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롱 다크/아이템

1 개요

더 롱 다크(The Long Dark)에 등장하는 아이템들에 대해 설명하겠다.
본 문서에 나와있는 아이템들 외에도 의자나 베개처럼 부수거나 재활용할 수 있는 아이템들도 있다.

2 아이템

더 롱 다크에 등장하는 아이템들은 마우스 왼쪽키를 눌러 주울 수 있으며 조명 계열 아이템은 1번키를 눌러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2번키는 활이나 무기와 관련된 단축키이고 3번키는 음식 아이템을 떨어뜨리는 키로 늑대를 음식으로 유인할 때 좋다. 모든 아이템들은 별도의 무게를 가지며 플레이어의 피로도가 너무 많이 쌓이지 않는 이상 30kg~59.99kg을 들고 다닐 수 있다. 30kg 이상 들고 다닐 수도 있으나 40kg부터는 달리기가 불가능, 50kg부터는 느리게 걷게 되니 꼭 필요한 것만 챙기도록 하자. 짐의 무게가 60kg 이상이 되면 플레이어가 아예 너무 무겁다고 투정하며 멈춰버린다.

v.347 업데이트로 읽을수 있는 책들이 생겼다. 다른 작업을 할때 처럼 책을 읽는 만큼 시간을 보낼수 있고 책의 종류에 따라서 총기 사용법, 요리법, 낚시 기술, 동물 해체법 과 관련된 스킬의 숙련도를 상승 시킬수 있다. 책 종류들은 기존에 존재하였던 땔감대용의 책으로도 사용할수 있기 때문에 다 읽은 책이라면 유용하게 사용해보자.

2.1 사용 도구

2l8zvxz.png
칼과 모든 기능을 공유하는데 더해 불을 피울 때 쓰이는 장작을 얻기 위한 필수적인 도구. 실내에 그냥 놓여 있기도 하지만 목재나 나무 밑둥 등에 박혀있는 경우도 있으니 있을 법한 곳은 찾아보자.
장작을 수집할 때나 묘목을 자를 때 필수적으로 필요하고 얼음 낚시 터 안에 낚시 구멍을 뚫을 때에도 쓰인다.
각종 동물의 시체를 해체할 때도 쓸 수 있는데, 얼어붙은 고기의 경우 칼보다 빨리 해체할 수 있지만 반대로 얼지 않는 고기의 경우 사냥용 칼로 해체하는 게 더 빠르므로 고기의 상황을 봐서 쓰는 게 좋다.[1] 늑대와의 싸움 중에도 사용되지만, 크기 때문에 제대로 쓰지 못한다는 설정인지 사냥용 칼에 비해 늑대를 쫓아내기 훨씬 힘들다. 그래도 맨손보다는 당연히 낫고 출혈 효과를 내주기 때문에 꿩 대신 닭이라는 심정으로 사냥용 칼이 없으면 손도끼라도 있어야 늑대를 조우할 때 조금이나마 안심할 수 있다.

초반의 안정적인 생존에는 불을 지피기 위한 장작을 얻을 수 있는 손도끼의 발견 시점이 관건이다.
그 외에도 집안의 중·대형 가구들을 손도끼로 부술 수 있기 때문에 재활용 나무를 얻기에도 좋다.
v.298로 업데이트 되면서 기존에는 손쉬운 수리 덕분에 나무를 거의 무한히 패서 장작으로 만들어 쓸 수 있었지만, 현재는 Whetstone(숫돌)을 사용해서 만 수리가 가능해졌기에 이것이 불가능해졌다. 때문에 육류와 식수, 약용 식물을 요리할 때 장작의 수와 손도끼의 내구도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해져 게임의 난이도가 상승하였다. 분해 시 Scrap Metal(고철) 2개와 Fir Firewood(전나무 장작) 1개를 얻는 것이 가능.
v.364업데이트 이후 INTERLOPER(침입자) 난이도에서는 해당 아이템이 등장하지 않는다.

  • Hunting Knife (사냥용 칼)

2jac3dv.png
죽은 동물에게서 고기를 채집하거나 얼음 낚시터 안에 낚시 구멍을 뚫을 때 쓰는 도구. 인벤토리에 보유하고 있을 시 늑대와의 싸움에서 게이지를 빠르게 채워 주며, 늑대에게 출혈상을 입히기도 한다.
주로 고기를 채집할 때도 쓰이며, 얼지 않은 고기는 손도끼 보다 빠르게 채집이 가능하다.
또한 작업대에서 늑대 가죽 외투, 곰가죽 침낭, 활과 화살대를 만들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도구[2]이고 장기간 생존 시 꼭 필요하니 도끼와 마찬가지로 먼저 구하도록 하고 잘 관리 해줘야 한다. 보통 칼인 만큼 크기도 작기에 바닥에 놓여있거나 의자나 탁자 같은 곳에 꽂혀 있으니 잘 살펴보자. 그래도 도끼보다는 조금 더 발견된다. 주택 내부에 있는 베개나 못쓰는 침낭, 커튼 등은 칼로 찢어 천을 얻을 수 있으니 참고하자.

v.298부터 손도끼와 사냥용 칼의 수리 방식이 변경되었다. Whetstone(숫돌)로 날을 날카롭게 만들어 주면 된다.
한 번 수리 시 연마 스킬 숙련도에 따라 내구도가 3-5%정도 회복된다. 1회 사용 시 내구도의 감소량은 작업의 종류와 시간에 따라 다르다. 분해 시 Scrap Metal(고철) 1개를 얻는 것이 가능.
v.364업데이트 이후 INTERLOPER(침입자) 난이도에서는 해당 아이템이 등장하지 않는다.

ek3swo.png

그분이생각난다보관함이나 자동차 트렁크 등 잠긴 곳을 열 때 사용한다.

