 측면이 있다는 정도. 그나마도 민주주의에서 정치의 결과를 최종 판단하는 주체는 시민 개개인인 반면, 민본주의에서 '천명'을 판단하는 주체는 집권자 및 지배층에 한정된다는 점에서 확연히 구분된다.

그럼에도 맹자의 민본 사상이 중요한 것은, 민(民)과 천(天)을 동일시하면서 국가의 정통성에 있어서 '민심'을 중시하도록 만들어 놓은 데 있다. '민심을 따르지 않으면 권력자가 갈린다'라는 주장은 민주주의가 대세가 되기 이전에는 찾아보기가 어려운 사상이다. 특히 법가의 등장 등으로 군주권의 강화와 일반민에 대한 철저한 통제를 지향하고 있던 기원전 4세기의 상황을 고려하면 맹자의 사상은 상당히 이례적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서민 사회의 형성과 사회적인 심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비록 맹자의 시대에 그의 학설이 제도적으로 뿌리내리지는 못했고 오늘날의 시선으로는 맞지 않는 것도 있지만, 그것은 맹자 개인의 문제라기보다는 시대의 한계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사실 조선시대의 시선으로 보더라도 전국시대는 까마득한 옛날이었고, 맹자의 주장을 당시의 조선에 그대로 적용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 역시 유학자들이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맹자의 근본적인 메세지는 조선시대에 유효하였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주장이다.

2.3.1 혁명론 도출 배경에 관한 의문들

그런데, 일부 얼치기 학자들 중에서는 "맹자는 전형적인 귀족주의자로, 그의 혁명론도 사실은 민의民意에의 존중보다는 귀족 지배층의 편의[65]를 고려한 과정에서 도출된 것이다."라 주장하는 이들이 있다. 즉 사士, 대부大夫 계층의 이익을 염두에 둔, 군권君權 견제를 위한 변설이라는 것이 이 "일부 학자"들의 주장.

그러나 이는 근거 없는 망발의 소리다. 당장 《맹자》만 한 번 정독을 했어도 이런 황설을 주장할 수는 없다. 아래의 인용문을 참고하자.

추鄒나라와 노魯나라 사이의 교전이 있었다.

추나라의 목공穆公이 맹자에게 물었다.
"이번 분쟁으로 우리나라의 관리 33인이 죽었으나, 백성이라는 것들 중에서는 관리를 위해 죽는 놈이 있지도 않았습니다!
이놈들을 벌주자니, 수가 너무도 많아 이루 벌줄 수가 없고, 벌주지 않자니, 자기 장상長上[66]이 죽어 나가는데도 구하지는 못할 망정 구경이나 하던 놈들이 원망스러워 참을 수가 없는데, 이 일을 어쩌면 좋겠습니까?"
맹자가 답했다.
"흉년기세凶年饑歲[67]에 군주의 백성들 중 늙고 힘없는 이들은 시신이 되어 구렁텅이에 나뒹굴었고, 장성한 이로서 사방으로 흩어진 이들은 머릿수가 수천이었습니다.
헌데 이에 반해 군주의 곡창에는 곡물이 가득했고, 군주의 금고에는 재물이 넘쳐났으나, 관리라는 것들 중에서는 이로써 고告[68]한 놈이 있지도 않았습니다!
이는 곧 위가 방만하여 아래를 그르친 것입니다.
증자께서 말씀하시기를; "경계하고 경계하여라! 너에게서 나온 것은 너에게로 되돌아가느니!" 하셨으니, 이제 백성들이 뒤늦게나마 되돌려 줄 기회를 잡은 것입니다.
군주께서는 그들을 탓하지 마십시오!
군주께서 인정仁政을 행하신다면야, 이 백성들은 그 상上을 친애하고, 그 장長을 위해 죽을 것입니다."

이 기사에서 맹자는 분명한 어조로, 분명하다 못해 아주 독기에 찬 어조로 불인불의不仁不義한 군주와 귀족을 한데 묶어 비판하고, 그들에 대한 민民의 불복종, 저항을 옹호하고 있다. 진정 민의를 경시하고 귀족의 이익 신장을 도모하는 작자라면 이런 변설을 내놓을 수가 없다.

그리고, 사실 위 "일부 학자"들의 의견은 핀트부터가 좀 어긋난 것이다. 맹자가 토착 귀족이었다면 또 모를 일이지만, 제나라 선왕에게 혁명론을 설파한 당시, 그는 외부에서 초청받아 자리잡은 객경客卿의 신분, 그나마도 실권은 없는 신분이었기 때문에 자길 후원해 주는 군주를 견제하고 남의 나라 벼슬아치들 입김을 강화시켜 봤자 손해 보는 건 자신이었다. 애초에 맹자 자신부터가 철밥통 벼슬아치들 입김 때문에 일 말아먹은 적이 한두 번이 아닌데 뭐하러 그러겠는가.

여기서 이번엔 "그러면 맹자 개인의 입지만 상승시켜서 개인적 이득을 좀 챙겨 보려고 했던 건 아니냐" 한다면 그건 그것대로 언어도단이다. "실권 없는 객경"이라는 것은 마냥 싱거운 직종처럼 보이지만, 이러니 저러니 해도 경卿의 신분이기 때문에 봉급을 주긴 줘야 한다. 즉 일을 안 해도 연봉이 쭉쭉 나오는 자리다.[69] 근데 왜 괜히 왕이랑 투닥거리고는 나중에 회유책으로 제시된 개인 학당 + 곡식 6000 가마의 연봉도 굳이 마다하고 제나라를 떠난단 말인가.

게다가 맹자는 이 이전부터 왕이 자기 말을 안 들으니까 (제나라가 연燕나라 공략을 성공할 당시, 맹자는 연나라 백성들을 해치지 말 것, 연나라의 종묘사직을 훼손하지 말 것, 연나라 사람들의 의견을 존중하여 새 군주를 세워 줄 것, 연나라를 식민지화 하지 말 것을 요청했는데, 제나라 선왕은 이 말을 들어 처먹지 아니하고서 연나라의 노약자를 해치고, 연나라의 기물을 때려 부수고, 연나라의 군주로 허수아비를 앉히려 중상모략을 일삼고, 연나라를 무리하게 식민지화 하려다 이 무슨 청개구리냐 주변국의 협공을 받고 거하게 일을 말아먹었다. 이 때문에 맹자와 선왕의 사이가 결정적으로 틀어졌다.) 항의의 표시로 봉록 받기를 거부하여 누적량 60000 가마 가량의 봉록을 안 받고 있었다.

그렇다면 이제는 또 해석을 달리하여 "사실 실질적 이익에 대한 계산은 없었고, 그냥 권력욕을 주체 못한 게 아니냐"라고 해 보면 어떨까? 이것이 무슨 뜻이냐 하면, 맹자의 인의론, 왕도론, 성선론, 역성혁명론, 대장부론, 민귀군경론民貴君輕論, 존현론尊賢論 등 모든 논설이 사실은 왕을 세 치 혀로 홀려서 자신의 허수아비로 만들고, 왕 머리 위에 앉은 실세로 군림하며 지존의 쾌락을 느끼고자 했던, 큰 그림의 포석이었다는 소리. 이쯤 되면 아주 대놓고 음모론이다. 판단은 각자 알아서.[70]

또한, '일부 학자'들이 놓치는 정말 중요한 사실이 있는데, 맹자는 국군國君 한 사람만 갈군 것이 아니라, 떡밥만 생기면 공직자란 공직자는 죄다 갈구고 다녔다는 사실이다.

맹자가 평륙平陸[71]에 가 그 대부大夫에게 말했다.

"당신의 지극지사持戟之士[72]가 하루에 세 번 대오를 이탈했다면, 그를 처벌하지 않으시겠습니까?"
(대부가) 말했다.
"세 번을 기다릴 것도 없지요."
"그러시다면야, 당신께서 대오를 이탈한 일 역시 많습니다. 흉년기세에 당신의 백성들 중 늙고 야윈 이들은 시신이 되어 구렁텅이에서 나뒹굴었고, 장성한 이로서 사방으로 흩어진 이들은 머릿수가 수천이었습니다."
(대부가) 말했다.
"그것은 저 거심距心[73]이 어찌 해 볼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맹자가) 말했다.
"지금 다른 사람의 소와 양을 받아 기르는 일을 부탁받은 이가 있다고 하십시다. 그렇다면 필히 목장과 목초를 구해야 할 것입니다. 목장과 목초를 구하려 했으나 얻지 못했다면, 이제 녀석들을 그 주인에게 돌려주어야 할까요? 아니면 우두커니 서서 그것들이 죽는 꼴을 보아야 할까요?"
(대부가) 말했다.
"이는 곧 저 거심의 죄입니다."
다른 날, (맹자가) 왕[74]을 만나 보고 말했다.
"왕의 고을[75]을 맡고 있는 이를 신臣[76]이 다섯 명 알고 있습니다만, 스스로의 죄를 안 이는 공거심이 유일했습니다.[77]"
(맹자가) 왕을 위해 (공거심과의 문답을) 이야기했다.
왕이 말했다.
"이는 곧 과인의 죄입니다."

여기선 아예 면전에다 대고 '너 일 제대로 못하는데 뱃지 빼야 되는 거 아니니?' 라고 말하고 있다.

하여튼, 비단 이 기사가 아니더라도, "연燕나라를 취하여 그 백성들이 도리어 기뻐한다면, 곧 취하십시오. ... 연나라를 취하여 그 백성들이 도리어 기뻐하지 않는다면, 곧 취하지 마십시오."[78] 하늘이 천하를 주고, 백성이 천하를 주므로, 천자가 감히 남에게 천하를 줄 수 없다 한 것이다.[79] 등 맹자가 민의를 무엇보다 귀히 여겼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은 《맹자》 내에 쌔고 쌨다. 이로써 본다면 위의 "탕무방벌론湯武放伐論" 역시 당연히 민의에 대한 존중에 기초한 발언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맹자는 엘리트주의자였을지언정 귀족주의자는 아니었다.

사실 '일부 학자'를 중심으로 이런 논의가 생기는 이유를 굳이 따지자면 한국사적으로 봤을 때 조선 왕조의 유교 학풍이 맹자를 상당히 중시했고, 적어도 대중적으로는 조선이 심각한 군약신강의 나라였으며 더불어 이런 군약신강 때문에 붕당, 세도정치 등이 일어나 나라를 그르쳤다는 인식이 짙게 깔려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렇게 흔히 생각되는 것과 달리 조선은 군약신강 체제의 국가가 아니었다는 걸 알아둘 필요가 있다. 조선왕조실록 내내 왕이 정책을 추진하려는 과정에서 재상들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시골 선비까지 키배를 걸어왔다는 기록들이 있다보니 이런 인식이 생긴 듯 한데, 오히려 조선이 진짜로 왕권이 형편없는 국가였다면 유림에서 왕에게 키배를 걸어올 이유가 없다. 오스만 제국예니체리들의 예시를 보면 알 수 있듯 정말로 군약신강이 심한 국가라면 그냥 왕의 존재를 개무시하면 그만이다. 반면 조선 왕조 내내 왕을 이론적으로 반박하려는 시도가 있었음은 오히려 왕의 실질적 권한이 강했기 때문이다. 총체적 난국

2.4 대장부론大丈夫論

경춘景春[80]이 말했다.

"공손연公孫衍[81]장의張儀[82]는 진정한 대장부大丈夫가 아니겠습니까? 그들이 한 번 노하면 제후가 두려움에 떨고, 편안히 거처한다면 천하가 잠잠해집니다."
맹자가 말했다.
"그따위로 어찌 대장부의 이름에 미치겠소이까? 그대는 여지껏 禮를 배우지 못했소?
장부丈夫는 관례冠禮[83]를 치를 적에 그 아버지로부터 진중한 가르침을 받고, 여자는 시집갈 적에 그 어머니로부터 진중한 가르침을 받는데, 어머니는 딸이 친정 문을 나설 적에 타이르기를 "가는 곳이 여자의 집이 되는 것이니, 너는 마음으로 공경하고, 마음으로 경계하여, 남편에 대해 어김이 없어야 한다." 하오.
이처럼, 순종을 정칙正則으로 삼는 것은 첩부妾婦[84]의 도리올시다.[85]
천하의 넓은 집[86]에 거처하고, 천하의 바른 자리[87]에 서며, 천하의 큰 길[88]을 거닐어,
뜻을 얻는다면 만백성과 더불어 이를 좇고, 뜻을 얻지 못한다면 홀로 그 길을 거니므로,
부귀도 그를 어지럽히지 못하고, 빈천도 그를 흔들지 못하며, 위세나 무력도 그를 굽히지 못하나니,
이와 같아야지 가리켜 이르기를 '대장부'라 하는 것이외다!"

민본주의적 역성혁명을 주장한 대목과 더불어 《맹자》에서 가장 인용 빈도가 높은 대목이다.

맹자는 본시 용기나 배포, 위세, 무력 등이 대단한 남성을 이르는 칭호로 쓰였던 '대장부大丈夫'[89]의 의미를 새롭게 정립하여, 지극히 올곧고 굳센 도덕적 기개를 지닌 이상적인 인간상을 제시하였다. 이는 대인大人과도 뜻이 통한다.

맹자의 대장부론은 맹자가 그 특유의 왕패론王覇論을 전개하면서 '왕자王者'에 도덕적 의미를 부여한 것과 비슷한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왕자'가 최고 통치자로 명명됨의 필수 요건으로 도덕성을 요청한 것이라면. '대장부'는 이른바 상남자로 명명됨의 필수 요건으로 도덕성을 요청한 것이다.

이는 춘추전국시대에 팽배했던 '힘이 센 놈이 위대한[大] 놈'이라는 인식을 변혁시키기 위한 노력이었다. 맹자는 대장부론을 통해 종래의 힘 본위 대소귀천大小貴賤 인식을 덕德 본위 대소귀천 인식으로 변혁, 아니, 맹자 본인의 관점으로 본다면 복원함으로써, 난세의 주도권을 무력으로써 장악하고 있는 패覇와 여타 무뢰배들의 현실적 지위를 단호하게 경시하며 도덕적 지성인의 정신적 우월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맹자의 대장부론은 이러한 대담성과 호쾌성으로 인해 읽는 이들로 하여금 적지 않은 '인문정신적 쾌감'을 느끼게 하므로, 난세의 암울한 시대상으로 인해 의기義氣를 잃어버린 지식인층이 다시금 분발심을 얻게 되는 데에 주요한 계기로 작용하곤 하였다.

3 후대의 수용

맹자는 송나라사서에 포함되면서 주류학계에서 처음 떠오르기 시작했다. 그 이전까지는 철저히 묻혀 있던 책이고 그 이후에도 많이 위축되었다. 한국에서는 특히 두드러지게 유교를 공맹의 가르침이라고 말하고 있는 편이고, 중국은 우리에 비하면 다소 이름을 날리지 못했고, 일본에서는 관학자들이나 알 뿐 민간에서는 아예 묻혔다. 군주 앞에서 '너 정치 똑바로 못하면 바로 갈린다'는 말을 한 맹자의 철학이 당대의 군주들에게 위험해보였을 가능성이 다분하다.[90]

명나라를 건국한 홍무제 주원장의 경우, "군주가 신하를 자신의 수족처럼 여기면(君之視臣如手足), 신하도 주군을 자신의 배와 심장처럼 여기고(臣視君如腹心), 군주가 신하를 흙이나 지푸라기처럼 여기면(君之視臣如土芥) 신하는 군주를 원수처럼 여긴다(臣視君如寇讐)"는 맹자 이루장구 하편의 구절을 보고 격노하여, 맹자의 신위를 문묘에서 들어내고 맹자의 가르침이 담긴 모든 서적을 분서하려 하기도 했었다. 그리고 이에 이의를 제기하는 자는 불경죄를 적용시켜 "가슴팍에다 화살을 처박아 죽이겠다"라고 하였다.

허나 형부상서 전당(錢唐)이 홀로 이에 아랑곳 않고 강경 상소문을 올린 뒤, 무릎 꿇고 가슴팍을 까 내밀면서 부르짖기를,

신臣이 맹가孟軻를 위하여 죽는다면, 죽어서 영화榮華의 남음이 있겠나이다!

하며 악착같이 뻐팅겨, 결국 주원장마저 감동케 하였다. 황제는 그 명을 일부 수정, 맹자의 원본에서 역성혁명과 민본주의를 언급한 부분 88장을 삭제해 재편집한「맹자절문孟子節文」을 편찬하여 편집본 범위 내에서만 언급과 학습, 과거출제를 허용하도록 조치하였고, 이로서 맹자의 학문은 온전치 않게나마 계속 명맥을 이어나갈 수 있게 되었다. 오오 용자 전당 오오[91] 그리고 마침내 주원장 사후, 정난의 변을 통해 즉위한 그의 아들 영락제가 맹자절문을 용도폐기 해버림으로써 맹자에 대한 명조 차원의 탄압은 약 20년만에 막을 내리게 된다.

한국의 경우, 여말 때의 정치가 정도전이 이 책을 탐독하면서 역성에 대한 꿈을 가지게 되고, 신진 무장인 이성계와 손잡고 역성혁명을 일으켜 고려를 잇는 새 왕조 조선을 건국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런데 그 정도전에게 맹자를 선물한 사람이 그의 절친이면서 고려 최후의 보루였던 정몽주였다는 점에서 역사의 아이러니를 느끼게 한다!)

다만 기원전 2세기때부터 맹자를 공부하는 박사 직위가 있었음을 볼 때 이미 오래전부터 그 가치는 인정받은 듯하다. 한서 고금인표에서 맹자는 자사, 순자와 마찬가지로 제2등급인 상중으로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후한 말의 조기 외에는 맹자만을 전문적으로 연구한 사람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는다. 이를 발굴해낸 인물이 주자(주희). 주자가 사서(논어, 맹자, 대학, 중용)라는 개념을 만들면서 맹자가 비로소 중시되었고, 공자 다음의 성인으로 추대된 것이다.

물론 전문적으로 연구하진 않았다지만, 사실 唐宋 대의 학자들의 주된 갑론을박 대상이 맹자였다. 당대唐代의 한유韓愈와 그 제자인 이고李翺가 맹자를 '공문도통孔門道通'의 마지막 귀감으로 추앙한 이후, 북송대宋代의 구양수歐陽修, 사마광司馬光, 왕안석王安石, 정호程顥, 정이程頤, 소식蘇軾 등이 맹자를 두고 이 양반이 진정 성인인지(...)를 갑론을박했다. 사마광은 "맹자는 예를 모른다", "맹자는 잔인한 사람이다" 하며 『의맹疑孟』이라는 비판서까지 출판하면서 신랄하게 깠던[92] 반면, 구양수는 사마광과 같은 구법당이라서 보수적일 만도 한데 의외로 맹자를 존경했다[93]. 아예 왕안석은 '공묘에서 맹자의 제사도 함께 지내야 한다'면서 송대 맹자 존숭의 스타트를 끊었다.[94] 정호, 정이 형제는 말할 것도 없이 주자의 사상적 스승들이니 맹자의 학설을 공자 이래 으뜸으로 쳤다. 소식은 그 스스로 맹자를 공자의 적통으로 인식했고, 자신의 문학성이 맹자의 영향을 크게 받았음에도, 성선설에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그리고 그 영향력으로 인해 21세기에도 게임 캐릭터로 활약하고 있다

4 맹자의 후손

공자 사후 그 직계 후손이 중국 역대 왕조로부터 작위를 수여받고 대대로 우대받았던 것에 비할 정도는 아니지만 나름대로 관직을 배출한 인물들이 있다.

맹자의 직계 후손 중에는 후한에서 태위를 지낸 14세손 맹욱, 삼국시대 때 촉나라에서 문관을 지낸 16세손 맹광이 있으며, 또한 55세손 맹희문(孟希文)이 명나라 경태 3년(1452)부터 한림원 오경박사(翰林院五經博士)의 직위을 세습했다. 한림원 오경박사의 직위는 73세손 맹경환(孟慶桓)까지 세습했으며 맹경환이 광서 20년(1894) 후사 없이 세상을 떠나자 그의 동생인 맹경당(孟慶棠)이 같은 해에 세습했다가 청나라가 멸망하고 중화민국이 수립된 뒤 직위명이 아성봉사관(亞聖奉祀官)으로 개칭되었다. 아성봉사관은 75세손 맹상협(孟祥協)까지 3대 세습되었으나 2009년 중화민국 정부가 아성봉사관의 세습을 중단한다고 공표한 후 맹상협이 2014년 세상을 떠나면서 약 560년 동안 이어진 세습직(한림원 오경박사 → 아성봉사관)은 종말을 고했다. 단, 맹자의 직계 후손이 단절된 건 아니라서 맹상협의 조카인 76세손 맹영계(孟令繼)가 현재 맹자의 직계를 잇고 있다.