잠긴 장소가 그리 흔한 건 아니므로 항상 들고 다닐 필요는 없다. 수리가 안 되는 물건 중 하나이니 두 개 정도 찾아냈다면 거점에 보관해 두거나 나중에 찾기 쉬운 장소에 버려두자.[3]내구도가 거의 다 떨어졌으면 고철로 분해하는 걸 추천하는데, 내구도가 거의 다 떨어진 쇠지렛대로 잠긴 보관함이나 트렁크를 억지로 열려고 시도하면 뜯는 중에 쇠지렛대가 그냥 박살 나버리고 열려고 했던 트렁크나 캐비넷 등도 찌그러져서 더 이상 열 수 없게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남은 내구도가 13%이하일 경우, 무조건 분해하자. 특이하게도 늑대와의 싸움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데미지 증가 이 외엔 딱히 이점이 없는 편이다. 분해 시 Scrap Metal(고철) 2개를 얻는 것이 가능.
v.364업데이트 이후 INTERLOPER(침입자) 난이도에서 강력해진 늑대의 공격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초반부터 거의 필수적으로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 Can Opener (깡통 따개)

2mdijpg.png
각종 통조림을 열 때 필요한 아이템. 깡통 따개가 없을 경우 사냥용 칼이나 손도끼로 대체 가능하고 아무것도 없다면 통조림을 손으로 억지로 뜯어 먹을 수 밖에 없는데 이때 통조림 안의 음식을 흘려버려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다른 도구를 써서 먹는 것이 좋다. 이 게임에서 상당히 중요한 손도끼와 사냥용 칼의 내구도를 최대한 아낄 수 있다는 점은 이득. 지렛대보다는 활용도가 높지만 역시 지역에 존재하는 모든 통조림을 모두 따먹었거나 요리 기술이 3레벨[4] 이상이 되면 쓸 일이 없는 건 매한가지이므로 만약을 대비해 내구력 좋은 하나만 남기고 분해하자. 수리시 고철 하나가 필요하다. 쇠지렛대와 달리 수리가 가능하다.
분해 시 Scrap Metal(고철) 1개를 얻는다.
챌린지에서는 나이프와 손도끼의 사용 빈도가 낮아진데다 무게 관리가 중요해서 중요도가 많이 떨어지는 편. 그냥 이거 들고 다니느니 나이프나 손도끼로 따고 만다. 물론 둘 다 없거나 내구력이 낮으면 임시로라도 들고 다니도록.

eqqjvl.png
기본적으로 가지고 시작하며, 침대가 없는 곳에서도 잘 수 있다.
하지만 동굴 안이라도 온도가 낮은 밤 시간이나 아무것도 없는 평지에서 자면 동상과 저체온증이 나타날 수 있어 플레이어 체력이 떨어져 동사할 수 있다. 그러므로 4가지 수제 옷들이 갖춰지기 전에는 야외 취침 시 늑대가 배회하지 않고 바람이 들지 않는 따뜻한 동굴에서 불을 피워두고 자는 것이 좋다.[5] 사실 여행 다니면서 잘 동안 계속 모닥불을 켜 놓을 나무를 구하기도 힘들기 때문에 카터 수력 발전소처럼 침대가 없는 몇몇 건물 내부에서 자야할 때 쓰는 게 보통이다. 없으면 야외 취침이 불가능해지니 주의해야 한다. 무게를 1kg씩 차지하기 때문에 야외 취침을 자주 하지 않는다면 각 지역 거점에 한 두 개 정도만 남기고 분해해도 충분하다.
침낭에서 잠을 잘 때마다 자는 시간에 비례해 내구도가 닳게 되고 옷과 마찬가지로 내구도가 낮아질수록 보온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틈틈이 천을 사용해 수리를 해줘야 잠을 잘 때 체온을 유지하기 쉬워진다.[6] 내구도 100% 기준 +5℃의 보온 효과를 부여한다. 분해 시 1시간 30분을 소모하고 Cloth(천) 10개를 얻는 것이 가능.
챌린지에서는 필수 도구긴 해도 사실 쓸 일이 많은 아이템은 아니다. 유목민 미션 빼고. 유목민 미션은 침대도 없이 3일이나 보내야 하는 곳이 몇 군데 있으니 내구력에 조금은 신경써야 한다.
v.364업데이트 이후 INTERLOPER(침입자) 난이도에서는 시작 시 기본으로 주어지지 않아서 이동 시 침대가 극히 적은 지역은 접근하기 힘들게 되었다. 플레이어는 전 맵에서 매우 낮은 확률로 나타는 침낭을 어떻게든 찾거나 밖에 눈 참호를 제작, 혹은 곰을 사냥하여 곰 침낭을 제작해야 한다.

  • Bear Skin Bedroll (곰 가죽 침낭)

maxresdefault.jpg
작업대에서 사냥용 칼로 건조된 곰 가죽 2개, 건조된 내장 6개, Cloth(천) 5개를 16시간 40분 소모하여 제작.
침낭과 마찬가지로 내구도가 떨어질 수록 보온효과가 떨어지지만, 기본적으로 내구도 100% 기준 보온 효과가 +12℃로 매우 우수하다. 무게는 3kg으로 일반 침낭의 3배이기에 들고 다니기는 부담스럽기에 자주 사용하는 동굴에 놓아두고 사용하는 편이 좋다. 재료가 재료이다보니 곰을 잡으려면 충분한 탄약과 화살을 어느 정도 모아서 곰 2마리를 장기간에 걸쳐 잡아야 한다. 사실상 이 게임 제작 컨텐츠의 끝판왕. 도전과제 중 가죽으로 만든 옷 네 벌을 입고 이 침낭에서 자는 도전과제가 있다.
분해 시 1시간 30분을 소모하고 Black Bear Hide(곰 가죽) 1개와 Cloth(천) 1를 얻는다.

  • 눈 참호 (Snow Shelter)

파일:Screen 888aebd9-9e93-4d3e-9271-4684727efe49 hi.png

v.346 부터 추가된 플레이어가 직접 생성하는 설치용 아이템. 눈 쌓인 지형(평평하고 장애물 없는지형)위에서 45분간 나무가지 15개 옷감 3개를 사용하면 설치가 가능한 오브젝트이다. 안으로 들어가면 동굴에 들어간 만큼의 보온 효과[7]와 풍속 냉각으로 부터 보호되며 참호 안으로 들어간후 밖이 보이는 틈새가 있는데 이때 야생동물의 위치를 확인 할수 있다. 하지만 정면만 보이니 주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 유무와는 상관없이 참호의 내구도가 지속적으로 소모 되며 내구도가 0% 되었을시에는 사용이 불가능해진다. 참고로 눈 참호의 입구 부근에다가 모닥불을 미리 피워두고 참호 내로 진입하면 모닥불의 온기까지 더 해져 엄청난 보온효과를 받게 되므로 추위 문제를 해결해야하는 급박한 상황이라면 참고 하자. 단, 주의할 점은 참호 안에 들어가 있어도 야생동물이 끄집어 내서 물어뜯길 수 있다. 참호 파고 안에다 침낭 깔아놓고 방심하며 퍼질러 자다가 지나가는 곰에게 물어뜯겨 원콤날수 있으니 주의. 참호 안에서는 앉은 자세이므로 활사격은 안되고 [8] 사냥총은 사격이 가능하다.