5 『맹자(서적)』

유교 십삼경
삼경삼례삼전기타
시경서경역경주례의례예기춘추좌씨전춘추곡량전춘추공양전논어맹자이아효경

{{틀:문서 가져옴|title=십삼경|version=11}}


맹자의 저서.[95] 단순한 철학책이 아닌, 엄연한 실용정치 서적이다. "맹자"라는 텍스트의 주석서로는 3가지가 대표적이다. 첫번째는 후한 말에 살았던 조기(趙岐, ? ~ 201년)가 주(注)를 달고 송나라 때 손석이 소(疏)를 단 '맹자주소'고, 두번째는 남송 때 주희가 쓴 '맹자집주'고, 마지막으로는 청나라 때 초순(焦循, 1763-1820년)가 쓴 '맹자정의'다. 다산 정약용도 '맹자요의'라는 책을 내긴 했지만, 논어고금주 같은 전면적 주석이 아니라서 일단 비교 불가능. 우리나라 내에서는 주희의 '맹자집주'가 많이 읽혀진다.

전국시대 문헌 중에서는 가장 원전이 잘 보존된 것으로 평가된다. 한대漢代 즈음해서 4편의 위작이 만들어져 붙여진 듯 하지만, 앞서 언급된 후한 말의 조기가 이 부분을 오컴의 면도날을 휘둘러 제거하였다.[96] 현대 문헌학자들은 뒷목을 잡으며 이에 굉장히 아쉬워하지만, 덕분에, 각종 B급 글쟁이들의 앤솔로지(...)가 되어버린 《장자莊子》 꼴은 안 났으니 다행.

구어체라서 매우 축약적인 논어에 비해 훨씬 문장이 매끄럽다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만, 사실 맹자처럼 배경지식이 많이 필요한 문헌도 없다. 대충 술술 읽히기는 하지만, 뭔 뜻인지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한문 초심자가 공부할 때 논어를 첫 텍스트로 해야 하는지, 맹자를 첫 텍스트로 해야 하는지는 사실 개인에 따라 의견이 다르다. 그래도 전통적으로 맹자가 선호되는 편. [97]

춘추시대에 비해 전국시대 들어서면서 언어가 더 정밀해졌다는 말도 있지만, 20세기 말의 고문헌 발굴로 인해서 공자의 손자 자사시대 때 이미 중국문헌이 매우 고차원적으로 작성됐다는 것이 유물로 입증되었다.

사실 주옥같은 명언과 재기 넘치는 명대사(?)도 많아서, 고전은 골치 아프다는 편견을 버리고 읽으면 의외로 재미있는 게 맹자다. 맹자의 말투를 보고 있으면, 왕한테 건방지다고 끔살 당하지는 않을지 걱정될 정도로 독하다(...) 사실 그래서 더 재밌다.

5.1 인용문

맹자가 양혜왕을 만났다.
孟子見梁惠王[98][99]

맹자께서 양혜왕을 뵈시니,
王曰, 叟不遠千里而來, 亦將有以利吾國乎?[100]
왕이 말하였다. "노인께서 천리를 멀리 여기지 않고 오셨으니, 또한 장차 내 나라를 이롭게 함이 있겠습니까?
孟子對曰, 王何必曰利. 亦有仁義而已矣.
맹자께서 대답하셨다. "왕은 하필 이利를 말씀하십니까? 또한 인의仁義가 있을 뿐입니다."
《맹자》<梁惠王.上>편- [101]
맹자가 "만일 왕에게 어떤 사람이 와서 '제 힘은 백 균의 무게는 충분히 들 수는 있지만 깃털 하나는 들 수 없고, 제 시력은 가을날의 짐승 터럭을 살필 수는 있지만 수레에 실은 땔감 더미는 볼 수 없습니다'라고 한다면 왕께서는 그 말을 인정하겠습니까?"라고 묻자, 왕은 "아닙니다"고 했다.
그러자 맹자가 말했다.[102]
"지금 왕의 은혜가 금수에게 미칠 정도로 충분하면서도 그 공적이 백성들에게 미치지 않는 것은 유독 무슨 까닭입니까? 그렇게 볼 때 깃털 하나를 들지 않는 것은 힘을 쓰지 않기 때문이고, 수레에 실은 땔감 더미를 보지 않는 것은 '시력'을 쓰지 않기 때문이며, 백성들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것은 은혜를 베풀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왕께서 통일된 천하의 왕이 되지 못하는 것은 실은 하지 않기 때문이지 못 해서가 아닙니다.[103]
-양혜왕, 상-
맹자가 말했다.
"고정적인 생업이 없으면서 항심[104]을 지니는 것은 오직 선비만이 할 수 있습니다. 일반 백성의 경우는 고정적인 생업이 없으면 그로 인해 항심도 없어집니다. 만일 항심이 없다면 방탕하고 편벽되고 간사하고 사치스러운 행위를 하지 않음이 없을 것입니다. 백성들이 죄에 빠지는 데 이른 이후에 그것을 좇아서 형벌에 처한다면, 그것은 백성들을 그물질해 잡는 것입니다. 어떻게 어진 사람이 임금의 지위에 있으면서 백성들을 그물질해 잡는 짓을 할 수 있겠습니까?
그러므로 밝은 왕은 백성들의 생업을 제정해 주되 반드시 위로는 부모를 섬기기에 충분하게 하고 아래로는 처자를 먹여 살릴 만하게 하여, 풍년에는 언제나 배부르고 흉년에도 죽음을 면하게 합니다. 그렇게 한 후에 백성들을 몰아서 선한 데로 가게 하므로 백성들이 따르기가 쉽게 됩니다.
지금은 백성들의 생업을 제정해 주되 위로는 부모를 섬기기에 부족하고 아래로는 처자를 먹여 살리기에 부족하여, 풍년에는 내내 고생하고 흉년에는 죽음을 면하지 못하게 합니다. 이래 가지고서는 죽음에서 자신을 건져 낼 여유조차 없는데 어느 겨를에 예의를 익히겠습니까? 왕께서 만일 어진 정치를 시행하려고 하신다면 어째서 근본으로 돌아가지 않으십니까?
오 무(畝) 넓이의 집 둘레에 뽕나무를 심으면 오십 세 된 노인이 비단옷을 입을 수 있고, 닭과 돼지와 개 등의 가축을 기름에 있어서 적절한 시기들을 놓치지 않으면 칠십 세 된 노인이 고기를 먹을 수 있습니다. 백 무 넓이의 밭을 농사짓는 데에 일손 바쁠 때를 뺴앗지 않으면 여러 식구의 가족이 굶주리지 않을 수 있을 것이며, 상(庠)과 서(序)에서의 교육을 엄격하게 시행해 효도와 공경의 의미를 거듭해서 가르치면 머리가 희끗한 사람이 길에서 짐을 지거나 이고 다니지 않게 될 것입니다. 칠십 세 된 노인이 비단옷을 입고 고기를 먹으며 일반 백성들이 굶주리거나 헐벗지 않게 하고도 통일된 천하의 왕이 되지 못할 사람은 없습니다."
-양혜왕, 상-
「狗彘食人食而不知檢, 涂有餓莩而不知發; 人死, 則曰: 『非我也, 歲也.』 是何異於刺人而殺之, 曰: 『非我也, 兵也!』 王無罪歲, 斯天下之民至焉.」

개와 돼지가 사람이 먹을것을 먹는데 단속할줄 모르고, 길에 아사자가 있는데 [식량을] 풀 줄을 모르며, 사람이 죽고 나니 말하기를 ‘내가 한게 아니다. 경제상황[때문]이다.’한다면 이것이 어찌 사람을 찔러 죽이고 ‘내가 한게 아니다. 무기[가 했]다.’라고 말하는 것과 다르겠습니까?
왕께서 경제상황을 탓하지 않으시면 천하의 백성이 올 것입니다.
-양혜왕, 상-
맹자께서는 제나라 선왕에게 이렇게 물어보았다.
"왕의 신하로 자기 처자를 그의 친구에게 맡겨 놓고 초나라에 가서 돌아다니던 사람이 있다고 하십시다. 후에 그 사람이 초나라에서 돌아왔을 때, 그의 친구가 자기 처자를 추위에 얼고 굶주리게 해놓고 있다면, 그 친구라는 자를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그 물음에 선왕은 서슴지 않고 대답했다.
"그자와 절교하고 말지요."
곧이어 맹자는 또 다른 질문을 던졌다.
"전국의 옥사(獄事)를 맡아보는 사사(士師)가 그의 밑에서 일하는 여러 사(士)들을 통솔해 나가지 못한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선왕은 이번에도 역시 서슴지 않고 말했다.
"그자를 파면시켜 버리지요."
맹자께서는 다시 이렇게 물으셨다.
"사방 국경 안의 땅이 제대로 다스려지지 않는다면, 그런 경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선왕은 자기의 책임을 추궁당하게 되어 답변할 길이 없게 되자, 맹자의 질문에는 답하지 않고 좌우에 있는 다른 사람을 돌아보고 딴전을 부렸다.
-양혜왕, 하-
만장이 물었다.
"요임금이 천하를 순임금에게 주었다고 하는데, 그런 일이 있었습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아니다. 천자라도 천하를 다른 사람에게 줄 수가 없다."
(중략)
맹자가 대답했다.
"순에게 제사를 주관하게 하자 모든 신들이 제사를 받아들였으니, 이것이 곧 하늘이 받아들인 것이다. 또 순에게 정사를 맡기자 정사가 잘 되어서 백성들이 편안하게 되었으니, 이것이 곧 백성들이 받아들인 것이다. 하늘이 천하를 주고 백성들이 천하를 주는 것이므로 천자가 천하를 남에게 줄 수 없다고 한 것이다."
-만장, 상-
군자에게 세가지 즐거움[105]이 있으니 왕 노릇 따위에 비할소냐
君子有三樂 而王天下不與在焉
부모님께서 살아계시고 형제가 탈이 없는 것이 첫째 즐거움이요,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
하늘을 우러러 부끄러움이 없고 땅을 굽어봐도 거리낌이 없음이 둘째 즐거움이요,
仰不愧於天 俯不作於人 二樂也
천하의 뛰어난 인재를 얻어 가르치는 것[106]이 셋째 즐거움이다.
得天下英才 而敎育之 三樂也
-진심(盡心)편-
하늘이 장차 어떤 사람에게 큰일을 맡기려고 할 때는
天將降大任於是人也
반드시 먼저 마음을 괴롭게 하고 육체를 지치게 하며
必先苦其心志 勞其筋骨
그 배를 굶주리게 하고 생활을 빈궁에 빠뜨려
餓其體膚 空乏其身
하는 일마다 어지럽고 힘들게 만든다
行拂亂其所爲
이는 분발하고 참을성을 길러주어 이제까지 해내지 못하던 일을 할 수 있게 해주려는 것이다
所以動心忍性 曾益其所不能
-고자(告子)편-
불효에는 세가지가 있는데, 후손 없음이 가장 큰 죄이다.
不孝有三無後爲大
-이루(離婁)편-[107][108]
맹자가 말했다.
"백성이 귀하고 사직은 그 다음이고 군주는 하찮다. 그러므로 백성의 마음을 얻으면 천자가 되고, 천자의 마음을 얻으면 제후가 되고, 제후의 마음을 얻으면 대부가 된다. 제후가 사직을 위태롭게 하면 제후를 바꾼다. 이미 살진 희생을 마련하고 제물로 바친 곡식이 정결하며 떄에 맞게 제사를 지냈는데도, 가뭄이 들거나 물난리가 나면 사직의 신을 바꾼다."
-진심, 하-

맹자는 왕의 앞에서 거침없이 의견을 피력하기로도 유명하였다. 양혜왕 편부터 그 진가가 드러나는 구절이 많다. 설교만 줄창 늘어놓는 맹자 앞에서 왕이 '난 호색好色하여 왕도 실천은 어렵겠슈' 하며 하며 회피하니 맹자는 '왕께서 호색하시되 백성과 더불어 호색하시면 도대체 무슨 어려움이 있겠습니까!'라며 받아치고,[109] 왕 앞에서 대놓고 '왕께서 전쟁을 좋아하시니 전쟁에 비유해서 말씀드리지요'하며 면박 비슷하게 말을 시작하는 등의 이야기가 있다. 이 전쟁으로 말해보겠다며 왕에게 논변을 펼친 것에서 나온 말이 바로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110]

맹자 관련 고사와 명언 가운데 쓸데없이 맹모삼천지교만 강조해서 학부모 등골을 빼먹는데, 사실 이 뒤에 더 중요한 이야기가 나온다. 공부를 포기하고 돌아온 맹자를 보면서 어머니가 옷감을 찢으며 공부를 도중에 그만두는 건 짜던 옷감을 도중에 찢는 것과 같다고 다그치는 장면, 어머니가 병들어 죽음이 가까워오자 아들에게 할 일을 하라고 말하고 어머니 자신은 아들의 짐이 되지 않고 고향으로 돌아가버리는 내용 등등...

오십보백보, 호연지기, 대장부, 자포자기, 필부지용, 중과부적 등의 말이 맹자에서 유래된 말이며, 생활, 학교 등 일상용어 중에도 맹자에서 온 말이 있다. 그러나 요즘엔 어째 그 자신의 사상보다 교육열을 나타낸 맹모삼천지교, 맹모단기지교만 두드러진 것 같다. 해당 항목 참조.

5.2 책 『맹자』의 목차

  • 양혜왕(梁惠王)
맹자가 제후국을 돌아다니며 자신의 뜻을 피력하는 부분으로 상편은 7장, 하편은 16장으로 되었다. 그는 魏나라 혜왕惠王[111]에게 왕도정치를 실시하라고 조언하고 있는데 왕은 백성과 함께 즐거움을 누려야 그 즐거움이 오래갈 수 있으며, 왕이라도 잘못하면 왕위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공손추(公孫丑)
맹자는 그의 제자인 공손추公孫丑와 왕도정치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그리고 패도정치를 축출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유가의 의리義理를 밝히고 자신의 포부를 나타내었다. 상편은 9장, 하편은 1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구저기(反求諸己), 호연지기(浩然之氣), 인화(人和)라는 말이 여기에서 유래하였다.
  • 등문공(滕文公)
맹자가 나라 세자인 등 문공滕文公을 만나 왕의 국가통치에 대해서 밝히고 있다. 상편은 5장, 하편은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왕이 중국 전대륙을 통치하는 천자가 되기 원한다면 먼저 백성이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말한다. 또한 인간에게는 인륜이 가장 중요하니 이를 저버리면 아무리 훌륭한 행실을 해도 무의미하다고 말한다.
  • 이루(離婁)
상편 28장, 하편 3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신의 본성을 추구하라고 촉구하고 있는 맹자는 자신을 바르게 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제목의 이루離婁는 시력이 대단히 밝은 사람으로, 아무리 감각이 발달해도, 즉 선함과 법이 있어도 컴퍼스와 같은 기준, 즉 선왕의 도를 따르는 것이 없다면 원과 사각형을 반듯하게 그릴 수 없다,즉 바른 정치를 할 수 없다는 비유다.
  • 만장(萬章)
상하 편 각 9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만장은 덕이 천도에 합치하면 도를 얻을 것이고, 어질면 천하사람을 얻을 것이라며 인도(仁道)를 행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민의가 천의라는 사상과 관직에 나아갈 때에도 때에 맞게 해야한다는 사상을 나타내고 있다. 만장萬章은 노자가 만난 사람 이름으로, 만장과 여러이들의 질문을 맹자가 답하는 것으로 구성된 장이다.
맹자와 고자告子라니가 인성(人性)에 대하여 대화를 한다. 대강 말하면 맹자는 성선설을, 고자는 성무선악설을 설파한다. 고자는 은 왼쪽 비탈로 보내면 왼쪽으로, 오른쪽 비탈로 보내면 오른쪽으로 흐른다며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맹자는 물이 아래로 흐르듯이 선도 인간의 인성이라고 주장한다. 인의(仁義)는 내적인 것이니 구하면 얻을 수 있고, 구하지 않으면 잃어버린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상편은 20장, 하편은 1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차히 살지말고 의로운 삶을 살라고 이야기 한다. 왕도가 쇠퇴하는 것은 제후나 대부가 도를 숭상하지 않기 때문이고, 왕이 백성에게 예의를 가르치지 않고 이용만 하는 것은 백성을 해치는 것이라고 말한다.
  • 진심(盡心)
백성이 나라에서 가장 귀하고, 학문에는 순서가 있어야 한다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상편 46장, 하편 38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속적인 욕망에 앞서 도덕적으로 깨끗한 삶이 군자로서 더 추구해야할 것이며, 성인의 도를 배우는 데에 순서가 있으며 꾸준히 노력하면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제목의 진심盡心은 "자기의 마음을 다하면"이라는 의미이다. "자신의 마음을 다하면 자신의 성性을 안다. 자기의 성을 알면 하늘을 알게 되는 것이다."

5.3 원문(한자)