분해시 20분을 소모하고 Stick(나뭇가지)10개와 Cloth(천) 1를 얻는다.

  • HackSaw (쇠)

2mwwa9.png
v.264 이후 추가된 아이템으로 무한 생존에 걸림돌이었던 Metal Scrap(고철) 부족이 이 아이템을 이용하여 해결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아이템의 등장으로 지역별로 Metal 단어가 들어간 오브젝트들이 추가되었거나 기존 선택이 안되던 오브젝트에도 네이밍이 적용되었으며, HackSaw(쇠톱)을 통해 Metal Scrap(고철)을 얻을 수 있고 고철 1개로 수리가 가능하다.[9] 각지의 주요 큰 거점과 지역을 잇는 동굴에서 등장하는 편이다.

톱이 가장 절실히 필요한 곳은 얼룩이리 산으로, 그곳에 흩어져 있는 다량의 컨테이너들을 열 때 필요한 도구이기 때문이다. 얼룩이리 산의 등산가의 산장에서 확률 적으로 얻을 수 있고 수많은 고난과 역경을 뚫고 꼬리 날개에 도달했는데 쇠톱이 없어 컨테이너를 못 여는 상황은 제작진도 바라지 않았는지 꼬리날개에는 쇠톱이 고정적으로 등장한다.

V.364 버전부터 나무를 자르는데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서 늑대에게 반격, 종이 상자 분해 같은 일부 부가적인 역할을 제외하고 나이프와 도끼 양쪽을 모두 대체할 수 있게 되었다.

a3mwdv.png
v.264 이후 추가된 아이템으로 폐허 맵의 제련소에서 고철을 녹여 아이템을 만들 때 필요한 도구이다.
수제 칼과 수제 도끼, 그리고 화살촉의 제작에 반드시 필요한 도구이며, 도끼나 칼과 더불어 낚시 구멍의 얼음을 뚫는 데 쓰이기도 한다. 도끼가 있어야 부술 수 있는 가구를 부술 수 있게 해주기도 한다. 추후 제작 가능한 도구는 추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인공은 살아남기 위해 대장간 망치질까지 마다하지 않는다 하지만 개당 2kg씩이나 나가고 그냥 들고 다니면 쓸 데가 없으니 제련소에 버려두고 필요할 때 주워서 쓰는 걸 추천한다.

플레이 중에 오랫동안 망치가 등장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화살촉 제작이 되질 않아 화살을 만들 수가 없어 화살을 정말 애지중지 해가며 사용해야 하며, 의도치 않게 Desolation Point(폐허)에 재료와 생존 물품을 남기고 망치를 찾기 위해 전 지역 투어를 시작해야 한다.[10] 200일 동안 샅샅이 뒤져도 못찾은 경우도...[11]

v.298의 업데이트 이후로도 제작 가능한 도구가 추가되지는 않았지만, 칼과 도끼 종류가 숫돌로 내구도를 회복하는 것으로 변경되어 수제 칼과 수제 도끼의 중요성이 급 상승하면서 망치의 가치도 동반 상승 하였다. 전나무를 소비하여 수리가 가능하다. 손잡이만 바꾸면 수리 끝
v.364업데이트 이후 INTERLOPER(침입자) 난이도에서는 낮은 확률로 고정된 특정 위치에 1개씩 등장한다.

  • Improvised Knife (수제 칼)

2ah5o9i.png
v.264 이후 추가된 아이템으로 작업대가 아닌 제련소에서 Metal Scrap(고철) 3개와 Cloth(천) 1개로 제작 가능하며 Hunting Knife(사냥용 칼)와 기능이 같다. 제작 시에는 무거운 망치가 반드시 필요하고 기존의 칼에 비해 0.25kg 무거우며 기존 칼보다 작업 시간이 30% 느리다.
v.364업데이트 이후 INTERLOPER(침입자) 난이도에서는 사냥용 칼이 없기 때문에 반 강제적으로 제작해야 한다.
+ 샌드박스 탐험가 모드 30일차 플레이 중 해안 고속도로 바다와 호수 경계 사이 부근에 100% 수제칼이 드롭된 것을 확인.
다른 난이도, 다른 해안 지역에서도 드롭되는지는 확인바람.

  • Improvised Hatchet (수제 도끼)

2w6yyc6.png
v.264 이후 추가된 아이템으로 역시 제련소에서 제작 할 수 있으며, Metal Scrap(고철) 5개와 Cloth(천) 1개로 제작 가능하며 Hatchet(손 도끼)과 기능이 같다. 제작 시에는 무거운 망치가 반드시 필요하고 기존의 손도끼에 비해 0.25kg 무겁고 기존 도끼에 비해 작업 시간이 30% 느리다..

예전엔 수리 도구로 사냥용 칼이나 손도끼를 수리하면 최대 35%까지 내구도가 상승하여 수제 칼이나 도끼를 만들지 않아도 되었으나 v.298부터는 숫돌을 이용해 도구를 연마하여 내구도를 유지 하게 끔(3~5%상승) 수리 방식이 변경되었고, 더 이상 사냥용 칼과 손도끼를 여유롭게 쓸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v.298 이후부터는 수제 도끼는 대체재로서 큰 의미를 갖게 되었으며 더불어 수제 제품도 일반 칼과 도끼처럼 숫돌을 이용하여 연마할 수 있게 개선되었다.
v.364업데이트 이후 INTERLOPER(침입자) 난이도에서는 손도끼가 없기 때문에 반 강제적으로 제작해야 한다.

  • Rifle cleaning kit (소총 손질도구)

모델링은 윤활류와 여러 손질도구가 가죽에 덮인채로 묶여있는 모습으로 무게는 0.10kg으로 꽤나 가볍다.
이전에는 라이플을 고칠 때 고철을 재료로 수리하는 식 이였지만 얼룩이리 산 업데이트로 소총 손질 도구를 사용해서 총기를 정리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총기를 발견할 때 가끔 씩 같이 놓여있기도 하며 작업대 서랍이나 락커 안에서 발견 되기도 한다. 다른 기술처럼 개별적인 정리 숙련도가 있다. 처음부터 정리 성공 확률이 100%에서 시작해서 실패할 확률은 없지만 초반부에 총기를 정리할때 수리되는 내구도 수치가 4~5%에 불과하기 때문에 망가져 가는 사냥총을 정리 할 때에 하나의 소총 손질 도구의 내구도를 거의 다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정리 숙련도가 올라감에 따라 수리되는 수치가 1%씩 계속 상승하기 때문에 익숙해지면 후반부로 갈수록 총기 정리가 더 쉬워진다.
1회 수리마다 내구도가 5%씩 감소하며 총 20번을 사용 할 수 있다.
v.364업데이트 이후 INTERLOPER(침입자) 난이도에서는 총기 자체가 나오질 않으므로 해당 아이템도 등장하지 않는다.