한문 원문 및 한글 번역
한문 원문 및 영문 번역

6 매체에서의 등장

  • 냠냠OK 작가의 만화에 수 회 인용되었다.
  1. 우측 상단의 온전한 다섯 글자는 추국아성공鄒國亞聖公, 잘린 두 글자는 맹가孟軻이다.
  2. 공자(孔子)에 버금가는 성인(聖人).
  3. 통일 秦 이전의 유학儒學 사상계.
  4. 다만 맹자의 주장을 민주주의라고 하기는 힘들고 민본주의라고 해야 옳다. 물론 맹자의 민본주의가 민주주의와 어느정도 닿는 면이 큰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5. 추鄒라 함은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에 존재했던 맹자의 고향 나라의 이름이다. 몇몇 학자들은 이 추나라를 노魯나라 산하의 식민지(...) 비슷하게 여기고 있지만, 당장 《맹자》 본편만 참고하더라도 '추나라와 노나라의 교전이 있었다'는 대목이 있으므로, 추나라는 다만 소국이었을 뿐 분명한 자주권을 확보하고 있던 노나라 접경 국가였다라고 여기는 것이 타당하다. 국國이라 함은 말할 필요도 없이 '~나라'의 뜻. 아亞라고 함은 '버금가다'는 의미로, '공자께 버금가시는 분'이라는 극존숭極尊崇의 표현이다. 성聖이라 함은 앞의 '아'를 받아 '~ 성인聖人'의 의미로 연결되어 '공자 다음가시는, 제2의 성인', 즉 '아성亞聖'을 맹자의 고유 칭호로 만든 것이다. 공公이라 함은 쉽게 말해 공작公爵. 앞에서 굳이 추나라〔鄒國〕를 언급한 것은 바로, 이 '공작'이 제후의 작위이므로 반드시 거할 나라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맹자는 자기 고향 나라의 영주로 봉해진 셈.역성혁명의 주창자답군!
  6. 이 단어가 보이기 시작하는게 대략 16세기 예수회의 문서에서부터 비롯되는데, 그때의 라틴어를 고전 라틴어식인 멘키우스로 발음하는건 좀... 애초에 멘치우스라는 발음 자체도 당대 중국어의 '멩쯔'에서 비롯되었다. 참고로 영어 발음으로는 멘시어스에 가깝다.
  7. 도가道家 계열의 사상가로, '정강이 털 한 올을 뽑아 천하를 이롭게 할 수 있다 해도 그리하지 말 것'을 주장했다. 맹자는 이러한 '위아주의爲我主義'를 '무군無君의 도道(임금을 업신여김: 무정부주의)'로 평가했다.
  8. 묵가墨家의 창시자로, '근친원소近親遠疎의 차이를 두지 말고 만인을 평등히 애호할 것(겸애兼愛)'을 주장했다. 맹자는 이러한 '겸애주의兼愛主義'를 '무부無父의 도道(아버지를 업신여김: 가족해체주의)'로 평가했다. 패드립의 원조?
  9. 원문에는 「천하는」이라고 되어 있다. 문법적 실수로 간주하고 이같이 수정하였다.
  10. 인정仁政. 이 말은 《논어》 등 공자의 어록에서는 나오지 않고 《맹자》에서 처음 등장한다. 본격적인 유가儒家 정치론이 맹자로부터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11. 공자의 손자. 공자가 세상을 떠난 후, 증자曾子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그 학통을 계승함으로써 유가 정신주의의 반석을 놓았다. 사상적으로 맹자와 접점이 많아, 자사와 맹자의 학문을 묶어 사맹학思孟學이라 일컫기도 한다. 저서로 《자사자子思子》 23권을 남겼다 하나, 일찍이 《중용中庸》 외에는 대부분 망실되었고, 일부가 최근 전국시대 고분묘 발굴 성과에 따라 다시 빛을 보게 되었다.
  12. 특정 글자를 동일한 발음의 다른 글자로써 풀이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고대 중국인들의 시적이고 철학적인 글자 해석법으로, 중국 고전에서 심심찮게 볼 수 있다.
  13. 위는 삼진에서 갈라져 나온 직후인 전국시대 초기에는 황하 중류 일대를 장악하여 잘 나가는 국가였다. 하지만 방연이 조나라를 치는 틈을 타 제나라의 손빈이 원군을 지휘해 위를 직접 공략한 후 마릉에서 위군을 격멸했고, 이후 진(秦)의 상앙이 황하 서쪽 영토를 탈취하는 바람에 많은 영도를 잃으며 국력이 급격히 쇠퇴한 끝에 수도를 안읍에서 대량(大梁)으로 옮기기에 이른다. 이후 위나라의 별칭이 수도를 따 양이라고도 불리게 되었기 때문에 맹자 첫 장에 등장하는 양 혜왕은 바로 위의 국왕이다.
  14. 2015년 10월 현재 가치로 따져도 약 15억 원에 이른다.
  15. 송나라는 노자하시지요라고 했고, 설나라는 호위병을 구하라고 돈을 줬는데 제나라는 그런 말이 없었으니, 이유 없이 준 돈은 매수하려고 준 돈이다라는 것이 맹자의 주장이다. 하지만 송과 설 나라가 정말 저 이유 때문에 줬을 것이라고는 맹자도 믿지 않을 것이고, 제나라 왕도 저 금을 주면서 인사치레도 없지는 않았을 것이며 송나라에서 받은 돈이 다 떨어져서 설나라에서도 받았다고 하기에는 송나라에서 준 황금 21kg이 너무 거금이란 점을 고려하면 납득하기 어려운 감은 있다. 때문에 이 대목에서 진진의 질문은 자연스러운 반면에, 맹자의 답변은 영 껄끄러울 수 밖에 없다.
  16. 무畝 또는 묘畝는 고대 중국의 전토田土의 면적 단위이다. 주공周公이 처음으로 제정한 것으로서, 넓이는 길이가 19.496㎝인 주척周尺 8척이 만드는 정사각형 면적의 100배인 주척 6,400평방척이다ㅡ한국민족문화 대백과.
  17. 주나라의 향교鄕校를 상庠이라 하였고, 은나라의 향교를 서序라 하였다.
  18. 공자의 자字. 왕 앞에서 '선생(자子)' 운운하는 것은 예법에 맞지 않으므로 자로써 언급한 것이다. 때문에 뒷말에서도 공자에 대한 공대恭待가 없도록 번역하였다.
  19. 사실 맹자와 가장 극명한 대척점에 서있다 볼 수 있는 학자는 한비자韓非子다.
  20. 行一不義殺一無罪而得天下仁者不爲也: 하나의 불의를 행하여 하나의 무죄한 이를 죽이면 천하를 얻는다 하더라도 인자仁者는 그리 하지 않는다ㅡ이 대목은 맹자가 '성인聖人들이란 어떤 이들인가?'를 논할 때 했던 말인 「行一不義殺一不辜而得天下皆不爲也: 하나의 불의를 행하여 하나의 무고한 이를 죽이면 천하를 얻는다 하더라도 그들 모두 그리 하지 않는다」와 매우 유사하다. 순자가 이러니 저러니 해도 맹자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음을 여기서도 알 수 있다.
  21. 말 그대로 망하는 도(...)
  22. 위 요약문도 왕패편을 참고하여 만든 것.
  23. 배권杯圈. 배권은 '술잔' 혹은 '나무 식기'. 이 대목에서의 배권은 주로 '술잔'으로 해석되지만, 연하기로 정평이 나있는 고리버들 목재가 어떻게 술잔 기능을 할 수 있는가에서부터 시작하여 무수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과연 고리버들로 술잔 만드는 것이 가능한가? 불가능하다면 이 배권은 나무 식기를 지칭하는 것인가? 그렇다면 어떤 나무 식기인가? 혹 고대에는 이 단어에 또다른 뜻이 있었는가? 하지만 그딴 건 이 담화의 요지와 별로 상관이 없으므로(...) 대강 번역하여 그저 '광주리'라고 명명해 두겠다.
  24. 어느 날, 그날따라 어찌된 일인지 새벽 일찍 일어났던 경험이 있는 위키러들이라면 이 대목의 이해가 쉬울 것이다. 안개 같은 푸른빛이 방 안을 물들이고, 창 밖으로는 이슬비가 부슬부슬 내리며, 그 와중에 가끔 아침새가 짹짹대는, 고요한 생기로 넘치는 그 평화로운 시간대에 일어났을 때의 기분은 어떠했는가? 그 시간대는 대낮의 문명 활동으로 인한 외물外物 접촉이 일어나지 않는 시간대이다. 문명이 잠에 든 그 시간대는, 하늘이 만물을 냈을 때의 그 본연, 자연의 상태와 유사한 상태의 시간대이다. 맹자는 이러한 시간대에는 필연적으로 인간 본연의 기운(기氣)이 흥기하게 된다고 보았다. 그것은 인간이라면 그 누구에게서나 다 흥기하는 기운으로, 곧 '선을 좋아하고 그것을 도모하고자 하는 경향성'이다. 잠시 바깥일을 잊을 수 있는 그 시간대는 인간 본연의 유순함이 드러나는 시간대라는 것이다.
  25. 감정感情의 의미가 아니다. 실정實情(=실태實態, 실상實相)의 의미. 곧 재질과 통하며, '갖추어진 바탕의 참된 바'를 뜻하는 것. 혹은 '경향성/동향성'의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는데, 일본의 유학자 이토 진사이伊藤仁齋는 자신의 저서 《어맹자의語孟字義》에서 "정은 성의 욕구하는 바이니, 움직이는 것이 있다는 것으로써 말한 것이다. 때문에 성정性情으로 병칭한다. 〈악기樂記〉에서 이르기를 '물物에 감하여 움직이는 것이 성의 욕구이다' 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라 하였다. 성균관대학교 이기동 교수 저 《이또오진사이-일본 사상의 대변자》에 이 《어맹자의》의 번역이 실려 있으므로 자세한 바를 알고 싶은 위키러는 이를 참조하시길.
  26. 위 인용문의 그것과 의미가 같은 것으로 보인다. 양자 모두 재질(재才)과 연관되어 언급되고 있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27. 삭鑠ㅡ원문의 이 글자를 따른다면 '녹아드는 것'이 직역이겠지만, 성균관대학교 신정근 교수의 번역을 빌렸다. 신 교수의 번역은 맹자가 '삭鑠'으로써 표현한 '외입되는 모양'을 '욱여넣다'라는 우리말로 묘사함으로써 '외입'의 비자연성, 강제성을 특히 부각하여 맹자의 뜻을 탁월하게 살려냈다.
  28. 이 대목이 우리가 흔히 쓰는 그 '방심放心'이라는 단어의 출처이다.
  29. 공자가 태어나고 자랐던, 그 옛날의 노魯나라 지방에 있는 산 이름. 중국 5대 명산의 하나로 동악東岳이라고도 불리운다. 공자는 태산을 좋아하여 자주 소풍놀이(...)를 했다. 《논어論語》에도 태산에 대한 언급이 몇 번 보인다. 하여튼 무지막지하게 큰 산.