  • mountaineering rope (등산용 로프)

얼룩이리 산 업데이트로 같이 등장한 아이템으로 등산용 로프이다.
대부분 로프를 묶는 돌에 미리 묶여 있거나, 또는 그 근처의 구조물에서 발견된다. 또한 얼룩이리 산에 위치한 등산가의 집에 보면 나무 바구니 안에서 하나를 찾을수 있다.
무게가 5.00kg 으로 매우 무겁지만 얼룩이리 산이나 다른 등산이 가능한 지역을 돌면서 지름길 같은 곳에 설치해두면 후에 이동이 훨씬 편해진다.[12] 이미 묶여 있는 등산로프를 바위에서 분리해 낼 수도 있고 반대로 바위에 묶어서 절벽을 내려오는 것도 가능하다. 로프를 타고 내려갈 때는 달릴 때와 비슷한 정도이며 40kg이상 아이템을 지니고 있어 달릴수 없는 경우에도 암벽을 타고 내려갈수 있다. 올라갈 때는 급격하게 스테미나와 피로도가 소모된다. 또한 플레이어가 지닌 아이템의 무게에 따라서 스테미나가 소비되는 수치가 훨씬 커지며 플레이어의 피로도에 따라 등산 속도가 결정된다. 그냥 매달려있어도 스테미나가 소모된다. 등산로프에 매달려 있다 모든 스테미나를 소비하게 된다면 로프에서 미끄러져 떨어질 확률이 있다. 떨어질 때 피로도 수치가 높다면 바닥까지 쭉 미끄러질 수도 있다. 등산용 로프를 설치해서 올라가는 절벽에 높이도 다 다르기 때문에 등산을 하기 전 스테미나를 최대치로 채워 놓는 것이 좋다. 또한 등산은 다른 활동보다 훨씬 더 많은 피로도를 소모하기 때문에 무턱대고 등산을 고집하는 것은 별로 좋지 못하다.

높이가 꽤나 높은 절벽들은 보통 중간 중간에 쉴 수 있는 공간(Ledge)이 있기 때문에 조금씩 쉬면서 올라갈 수 있다. 해당 공간 옆까지 올라간 후 그 방향을 보고 클릭하면 이동한다.
얼룩이리 산이나 등산을 할 수 있는 지역들의 지도를 잘 살펴보면서 어느 쪽에 이 장비가 설치되어 있고 후에 산을 방문할 때 등산으로 얼마나 더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지 살펴보면 지역을 돌 때 훨씬 편해진다..[13]

얼룩이리 산 업데이트로 나온 아이템으로 쇠톱을 제외한 손도끼와 사냥용 칼을 손질할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제련소에서 만든 수제 도구들에게도 사용 가능하다. 0.10kg으로 다른 도구들과 함께 꽤나 가볍다. 덕분에 날붙이 장비들과 함께 수납해두면 차지하는 공간이 적고 들고 다니기도 편하다. 총기 정리와 마찬가지로 초반부에 날을 연마 할 시 수리 되는 수치가 4%정도이나 날 연마 숙련도에 따라 점차 증가한다.
수리나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1회 수리마다 내구도가 5%씩 감소하며 총 20번을 사용 할 수 있다.

2.2 사냥 도구

  • Hunting Rifle(사냥용 소총)

t54tno.png
분해 시 1시간을 소모하고 Scrap Metal(고철) 2개를 얻는다.
실제 소총보다 너무 약하다고 까인다

10발의 303구경 소총탄을 장전하고 사격할 수 있는 볼트액션 사냥총.[14] 지역마다 지정 되어있는 스폰위치에서 확률적으로 얻을 수 있고 운이 좋으면 시체 주변이나 숙소에서도 찾아 볼 수 있으며 보통은 벽에 걸려있는 경우가 많다. 처음 주울 시 무조건 탄약이 없는 채로 발견되므로 탄약이 따로 없다면 쓸 수가 없어 장전을 해야 한다.[15][16]

데미지가 활보다 높고 화살처럼 탄낙차가 없어 사슴은 물론이요 늑대, 잘 한다면 흑곰까지 역으로 사냥해버릴 수 있는 수단이지만, 탄약이 다소 구하기 어렵고 총의 무게가 4kg로 무거워 평소에 들고다니는 용도로는 다소 부적합해서 거점에 보관하며 사냥이 필요할 때만 꺼내 쓰는 것이 좋다.[17] 장거리 사냥총이지만 스킬이 넉넉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물을 사냥하기 위해선 가까운 거리까지 접근해야 명중이 보장되며 동물을 즉사시키려면 머리나 목을 노려야 한다. 다른 부위에 맞추면 상처를 입고 피를 흘리며 도망가다 죽으며, 혈흔을 쫓아 시체를 찾아야 한다. 먼거리에서 동물이 맞았는지는 사격직후 사격숙련도 상승 아이콘 유무를 통해서 확인할수 있다. 곰의 경우 3발 이상을 맞춰야 사살할 수 있다.[18] 그밖의 효과로는 총성이 있기 때문에 동물에게 발각 당하지 않은 상태에서 총을 쏠 경우 총성에 의해 동물들이 반대 방향으로 도망치기 시작한다. 대신 실내에서 총을 발사할 경우 소음으로 인해 약 5초정도 소리를 들을 수 없게 되는데, 실내에서 총이나 활 같은 사냥도구를 쓸 일은 전혀 없어 그다지 부각되는 문제는 아니나, 미스테리 호수의 카터 수력발전 댐 내부에서 늑대 플러피를 사살해야 할 경우 다소 귀찮은 단점이 될 수 있다.

탐험 중반 이후로는 2정 이상 얻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1~2정 정도만 남겨놓고 나머지는 사격 경험치 올리는 용도로 수리한 다음 전부 분해해 버려도 상관 없다.[19] v.364 업데이트 이후 총열 청소와 사격 스킬이 분리가 되어 총을 수리해서 사격 스킬을 올릴 수 없게 되었다. 총을 복수 운영할 것이 아니라면 수리 스킬을 올리는 것은 시간낭비. 따라서, 총을 2정 이상 얻게되면 사냥 거점이 2개 이상이 아닌 이상 그 즉시 분해해 버리자.

가끔 총을 쏜 후 장전할때 장전될 총알이 끼여 발사가 안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20] 이 경우 다시 R키로 장전할 경우 해결되며 그 자리에 끼인 총알이 떨어지게 된다.
챌린지에서는 사냥감 파트2, 화이트아웃에서는 필수 아이템. 사냥감 파트1에서는 아예 등장하지 않으며 유목민에서는 있으면 좋고, 없어도 그냥 아쉬운대로 진행하면 될 정도. 희망없는 구조에서는 무게와 시간 제한때문에 플러피 잡는데나 쓰지 그 이외에는 그냥 포기하는 것이 좋다.
v.364업데이트 이후 INTERLOPER(침입자) 난이도에서는 해당 아이템이 등장하지 않는다.

  • Rifle Ammunition(탄약 상자), Rifle Round(탄약)

34dm0k3.png
5발이 들어 있는 탄약 상자 혹은 탄약 1발 등의 모습으로 나타나며 주로 건물 내부에 보통 금고나 파밍 하는 아이템이 많은 지역에서 얻을 수 있다.[21] 가끔 일반적인 숙소 침대 밑이나 전소된 집과 자동차 트렁크, 시체 주변, 서랍 주변에 굴러다니는 경우도 있다. 크기가 작고 눈에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숨어 있어 바닥이나 구석 또는 사물함의 윗면 등 사이사이를 잘 살펴봐야 한다.[22] 그 수가 지역별로 한정적 이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23]
v.364업데이트 이후 INTERLOPER(침입자) 난이도에서는 총기 자체가 나오질 않으므로 해당 아이템도 등장하지 않는다.

  • Survival Bow(생존용 활)

1zoc1ma.png
'Silent Hunter' 업데이트로 추가된 새로운 무기. 작업대에서 사냥용 칼로 Cured Maple Sapling(건조된 단풍나무 묘목) 1개와 Cured Guts(건조된 내장) 2개를 이용해 5시간 소모하여 제작한다. 숫자 2로 빠르게 장착 가능. 왼쪽 마우스 버튼을 눌러 활시위를 당기고 놓아서 발사가 가능하며 오른쪽 마우스 버튼으로 시위를 내려놓을 수 있다. 활의 특성상 약간 위에 목표물을 놓고 발사하는 것이 좋다. 총과 달리 숙련도가 Master(장인)단계에 이르기 까지는 앉아서는 못쏘기 때문에 앉아서 사냥감의 진행방향에 기다리다 발각되기 전에 일어나자마자 활을 쏘거나, 사슴의 경우 정후방에 위치하면 일어서더라도 발각되지 않기 때문에 이때 쏘는 방법이 좋다. 우선 사냥감이 플레이어를 인식할 시간을 조금이라도 더는것이 좋고 총처럼 가늠자나 가늠쇠가 있는것도 아니며 활시위를 당길수록 화살이 날아가는 조준점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데다가 끝까지 활시위를 당기면 화살이 자동으로 발사된다. 하지만 총보다 다루기 힘들어도 맞추기만 한다면 총보다 좋은 효과를 기대하는 플레이어들에게 매우 좋은 사냥도구이다.

겉보기에도 플레이어가 자연에서 구한 묘목에 내장 몇 개를 덧붙여서 만든 데다가 외관상으로 보기에는 평범한 활이지만, 어느 난이도든 머리만 노리면 사슴이나 늑대는 물론이요 곰도 한 방에 제압하는 살상력을 가진다. 흠좀무... 플레이어는 무슨 컴파운드 보우라도 만든 것인가?플레이어가 라라 크로포트라면 가능하다[24]
사슴의 경우 머리에 맞춰야 즉사를 노릴 수 있지만 거리가 조금만 벌어져도 땅 쪽으로 떨어지는 화살의 특성상 맞추기 어렵기에 사냥감의 옆이나 뒤에서 접근하거나 보통 몸통에 먼저 1방을 맞추고 핏자국을 따라가서 잡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엇보다 소음이 없기때문에 화살로 사냥감을 즉사시키면 근처에 있는 다른 사냥감을 바로 노릴수 있다. 사냥감은 종류에 따라 사냥방법이 조금씩 다른데 도망만 다니는 사슴과 달리 늑대는 미끼를 통해 근거리에서 겨냥할 수 있기 때문에 제압하기 쉬운 편이다. 늑대를 만날 경우 숫자 3으로 고기를 뿌리고 거기에 한눈 팔린 늑대를 가까이 걸어가 활로 쏘면 끝이다. 이때는 플레이어가 매우 가까이 접근하지 않는 이상 뭔 짓을 해도 고기를 다 먹을 동안 가만히 있기 때문. [25] v.364 업데이트 부터는 늑대가 내려놓은 미끼를 그 자리에서 먹지 않고 잰걸음으로 달려와 미끼를 들고 다른 곳으로 가버린다. 보통 늑대가 공격스탠스를 취하며 좌우스텝을 밟으면서 달려들 때 보다는 편하게 조준을 하게 해주는 정도가 전부.
늑대쪽으로 사슴을 몰아서 사슴을 낚아챈 늑대의 관심을 끌고 활로 죽여 일거양득을 노리는 방법도 있다. 이 경우 사슴을 사냥해 고기를 얻는 것보다 더욱 효율적이고 안정적이다. 활 자체는 총과 달리 수리가 불가능하지만 재료만 있으면 계속해서 제작이 가능하고 화살도 잘만 수거하면 반 영구적으로 공급되므로 좋은 무기가 될 수 있다. 활이 추가 됨에 따라 가장 높은 Stalker(사냥꾼) 난이도에서도 고기를 구하기 쉬워진 편.
화살을 쏘면 활과 화살의 내구도가 하락하고, 확실히 맞출 자신이 없다면 마우스 오른쪽 키를 이용해 시위를 잠시 놓았다가 다시 활을 당기는 편이 좋다. 다만 이럴때는 숙련도가 장인단계가 아닌이상 서있는 상태로 자세를 취하기 때문에 사냥감에 발각될수도 있다.