  30. 발해만의 발해渤海를 말한다. 고구려의 멸망 이후 남북국시대의 그 발해가 아니라 요동반도산동반도 사이의 바다. 랴오둥과 산둥 사이의 거리를 생각하면... 하여튼 꽤 큰 바다.
  31. 후한대後漢代의 주석가 조기趙岐는, 이 문장은 '어른을 안마해 드리는 것'을 의미한다 하였다. '나뭇가지를 꺾는다'라고 함은 관절부를 아주 시원스레 주물러서 똑! 소리가 나는 현상을 비유한 말이라는 것. 맹자의 고향인 추鄒나라 및 그 근방의 관용 표현인 듯 싶다.
  32. 서양의 '운명Fate' 개념과 동일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동양의 '명' 개념은 '변동 불가의 필연'이 아니라 '예측 불가의 우연'에 가까운 것이다. 때문에 맹자는 "명을 아는 자는 위태로운 담벼락 아래에 서있지 않는다."하였고(위태로워 곧 무너질 담벼락 아래에 굳이 서있으면 조만간 깔려서 피해를 입게 되는 것이니, 이는 이치에 의한 필연이다. 때문에 이는 피할 수 있다. 필연이기에 능히 예측할 수 있으며 대비하고 회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의 일에 최선을 다하였음에도(진인사盡人事), 내 능력 밖에서 닥쳐오는 '우연'만은 어찌할 수 없으므로 이를 일러 '하늘의 명을 기다린다(대천명待天命)'라고 표현할 수 있다. 이것이 필연과 우연의 구분인 것이다. 이같은 구분을 하지 않고 '이 모든 것이 운명일 뿐이다' 생각하여 자포자기함을 경계할 것을 맹자는 지적한 것이다.), 순자의 경우 아예 "우연스레 맞닥뜨리게 되는 것을 명이라 한다."라고 명시하였다.
  33. 요堯의 뒤를 이은 전설상의 성왕聖王. 요의 두 딸을 아내로 맞아 들인 뒤 자매덮ㅂ... 제위에 올라 정부 조직을 9개 부서로 세분화, 체계화하고, 전국을 12방의 구획으로 나누어 행정 사업을 진행하였으며, 여러 법제를 정비하였다. 치수 사업을 성사시킨 우禹를 차기 대권 주자(...)로 양성하였고, 남방의 순수 중 사망하였다. 자신을 해치려까지 한 완악한 아버지를 쉰 넘도록 지극히 사모하여 끝내 그 마음을 돌리게 한 대효大孝의 고사로 유명하다.
  34. 맹자가 말한 이 '인의예지'가 말 그대로 완성형으로서의 '사덕'인지, 아니면 맹아萌芽형으로서의 '사단'인지는 고금의 주요한 논쟁거리. 전자가 성리학의 집대성자인 주자의 영향으로 오랫동안 정설로 여겨졌으나, 후대의 유자儒者들, 즉 이토 진사이, 정약용 등은 맹자가 후천적 노력을 강조한 부분, 예컨대 맹자 고자장구 상편 19장의 "오곡은 곡식 중에서 종자가 뛰어난 것들이지만, 만약 여물지 않는다면 비름이나 피보다도 못한 것이다. 하여 인仁 또한 그것이 여묾에 달려 있다."과 같은 부분에 주목하여 후자를 지지하였다. 오늘날 맹자를 존숭하는 학자들은 보통 후자를 지지하는 편인데, 예컨대 국립대만대학의 푸페이룽傅佩榮(1950 ~) 교수는 후자를 강력히 지지하여 아예 '맹자의 성선설은 사실 선성善性을 주장한 것이 아니고, 사람이라면 능히 가이위선可以爲善할 수 있다는 선언으로서의 향선설向善說(사람의 성은 선을 좇는 경향이 있다는 설. 사실상 정약용의 성기호설性嗜好說과 통한다.)이다' 주장한다.
  35. 기우杞憂겠지만, 이건 본 작성자가 편한 예시를 들기 위해 임의로 꾸며낸 문장이니 이를 《맹자》 원문에서 찾는 안습한 일은 하지 말 것!
  36. 아프리카 물소의 무리를 생각해 보자. 이들도 무리를 짓는다. 그러나 이들의 무리는 가장 약하거나 불행한 개체가 낙오되어 포식자에게 물어 뜯기는 동안 집단 방관 내지는 집단 도주를 택한다. 이것이 이들 무리가 말 그대로 '무리'에 그치는 이유이며, '사회'로 이름될 수 없는 이유이다. 그러나 '사람의 무리'는 이와 같지 않다. '선'이라는 삶의 방식을 '부여받은(진화학적 관점으로 이 「천명天命으로서의 선」을 부인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공맹의 '천天'은 의지적 존재인 동시에 이법적理法的 존재, 또한 자연 그 자체를 의미하는 존재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아니 된다)'인간군은 고도로 발달된 공감 능력ㅡ인의로 연결되는, 측은의 마음과 수오의 마음을 지니고 있기에 능히 「사회」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37. 이러한 논지는 흥미롭게도 훗날, 맹자를 가장 철저하게, 논리적으로 비판한 순자에 의해 가장 공고하게 정당화된다.
  38. 동정심의 확장태인 '인仁', 도덕적 수치심과 도덕적 증오심의 확장태인 '의義'는 모두 '공감 능력'이라는 기반 위에서만 실현될 수 있는 것이다.
  39. 원래 동아시아에는 서양처럼 실체로서 악(Evil)이나 악마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다. 오(惡)의 반대는 노자대학에 나오듯 미(美). 사실 善도 惡의 반대로 쓰이긴 했는데, 善은 착하다는 의미보다 좋다는 의미가 훨씬 강했다. 일단 다다익이란 말의 뉘앙스를 보자. 한자 (魔)라는 글자도 불교마라(mara, 악마)를 음역하기 위해 후대에 만들어낸 글자다.
  40. 사실 '조악粗惡하다'의 뜻으로 해석하면 그만이므로, 성악설이라는 명칭이 자체부터 틀린 말은 아니다. 괜히 잘난 척 한다고 주변에 "이봐, 순자는 '성악'을 말하지 않았어. 그의 주장은 정확히는 '성오설'이라규!" 하는 일은 없길 바란다. 학계에서 도올 외에는 그냥 다 성악이라 지칭하는 편이다. 그리고 도올도 선진先秦 문헌에 있는 '惡'자를 죄다 '오'로 해석하지는 않는다. 다만 '오'든, 악'이든 선진 문헌의 '惡'자에 '善'과 이원적으로 대립하는 구도의 강력한 윤리형이상학성이 없는 건 맞다.
  41. 《순자》를 보면 "맹자는 '사람이 학문을 하는 것은 그 성性이 선善하기 때문이다' 했으나, 나는 '그렇지가 않다' 하겠다!"라는 문장이 나온다.
  42. 인위人爲. '거짓'의 의미가 아니다.
  43. 옛날에는 사실상 가정교육이며 독학이며 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에 위대한 스승을 찾아 그를 모시고 가르침을 받는 것이 결국 '교육 받음'이며 '학문함'이었다. 여기서 이제 교학상장敎學相長이라는 말을 떠올려 보자. "가르침과 배움은 서로를 키운다!" 순자의 눈에는 이만큼 휘황찬란한 위僞의 작용은 없었을 것이다. 무려 제곱의 위僞!
  44. 순자가 보는 성性의 범주는 맹자와 달랐다. 맹자는 오늘날 관점으로 본다면 '습성', '품성'으로 분류될 만한 몇몇 특질 또한 '하늘의 의지로 그렇게 설계된 것'으로 간주하여 뭉뚱그려 성性으로 명명하였는데, 순자는 이에 반대하여 엄격한 구분을 요청하였다. 본연적인 성性은 본연적인 성이고, 인위人爲는 인위人爲인 것이다.
  45. 인의왕도론仁義王道論 항목에서 언급했듯이, 맹자는 의義를 인仁과 짝지어 그에 준하는 주덕主德으로 격상하고 줄기차게 인의仁義라 병칭하였는데, 사실 맹자만 특별히 그런 게 아니고 순자 또한 《순자》에서 이를 즐겨 사용했다. 그러나 순자의 인의仁義는 일체의 선험성이 없는, 사회적 차원에서 실현되는 위僞의 덕德이다.
  46. 때문에 순자는 이 '성왕의 기호'를 사람들에게 주입시키기 위해 무진 애를 썼다. 순자와 그 제자들은 유학 분파 중에서도 경전 정리와 예악禮樂 사상 정립에 가장 지대한 공헌을 한 분파였는데, 이 모두가 사람들의 기호, 즉 감정의 호오好惡 경향성을 옛날 성왕, 성현聖賢들의 그것과 합치시키기 위한 노력이었다. 경전을 개중 몇몇의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시경詩經은 예로부터 전승된 300편의 노래, 특히 연가戀歌를 기록한 서적(시경의 기록된 시들은 원래 시가 아니었다. 모두 옛날의 노래 가사였는데, 그 곡조를 기억하는 인물들이 모두 사라지고 가사만 남아 시가 된 것이다), 서경書經은 옛 성왕들의 준엄한 언행을 기록한 서적, 악기樂記(예기禮記의 포함되어 전승됨)는 음악의 심오한 의미와 찬연한 기능을 설명한 서적이었으니 이 모두 사람들의 감정을 분발시키고 단련시키는 것이었다. 그리고 예악 사상은 성왕의 엄정한 예의, 절제된 음악이 조화되어 정치의 요체가 되는 것이었으니 당연히 사람들의 감정을 교화하는 것이었다.
  47. 기우杞憂겠지만, 이 때문에 순자가 '수사修辭로서의 도덕'을 주장한 것이라 오해해서는 안 된다. 순자의 대편불편론大便不便論은 그의 제자이자 훗날 통일 진秦의 승상인 이사李斯가 "진나라가 작금의 패업을 달성한 것은 인仁과 의義 때문이 아니라 유려한 편의주의 때문이 아닙니까, 센ㅡ세ㅡ?"라고 묻자 이를 제발 나대지 좀 말라면서 반박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인데, 당대 권력자들 또한 이사와 비슷한 논변으로 유학자들을 다그쳤으므로 순자는 이 '대편불편론'을 자연 줄기차게 써먹게 되었다. 하여튼 그 반박 내용의 말미를 인용하면: "... 탕湯이 걸桀을 몰아낸 일은 명조鳴條의 들판으로 그를 쫓아낸 때에 있는 것이 아니고, 무왕武王이 주紂를 쳐낸 일은 갑자일甲子日 새벽에 승기를 거둔 까닭에 있는 것이 아니네. 모두가 이전부터 힘써 갈고닦은 바에 기인한 것이니, 이를 일러 인의仁義의 병술이라 하는 것이야. 지금 자네는 근본에서 구하지 않고 말단이나 헤집고 있으니, 이야말로 세상이 혼란한 연유일세!" 이로써 비추어 본다면 순자의 대편불편론이 말하는 요지는 도덕의 수사적 실용성이 아니라 도덕 본연의 실용성이다. 맹자 못지 않은 애민주의자인 순자("군주는 배요, 백성은 물이다. 물은 곧 배를 띄우기도 하고, 곧 배를 뒤집기도 한다." "하늘이 백성을 낳은 것은 군주를 위함이 아니나, 하늘이 군주를 세운 것은 백성을 위함이다.")는 인의仁義와 예의禮義를 만백성에게 이롭지 않을 수 없는 것으로 보았다. 이는 "...선왕先王이 그 어지러움을 싫어한 까닭에 예의禮義를 제정해 분수와 한계를 세우고..." 등의 대목으로도 유추할 수 있다. 즉 순자의 입장에서 볼 때, 고도의 공감 능력과 이타심을 지닌 문화영웅(Culture Hero), '선왕先王'의 인문주의(Humanism)가 표출되어 형성된 인仁, 의義, 예禮는 그 태생부터 널리 사람을 이롭게 하기 위한 인위(위僞)의 목표를 지향하는 것이므로 당연히 제 기능을 한다면야 실용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