처음부터 활에 숙련도를 쌓을 계획이라면 활자체가 고정적으로 스폰하는 지역(폐허)을 노려보는 것도 좋다. 처음에 활을 얻게 되거나 만들고 싶다면 숙련도와 더불에 사용하는 방법자체를 미리익혀두는것이 장기생존에 좋다.

  1. v.256 이후부터는 조준점이 물건을 줍거나 인식할 때 외에는 활성화가 되지 않기 때문에 좀 멀리있는 표적을 맞추기가 여간 쉽지 않다. 이는 숫자 3으로 음식이나 고기를 뿌려서 조준점을 잠시 동안 활성화시키거나 모니터 중앙에 테이프를 붙이는 등의 방법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1. v.298 이후로 총과 함께 피로도에 따라 조준이 흔들리는 너프를 먹는 바람에 피로도가 어느정도 낮은 상태에서는 조준점을 찍고 조준하더라도 미묘하게 좌우로 빗나가는 일이 많아졌다. 대신 활을 당기기 전까지는 조준점이 활성화가 된다. 조준점을 기준으로 약간 왼쪽이 활시위를 당긴 직후이며 약간 오른쪽이 활시위를 당긴지 5초정도가 지났을 때이다. 거리에 따라 약간 아래쪽으로 조준하며 사용하자.

v.364업데이트 이전에는 특정 위치에 종종 간혹 완성되어 있는 상태로 발견되기도 하였는데 v.364업데이트 이후 INTERLOPER(침입자) 난이도에서는 해당 아이템이 등장하지 않아 손수 직접 제작해야 한다.

  • Simple Arrow(수제 화살)

ncgtpv.png
작업대에서 Arrowhead(화살촉) 1개, Arrow Shaft(화살대) 1개, Crow Feather(까마귀 깃털) 3개를 1.5시간 소모하여 제작할 수 있다. 제작하면 궁술관련 숙련도 수치가 오르니 참조하자. 땅바닥이나 사물에 닿으면 내구도가 5% 정도 깎이고, 동물에게 명중하면 15~25% 정도 깎인다. 사슴 뿔처럼 데미지를 줄수 없는곳 등에 맞으면 높히 튀어 오르기도 한다. 동물을 맞추고도 엉뚱한곳에 떨어져 있기도하다. 보통 한 화살은 2~5회 재사용할 수 있으며 . 일단 화살을 가지고 있을 경우 화살대의 재료가 되는 자작나무 묘목만 있다면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특정 지역에서 부러진 화살을 찾을 수 있다. 총알처럼 사냥감 주변에 화살이 박히면 동물이 놀라 도망간다.
분해 시 5분을 소모하고 Arrowhead(화살촉)1개와 Crow Feather(까마귀 깃털) 3개를 얻는다.[26]

  1. 1. 발사된 화살은 되도록 회수해야 나중에 다시 만들때 재활용하여서 화살을 만드는 재료를 아낄 수 있다. 특히 폐허 지역의 리켄호에서만 화살촉이 제작 가능하며 화살촉이 없다면 화살 제작이 불가능하다. 사실상 화살촉을 회수하는 목적이 크다.
  1. 2. 가끔씩 활로 사냥을 할때 한 방에 죽지 않아 화살이 박혀버린 상태로 달아나는 경우먹튀와 화살이 맞고 튕겨나가 달아나는 경우가 있다. 전자의 경우는 핏자국을 끝까지 따라가서 서서히 죽게 두거나 마무리를 지어서 화살을 회수한다. 후자는 가까운 지역에 떨어졌다면 알아차리기가 쉬운데 간혹 어마어마하게 위로 튕기는 버그성의 현상이 발생해서 쏘고 난 직후에도 화살의 위치를 전혀 못찾는 경우가 가끔 있다. 동물부터 찾고나서 천천히 찾아보자. 나중에 찾아보면 플레이어가 도저히 올라갈 수 없는 산의 위쪽 언덕이나 건물 위쪽, 바위 틈새 그리고 안드로메다로 사라져 버려 영영 못찾는 화살들도 볼 수 있다
  1. 3. 화살촉은 v.264 이전에는 작업대에서 Scrap Metal(고철) 1개와 Simple Tools(간단한 도구 상자), Quality Tools(정교한 도구 상자)로 Arrowhead(화살촉) 3개를 얻을 수 있었지만 이후에는 폐허 지역에 있는 제련소라는 곳에서 Scrap Metal(고철) 1개와 Heavy Hammer(망치)를 가지고 1시간을 소모하여 2개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제작대의 리스트에서는 삭제되었고, 폐허 지역에서만 제작이 가능하다는 얘기이므로 각지역에서 수거되는 부러진 화살의 재활용이 매우 중요하다.

결과적으로는 곰처럼 위험한 사냥감을 보다 먼거리에서 수월하게 잡는 다거나 순식간에 접근하는 늑대들을 제압하고 빠른 식량 확보를 위해 몇마리의 동물들을 확실하게 확보하고자 하는 등을 선호하는 플레이어들에게는 총이 활보다 낫지만 사용방법은 어렵지만 익히기만 한다면 좀 더 밀집해 있는 사냥감들을 쉽게 사냥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무기를 원하며 좀 더 발사체 자체의 치명적인 위력을 원한다면 총보다 활이 더 좋다.
v.364업데이트 이전에는 특정 위치에 종종 간혹 완성되어 있거나 부러진 상태로 발견되어 굳이 Arrowhead(화살촉)을 제작하지 않아도 많이 잃어버리지만 않으면 굳이 제련소까지 가지 않아도 되었지만 v.364업데이트 이후 INTERLOPER(침입자) 난이도에서는 멀쩡한 화살, 부러진 화살이 등장하지 않아 손수 직접 제작해야 한다.