  48. 아이러니하게도, 전근대의 동아시아인들은 이런 방면에서 매우 현실적이고 실용성을 중시했다. 물론 여기에는 성리학은 공허한 설정놀음 아니였냐라는 반론이 있을 수 있으나, 성리학에 반대하여 실사구시를 강조하는 실학이 나왔다는 점에서부터, 동아시아인들은 이미 극단적으로 현실주의자였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서양의 자연과학은 실사구시를 추구하는 학문이 아니다.
  49. 송대宋代의 도학자道學者가 이르기를 "맹자 이래로 커다란 견식을 구한 사람은 당대唐代의 한유韓愈 외에 없었다" 하였는데, 이 한유는 "맹자는 순수하고도 순수한 사람이나, 순자와 양웅은 크게는 순수하되 작게는 하자가 있다" 하였다.
  50. 특히 주자 이후 사서삼경으로 보급된 《맹자》에서 "삶은 내가 바라는 바이고, 의義 또한 내가 바라는 바이지만, 두 가지 모두를 구할 수는 없다면, 삶을 버리고 의를 취하리라" 선언한 맹자의 세뇌(...)를 받은 신유학자들의 시선으로 보자면 더욱 그럴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일례로, 실사구시, 경세치용의 유학자로 유명한 다산 정약용오규 소라이의 영향을 크게 받아ㅡ오규 소라이는 맹자를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며 깠던 일본 유학자이다. 그는 순자도 좀 까긴 했지만(...) 순자 사상의 영향을 대차게 받았다.ㅡ순자의 이론을 대거 수용하는, 당대로서는 꽤나 파격적인 행보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끝끝내 맹자를 버리지는 못한 채 소위 '성기호설性嗜好說'을 주장했다. 뭐 사실 주자를 까도 사문난적 취급이었는데 맹자를 까면 어떤 참사가 일어났겠느냐마는...
  51. 근데 실상을 따져 본다면, 까방권은 맹자보다 주자가 더 공고했다. 맙소사 조선의 성리학자들이 주자를 존숭한 이유는 "주자께서 출현하신 이후 비로소 도학道學이 부활하고 완성되었다" 여겼기 때문인데, 이는 주자가 "맹자는 본연本然의 성性을 말하였고, 순자는 기질氣質의 성性을 말하였다. 도통의 정맥正脈은 역시 맹자이다 하겠으나, 그가 기질의 성을 말하지 않은 것은 부족한 점이다" 라는 실로 패기넘치는 논평으로 시작하여 성리학의 정수인 이기론理氣論을 확립하였기 때문이었다. 주자가 제시한 이기론에 근거하여 세계관을 구축하고 '이것이야말로 더할 수도 뺄 수도 없는 최종의 진리이다' 생각한 조선 성리학자들은ㅡ세세한 부분에서는 몇몇 성리학자들이 독창적인 견해를 내긴 했으나, 그들 중 이기론을 자체를 부정한 자는 하나도 없다.ㅡ때문에 맹자의 말과 주자의 말이 상치되는 상황에 직면한다면 다만 이같이 생각할 뿐이었다: "주자님 말씀이 더 정확하겠지 뭐..."
  52. 곧 천도天道와 인도人道의 관계성.
  53. 흥미로운 점은, 가톨릭 역시도 심성론에 한정한다면 맹자와 비슷하게 설명을 하였다는 점이다. 이쪽의 경우도, 악의 문제와 같은 수많은 반론과 투쟁하여야 하였으나, 선을 악과 이원론적으로 이해하는 결론만큼은 절대로 내릴 수가 없었다. 그것이 전지전능하고 선한 유일신에 대한 신앙에 위배되는 까닭도 있었지만, 이원론적인 이해를 하게 될 경우 선과 악을 마치 경쟁하는 라이벌 관계처럼 이해할 여지가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는 "선이 악보다 우월하고 따라야 할 가치인 이유를 설명해주세요"라는 물음에 답하기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결국 맹자이든 가톨릭 교회이든간에, "옳음은 그것이 옳다는 이유 만으로 지켜야 한다"는 결론을 결코 포기할 수 없었던 것이다. 물론 가톨릭은 여기에 신학적인 여러 추가 설명이 붙고, 유학의 경우는 성리학적인 추가 설명이 붙을 수 있겠지만.
  54. 순자 출현 이후의 유학, 특히 성리학의 역사는 '맹학孟學의 끊임없는 정당화'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그 과정에서 순학荀學의 왜곡은 필연이었으며, 심지어 맹학의 왜곡 또한 필연이었다. 극도의 정신주의로 치달은 송명宋明 유학의 흐름은 현실에 부딪힌 유학의 한계를 애써 못 본 척하고, 어떻게든 그 옛날에 '있었다던' 대동세계大同世界로 돌아갈 수 있으리라 믿었던 순진한 유학자들의 안타까운 몸부림이었다 하겠다.
  55. 사실 엄밀히 말해 그냥 혁명론革命論ㅡ천명天命의 변혁變革에 관한 논설論說ㅡ이다. 역성易姓ㅡ군가君家의 성姓을 갈아치움ㅡ따윈 아무래도 좋은 것이지만, '혁명'이 '역성'까지도 용인한다는 부분에서 시사점이 크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역성혁명론'이라 불린다.
  56. 社ㅡ토지의 신, 稷ㅡ곡식의 신. 이들은 옛날 농본주의 국가에서 섬기던 주요한 신들이며, 예로부터 이들을 섬기기 위한 제단인 사직단社稷壇은 종묘宗廟와 함께 한 국가의 필수적 건축물로 여겨져 국가의 혼과 동일시 되었으며, 자연 그 관리 현황은 국가의 흥망성쇠를 점치는 척도가 되었다. 때문에 '사직', '종묘사직' 등의 말은 오늘날까지도 종종 국가 그 자체를 지칭하는 상징어로 쓰인다.
  57. 도적 적, 역적 적, 사악할 적, 포학할 적, 학대할 적, 해칠 적, 죽일 적, 그르칠 적
  58. 잔혹할 잔, 흉악할 잔, 해칠 잔, 죽일 잔, 재앙 잔
  59. 제선왕이 '왕의 신하'의 입장이 되어 "그 친구랑 절교해야겠지요."라고 대답한다ㅡ는 식으로 이 대목을 해석하는 경우가 많으나, 맹자가 이 장章에서 세 가지 질문을 통해 강조한 요지가 바로 '불치不治의 책임'임을 고려할 때, 이는 엇나간 해석이다. 맹자는 굳이 '왕의 신하 가운데' 라고 못을 박았다. 이는 질문 안의 주인공이 '치治를 업으로 삼는 공무원'임을 밝혀 둔 것이다. 첫번째 질문에서의 주인공은 '돼먹지 못한 친구한테 처자식을 맡기고(=실질적 방임) 초나라로 관광 떠난 공무원(왕의 신하)'이고, 두번째 질문에서의 주인공은 '부하를 다스리지 못하는 고위 공무원(사사士師)'이며, 세번째 질문에서의 주인공은 '나라를 다스리지 못하는 최고 공무원()'이다. 따라서 논리의 통일성을 고려한다면 이 대목에서 왕이 답한 말인 '棄之.' 는 '그 친구와 절교해야겠다'가 아니라 '그 못난 신하를 내치겠다' 내지는 '그 못난 신하를 멀리하겠다'로 해석함이 옳다.
  60. 고대 중국에서 법령과 형벌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재판관裁判官.
  61. 이 경우에는 하위 사법관司法官.
  62. 맹자는 "왕을 잘라야겠지요." 라는 대답을 왕에게 강요한 셈이다. 제선왕이 쫄아서 대답을 회피한 것(...).
  63. 사실 '제선왕' 입장에서는 맹자의 혁명 이론은 불쾌한 것 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제선왕이 속한 제나라의 전씨 왕조는 이미 여씨 왕조를 몰아내고 역성혁명을 벌인 '찬탈자'이기 때문이다. 제선왕 입장에서는 자신의 조상들이 벌인 찬탈을 긍정하는 이론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다. 근데 이와는 별개로, 나중에 맹자가 아예 직접적으로 "왕이 못나면 혈족의 경卿들이 갈아치울 수 있지요." 하자 제선왕은 얼굴이 씨벌개져서 씩씩댔다(....)고 한다.
  64. 애시당초 민주주의는 유럽에서 발생한 사상이다. 중국땅에서 발생한 민본주의에서 파생됐을 리가 없다.
  65. 사실, 위 '탕무방벌론湯武放伐論'의 기사에서 알 수 있듯이, "탕이 걸을 몰아내고 무왕이 주를 쳐낸 것"은 "지배계급"의 판단(즉 현재의 지존 지배자가 도덕성에 큰 하자가 있다는, 중층 지배자의 임의적 판단)에 의한 축출이지, 백성이 주체가 되어 직접적 물리력을 행사하거나, 정식으로 탄핵을 소원하여 이루어진 축출은 아니다.
  66. 지위地位가 높거나 나이가 많은 사람ㅡ네이버 한자사전. 장長은 관직으로서의 지위가 높은 사람에 가깝고, 상上은 가문으로서나 나이로서 지위가 높은 사람에 가깝다.
  67. 기세饑歲는 곧 기근饑饉이 든 해.
  68. 아뢸 고, 하소연할 고. 간언할 고, 청할 고. 곧 맹자는 관리들 중 군주에게 백성들을 구휼할 것을 청한 이가 한 명도 없었음을 꼬집은 것이다.
  69. 물론 조문 사절로 보낸다거나 하는 별 정치력 없는 업무는 시킨다. 그렇지만 그것마저도, 본인 명색이 정사正使인데 실권은 옆에 있는 부사副使가 다 가져가고 그랬다..
  70. 다만 다분히 악의적인 해석을 순화시킨다면, 이 의견은 맹자를 개중에서는 나름 근사하게 분석한 것이다. 맹자는 "군주에게는 함부로 부를 수 없는 신하가 있어야 한다," "지위, 나이, 덕망이 세상에서 존귀한 것인데, 하나를 가졌다 해서 둘을 누를 수는 없다," "지식인은 군주를 의도적으로 가벼히 여기고 간언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 세상에 왕이 나를 쓰지 않고서 어찌하겠는가?" 하며 이윤伊尹이나 주공周公, 태공망太公望이 그러했듯, 영향력 있는 왕사王師의 대접을 받길 원했다.
  71. 제나라의 한 지방이다. 노나라와의 접경지대로, 지금의 산둥 성(山東省) 윈치 현(汶上県) 어딘가이다. 산시 성(山西省)의 평륙과는 다르다.
  72. 창병기의 하나인 극戟을 지닌 병사. 전국시대의 일반적인 보병이다.
  73. 이 대부의 이름이 공거심孔距心이다.
  74. 공거심이 제나라 평륙의 대부이므로 이 왕은 제齊나라의 선왕宣王이다.
  75. 도都. 원칙적으로는 그 고을에 종묘와 신주가 있다면 도都라 하고, 그렇지 않다면 다만 읍邑이라 한다. 그러나 예로부터 이 둘은 통용되어 왔다.
  76. 맹자의 경우 실권이 없었기는 해도 엄연히 경卿이었므로 신하를 자칭한 것이다.
  77. 맹자가 공거심 뿐만 아니라 다른 대부들에게도 비슷한 맥락의 추궁을 하고 다녔음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78. 제나라의 선왕이 연나라 공략에 성공한 것에 기세등등하여 "아무래도 내가 연나라를 취하는 건 하늘의 뜻인 것 같습니다, 하하하!" 하고 있으니, 맹자가 냅다 찬물을 끼얹은 대목. (...) 맹자: 어디서 하늘 핑계를 대고 있느냐 이놈아
  79. "천자가 사사로이 남에게 천하를 선양할 수 있는가?"에 대해 논함에 맹자가 "천하는 사사로운 물건이 아니다!"라고 한 대목.
  80. 종횡가縱橫家를 따르는 인물이었던 것 같다. 《한서漢書》〈예문지藝文志〉에 수록된 《경자景子》 13편이 이 사람의 저서로 추정되고 있다.
  81. 종횡가縱橫家로서, 합종책合縱策을 주장하는 이들의 주축이었다. 뒤에 보이는 장의張儀의 적수로는 주로 소진蘇秦이 거론되지만, 현대의 사료 연구 성과에 따르면 소진이 본격적으로 두각을 나타낸 시기는 장의의 사후였다고 한다.
  82. 종횡가縱橫家로서, 연횡책連橫策을 주장하는 이들의 주축이었다.
  83. 20세가 되어 갓을 매는 성인식.
  84. 첩부를 첩실妾室로 해석할 수 있으나, 그냥 말 그대로 '첩과 부인의 도리'로 이해하는 게 좋다. 혹은, '첩'이란 말은 '부인'이 스스로를 낮추어 이르는 말로도 쓰임을 감안할 때, 이를 맹자가 의도적으로 인용했다 본다면, '아녀자'의 뜻으로 쓰인 것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85. 곧 맹자는, 저 공손연과 장의 등이 위세는 그럴듯해 보이나 실상은 전국시대 패자覇者들에게 아녀자마냥 아양을 떨고 비위를 맞춰서 연명하는 졸장부拙丈夫의 무리일 뿐인 것으로 단언한 것이다.
  86. 인仁
  87. 예禮
  88. 의義
  89. 大丈夫를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흔히들 말하는 상남자(...)
  90. 경전을 취급하는 일본 상인들이 중국에 방문했을 때 다른 경전은 사 가더라도 도통 《맹자》만은 사지 않았다고 한다. 중국 공급상이 그 이유를 물으니, "《맹자》를 싣고 돌아가려 했던 배는 모두 가라앉았다는 소문이 팽배합니다."라고 했다고(...) 누가 퍼뜨렸는지는 알 만하다.
  91. 이 업적으로 인해 전당은 사후 맹자의 사당에 배향되었다!
  92. 학문적으로 순자를 존숭했다. 때문인지 그의 명저 자치통감에서 순자의 어구를 무수히 인용했다. 근데 왕안석한테 보낸 편지의 일부에는 "나는 일찍이 노자와 맹자의 말을 좋아했는데..." 운운하는 대목이 있다. 뭐야 이 아저씨(...)
  93. 사실 구양수는 신법 실시 전까지는 왕안석 편이었다. 왕안석의 재능을 눈여겨보고 그를 등용한 이가 바로 구양수였는데, 시행된 신법이 갖가지 문제를 일으키자 가장 강력한 적수 중 하나가 되었다. 구법당의 대표 인사로 꼽혀서 그렇지, 구양수의 정치적 색깔을 보면 개혁가적인 면모가 다분하다. 그가 맹자를 존숭한 것은 이상해 할 일이 못 된다. 참고로, 구양수는 유가의 도통을 공자ㅡ맹자ㅡ순자양웅揚雄한유의 식으로 제시하여 한유의 도통론(공자ㅡ맹자, 이후 단절)이나 후대 성리학의 도통론(공자ㅡ맹자ㅡ주자)보다 중용적이고 포괄적인 입장을 보였다.
  94. 그렇지만 성론性論에 있어서는 성무선악설을 지지했다.
  95. 저자가 누구인지는 다소 논란이 있다. 보통은 '여러사람이 썼다고 보기에는 문체가 일관되었다는 점', '맹자 사후의 어휘 등이 보인다는 점' 등으로 인해서, 맹자가 주도하여 쓰고 후대에 교정된 부분이 있다고 본다. 사실 이런식의 저자 논란은 고대에 쓰여진 서적 대부분(논어, 대화편, 아리스토텔레스 서적, 성경 등등)이 겪는 문제다.
  96. 정확히는 주석을 달지 않고 방치해 둔 것. 덕분에 후대 학자들도 이 4편을 차츰 경시하게 되어 자연스레 이 4편은 사라졌다.
  97. 또한 문장적 특징으로 인한 선호를 차치하더라도, 그 내용상, '배우고 때맞추어 익히니 역시 기쁘지 아니한가?'라는 전-혀 공감되지 않는(...) 학업 권장 발언에서부터 시작하는 《논어》와는 달리, 《맹자》는 1장부터 "왕께서는 하필 이익에 대해 말씀하십니까? 오직 인仁과 의義가 있을 뿐입니다"라는 발언으로 왕의 명치를 가격하면서(...) 시작하는지라 학생들이 보다 흥미를 느낄 수 있으므로 역시 《맹자》가 선호되는 편. 결국 공부도 재미가 있어야 하게 된다 그래도 내용이 내용인지라 잘 놈들은 잔다
  98. 맹자의 1장 1편. 한 마디로 첫 페이지이기 때문에 유명세가 높다. 이게 얼마나 널리 퍼졌냐면 김시습의 시에도 흥부전에도 심지어는 아무런 상관도 없어보이는 오광대나 들놀음에서 대사로까지 등장한다. 흥부전 -박통 속에서, 글 읽는 소리가 나,"맹자 견양혜왕하신데,왕왈수불원천리이래하시니,역장유이이오국호이까. 마상에 봉한식하니, 도중에 송모춘을, 가련 놀보 망하니, 불견상전인가." 놀보가 듣고 하는 말이, "어디 그게 박 속이냐, 정녕한 서당이지. 귀글은 당음(唐音)인데, 강포(江浦)가 놀보 되고, 낙교(洛橋)가 상전되니, 그것은 웬일인고."-. 동래야류 연희본 -'이전에는 대들보 양자를 씨더니 많은 남이 정간목에 다 듈어가고 맹자孟子가 견양혜왕見梁惠王 자자子字를 씨오.'-
  99. 그런데 '孟子見梁惠王' 구절을 맹자견양혜왕이라 읽는것이 워낙 보편화되어서 그렇지, 사실 맹자'현'양혜왕으로 읽어야 옳다. 맹자는 양나라의 혜왕이 예물로써 자신을 초청하자 선비 내지 현자의 예로써 그에 응한 것이니, 곧 왕을 '알현謁見'한 것이다. ...라는 설도 있긴 하지만, 《맹자》라는 서적 자체가 왕이라고 해서 특별히 예우하여 기록하고 그러지는 않는다. 그냥 맹자가 만나는 사람마다 다 見을 쓰고 있으니, 그냥 "맹자께서 A를 만나셨다"라는 일반적 상황 진술 이상은 아닌 것. 당장 1장 2편에서도, 양혜왕이 개인 정원에서 놀다가 맹자랑 만나는, 알현으로 보기 힘든 상황인데 그냥 孟子見梁惠王이라 쓰고 있다. 또한, '위혜왕魏惠王'이 아닌 '양혜왕梁惠王'이라 기록한 것 자체가 예우 따위 집어치우겠다는 소리다. 손빈을 기용한 제나라에게 패퇴하고 국토가 오그라든 뒤 대량大梁 땅으로 도망치듯 천도하였기에 위나라는 양나라로 불리게 되었는데, 이는 거의 멸칭이다(...) 만약 선조가 왜란을 당하여 신의주로 피난 갔다고 해서 대대손손 '조선 국왕'이 아닌 '신의주 국왕'이라 불리고, 이승만이 한국전쟁을 당하여 부산으로 피난 갔다고 해서 대대손손 '대한민국 대통령'이 아닌 '부산 대통령'이라 불린다면 얼마나 모욕적이겠는가? 위혜왕은 2000년 넘게 현재진행형으로다가 그런 식으로 불리는 중이다(...)
  100. 원문에서의 叟자는 '늙은이 수'자로, 長老의 칭호다.
  101. 해석 : 成百曉. 《孟子集註》
  102. 이 왕(제나라 선왕)은 도살되려는 소가 불쌍해서 차마 볼 수 없다고 하였다.
  103. 이 부분의 원문이 KBS 대하드라마 정도전에도 나왔던 '불위야 비불능야(不爲也 非不能也)'. 정도전 역을 맡았던 배우 조재현은 드라마에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 대사로 꼽기도 했다.
  104. 恒心, 흔들림 없는 도덕적인 마음
  105. 이른바 군자삼락
  106. 교육학에서는 이것을 교육(敎育)이라는 단어의 어원으로 본다.
  107. 조기(趙岐)의 주: 불효(不孝)에는 크게 3가지가 있는데於禮有不孝者三事첫째는 부모의 뜻에 아첨하여 굽은 것을 따라서 부모를 불의에 빠지게 하는 것이고謂阿意曲從, 陷親不義, 一也둘째는 집이 가난하고 부모가 늙었는데도 녹을 위하여 벼슬하지 않음이며家貧親老, 不爲祿仕, 二也셋째는 결혼을 하지 않아 후손을 남기지 못하는 것이니 이중 이 셋 가운데에 후손 없음이 가장 큰 죄이다.不娶無子, 絶先祖祀, 三也。 三者之中, 無後爲大。
  108. 맹자는 남녀 관계를 인간 관계에서 가장 중요하다 여겨 부모의 허락을 안받고 결혼한 것도 괜찮다고 보았다(...)
  109. 王曰, 寡人有疾, 寡人好貨. 對曰, 昔者公劉好貨 詩云, 乃積乃倉, 乃裹餱糧, 于橐于囊. 思戢用光. 弓矢斯張, 干戈戚揚, 爰方啓行. 故居者有積倉, 行者有裹糧也, 然後可以爰方啓行. 王如好貨, 與百姓同之, 於王何有.
  110. 孟子對曰, 王好戰, 請以戰喩. 塡然鼓之, 兵刃旣接, 棄甲曳兵而走. 或百步而後止, 或五十步而後止. 以五十步笑百步, 則何如? 曰, 不可, 直不百步耳, 是亦走也. 曰, 王如知此, 則無望民之多於隣國也.
  111. 梁나라의 군주가 아니다! 秦나라의 압박을 피하고자 수도를 대으로 천도했기에 혜왕으로 불리우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