  • Snare(올가미)

v152 업데이트로 토끼와 함께 추가된 사냥 도구로 토끼를 잡을 때 쓰는 덫. 작업대에서 Cured Guts(건조된 내장)과 Reclaimed Wood(재활용 나무)를 이용해 제작 가능. 쓰고 난 후에 재설치가 가능하나 내구도가 0%가 되면 사용할 수 없다. 다른 도구와 다르게 내구도가 떨어지지 않다가 한 번 망가지면 바로 내구도가 0%가 되 못쓰게 된다. 다만 덫이 손상없이 회수된다면 재설치만 해주면 된다. 분해하면 재활용 나무를 주니 건조된 내장만 있다면 계속 만들어 낼 수는 있지만 효율이 좋진 않다. 일단 토끼가 잡히거나 도망친 올가미는 재설치를 해야 다시 작동한다. 참고로 한 구역에 너무 몰아서 설치하면 토끼는 없고 올가미만 망가질 가능성이 높아지니 2~3개를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우스 오른쪽키로 올가미를 재배치 시킬 수 있다. 확률 적으로 토끼가 덫에 잡히는 도구이다 보니 영 토끼가 잡히지 않을 것 같은 지역에서도 설치만 해놓으면 토끼가 덫에 누워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팀버울프산 정상의 꼬리날개 같은 고산지역에서도 덫을 설치하면 잡히고 심지어는 절벽 끝이나 암벽의 Ledge에서도 덫을 설치하면 잡히는 경우가 있다(...).
분해 시 10분을 소모하고 Reclaimed Wood(재활용 나무) 1개를 얻는다.

  • Fishing Tackle(낚시 도구)

v166 업데이트로 생겨난 도구. 작업대에서 Hook(낚시 바늘)과 Line(낚싯줄)을 각각 1개씩 조합하여 제작.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긴 작대를 가진 낚싯대가 아니라 휴대하기 간편한, 낚시 바늘과 낚싯줄로만 이루어진 낚시 도구다. 호수 곳곳에 놓여진 얼음 낚시터 좌대에서 동그란 구멍이 난 얼음을 사냥용 칼이나 손도끼,망치,쇠지랫대등으로 깨서 낚시를 할 수 있다. 낚시를 할 경우 내구도는 닳지 않지만 가끔씩 낚시줄이 끊어지며 낚시 도구가 없어 질 수 있으니 주의 해야 한다.[27] 가끔 좌대나 작업대에 굴러다니는 경우가 있긴 한데 크기가 매우 작아 찾기가 어렵다. 보관시 서랍 같은 공간에 넣어두거나 들고 다니는 편이 좋다.[28] 1회당 내구도 10%를 소모하여 재봉 상자 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100% 의 낚시 도구나 거의 파손에 가까운 낚시도구나 낚시를 시도하면 고기를 잡을 확률은 본인의 숙련도 수치를 따라가기 때문에 사실상 낚시도구를 빠트릴 확률은 동일하다. 따라서 몇몇 의류 수선에 사용해서 내구도가 낮은 낚시도구를 일부러 남겨 놓고 낚시에 사용하는 것도 다른 상태가 좋은 낚시도구를 아낄수 있어 꽤나 좋은 방법이다.

  • Hook(낚시 바늘): Scrap Metal(고철) 1개로 총 3개를 작업대에서 제작.
  • Line(낚싯줄): Cured Guts(건조된 내장) 1개로 총 2개를 작업대에서 제작.[29]

v.364업데이트 이전에는 특정 위치에 종종 간혹 완성되어 있는 낚시도구가 있어서 딱히 많이 제작하지 않아도 되었지만 v.364업데이트 이후 INTERLOPER(침입자) 난이도에서는 등장하지 않아 손수 직접 제작해야 한다.[30]

  • Distress Pistol(신호탄 총)

v.298에 새롭게 추가되었다. 습득 위치는 Timberwolf Mountain(얼룩이리 산)의 정상에 위치한 비행기 꼬리 잔해의 내부, 또는 협곡(Ravine)에서 로프 등반으로 내려갈 수 있는 협곡 아래(Ravine Basin)에 떨어진 기차 안. 빨간 케이스에 신호총과 탄약 약 4~8발이 함께 보관되어 있다.[31]
발사 시 전방으로 일반 조명탄 막대기보다 더 환하고 붉게 타오르는 신호탄이 발사된다. 사냥도구로 분류되어 있지만, 이걸로 동물을 죽이거나 할 수는 없다.[32]단, 먹이를 먹다가 전방의 플레이어를 보고 빡친 늑대나 자신에게 대놓고 총알을 발사하는 플레이어에게 곰이 달려들 때 처럼 동물들이 플레이어를 공격할 때, 유일하게 이들을 뿌리칠 수 있는 도구이다.[33] 전자의 경우 언덕을 올라가다가 주로 이런 상황에 직면하게 되므로 근처에 피할 곳이 없다면 이걸 사용하게 되며, 후자의 경우 사냥 도구를 보조해주면서 곰을 안전하게 사냥하게 해 줄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되는 셈. 방어적인 목적에 있어서는 오히려 사냥용 총 보다도 무게 관리나 성능 면에서 우월하기에, 이걸 발견한 다음이라면 사냥을 염두에 두지 않은 탐험에 비상용 방어구로 항상 들고다니는 것이 좋다.

3.25버전의 챌린지 모드인 The Hunted, Part One의 시작점 옆 지하실에서도 나오며, 이 챌린지모드의 경우 곰이 끈질기에 쫓아오기 때문에[34] 근처에 몸을 피할 수 있는곳이 없을때 사용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이다. 희망없는 구조에서는 팀버울프산 정상에서 반드시 구해서 등대에서 신호탄을 쏘아야 한다. 혹시나 실수로 빼먹고 내려가는(...) 대참사를 일으키지 말자.

사냥총 총알은 내구도가 떨어지지 않는데, 이상하게 신호탄은 습득 직후는 100%이고 시간이 지날 수 록 탄이 점점 썩는다(...). 사실, 초중반에 한창 탐험 다닐 때나 유용하므로 아끼다 똥 만들지 말고 적절히 쓰는 것이 좋다.[35]

2.3 조명

  • Flare(조명탄)

vzy9u8.png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살짝누르고 있으면 점화하고 오른쪽 버튼으로 휘두를 수 있다. 무게는 0.25kg.[36] 숫자 1로 빠르게 장착 가능. 타오르는 조명탄은 불붙일때도 사용할수 있다. 강한 바람이 부는 야외에서도 유지되며 꺼지지 않지만 한번 불을 붙이면 도중에 끌 수 없으니 주의하자. 게임 상 시간으로 약 1시간 정도 탄다. 이 빛으로 주변을 밝힐 수 있지만 방풍 랜턴보다는 어두우며, 집 안에서 사용할 경우 주변이 새빨갛게 빛나기 때문에 탐색용으로는 그리 좋지 못하다. 방풍 랜턴을 찾기 전까지 임시방편으로 쓰는거나 비상시에 쓰는 것을 추천하지만, 순례자 난이도가 아니라면 늑대를 쫒는데 있어서 훌륭한 아이템이므로 되도록 비축해 두는 것이 좋다. 추운 바깥 날씨 속에서 켜면 체온이 조금 올라가지만 크게 기대하지 않는 게 좋다. 다 쓴 조명탄은 모아서 길을 표시할 때 쓰면 좋다.
v.321 이전에는 조명탄을 던져서 곰이나 늑대에게 겁을 주는 것이 가능해졌지만, 업데이트 이후 던지는 기능이 사라지고 횃불과 동일하게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휘두르며 피로도가 소폭 증가된다.
챌린지에서는 미션 구분 없이 그냥 잘 쓰면 된다.(...) 늑대를 쫓는다는 장점과 많이 들고 다니면 무게 차지만 한다는 단점이 묘하게 공유되는 아이템인지라..... 단 방풍 랜턴과 충분한 연료가 없으면 당연히 대용으로 써야 하니 매우 중요하다.

  • Storm Lantern(방풍 랜턴)

파일:Odmd01d.png
숫자 1을 눌러서 장착 가능 들고 있는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키를 눌러 내려놓을수 있다. 무게는 기름이 비어있을 시 1kg, 1L가 차있을시 1.8kg보통 획득시 기름이 일정량 미리들어 있는 경우가 많아 바로 사용할수 있다. 더 롱 다크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지역들은 아침이라도 매우 어두운 지역이 많고 밤이라도 되면 이것없이 실내에서 아무것도 볼수 없어 사실상 초반 스타트에 랜턴을 빨리찾는게 관건이다.[37] 분해시 들어있는 연료와[38] 고철 한개 획득. 마우스 오른쪽키로 내려놓을 위치를 설정할수 있다. 연료를 소모하여 어두운 곳을 밝게 비춘다.[39] 켜 놓은 상태로 잠을 자거나 다른 작업을 하면 지난 시간만큼 연료가 소모되므로 사용하지 않는 랜턴은 꺼두자.[40] 추운 날씨 속에서 켜면 체온이 조금 올라가지만 크게 기대하지 말 것. 어두운 밤에 랜턴을 켜고 돌아다녀도 나쁘지는 않지만 가시거리가 매우 좋지 못하기 때문에 접근하는 늑대나 곰을 알아차리기가 매우 힘들다. 건물, 동굴 내부 수색용으로 사용하고 야외에서 이동할때는 가급적이면 횃불이나 조명탄을 이용하자.

  • Lantern Fuel(랜턴 연료): 랜턴에 연료를 채울 때 사용한다. 집에서 가끔 나온다. 랜턴을 분해할 때 이 아이템을 인벤토리에 보유하고 분해를 하면 랜턴 안에 들어 있는 기름은 연료통 안으로 저장이 되며 최대 0.5kg까지 저장이 가능하다. 불을 피울때 0.3L를 사용하여 Accelerant(촉진제)대신 쓸 수 있다. 물고기에서 획득한 기름도 랜턴 연료와 동일한 아이콘으로 저장된다.
  • Jerry Can(석유통): 랜턴 연료의 대용량화 아이템으로 안에 있는 기름을 랜턴 연료로 사용 가능하며 랜턴을 분해할 때 이 아이템을 인벤토리에 보유하고 분해를 하면 랜턴 안에 들어 있는 기름은 석유통 안으로 저장이 되며 최대 4kg까지 저장이 가능하다. 불을 피울때 0.3L를 사용하여 Accelerant(촉진제)대신 쓸 수 있다. 랜턴처럼 획득시 빈통이 아닌 기름이 일정량 들어있기도 하기 때문에 들고다니기 무겁다면 랜턴에 연료를 채우고 가자.

주의할 점은 랜턴에 연료 보급시 랜턴 연료나 석유통에 든 기름을 전부 쓰면 빈 기름통이 남는 것이 아니라 그냥 통이 사라져 버린다. 랜턴을 분해해 나오는 기름이 아깝다면 석유통이나 랜턴 연료통에 남은 기름이 들어갈 공간을 확보하고 분해하자. 우선 사용 순위는 랜턴 연료 > 석유통 순서이므로 휴대하기 편한 랜턴 연료통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고 기름을 넣어 주요 지역 거점별로 하나씩 보관하면 좋다. 후술할 내용 대로 v.364 버전 부터 연료를 얻었을때 보관할 통이 없다면 자동으로 랜턴 연료통이 생성된다.

v.321 업데이트 이후로 연료가 부족 할수록 불이 깜박거리며 점점 어두워지다 연료가 다하면 꺼진다.

v.358T 버전 부터 생선을 구우면 연료를 추출해 낼 수 있게 되었다. 연료의 재보급이 가능해진 덕분에 낚시 환경만 적절히 갖추었다면 방풍 랜턴을 사용할때 제한이 많이 사라졌으며, 어지간한 경우 외에는 쓰지 말아야할 촉진제를 보다 자유롭게 쓸 수 있게 되었다. 주의할 점은 이제부터는 가지고 있는 랜턴 연료와 석유통이 최대로 보관 가능한 기름 양을 결정짓게 되었으므로 연료를 사용할 때 연료통이 소멸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관리를 해줘야 한다.

v.364 버전 이전엔 기름을 얻었으나 이것을 보관할 통이 없으면 그대로 아이템이 증발해 버렸지만, 이 버전 이후로는 이제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생선을 구워서 기름을 얻으면 자동적으로 랜턴 연료통이 생성된다. 따라서 비어있는 랜턴 연료나 제리캔을 들 필요가 없어졌다.

  • Torch(횃불)

2l9mbr7.png
작업대에서 Reclaimed Wood(재활용 나무) 1개와 Cloth(천) 1개, 연료 0.2L를 소모하여 작업대에서 제작한다. 무게는 0.3kg [41] Flare(조명탄)과 마찬가지로 왼쪽 마우스 버튼을 누르면 점화되고 다시 한 번 더 누르고 있으면 도중에 꺼서 재활용 할 수 있지만, 그렇게 되면 다시 사용할 때 성냥이나 휴대용 점화기의 사용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주의해야하고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씨에서는 바로 꺼지므로 조심해야 한다. 조명탄처럼 파박거리면서 타들어가지도 않고 은은하게 주변을 밝히기 때문에 실내를 수색하기에 좋고 무엇보다 불이 붙어있는 횃불을 사용해서 모닥불에 불을 붙여줄수 있어서 불만 붙어 있다면 상당히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다. 또한 장작으로도 활용할수 있는데 다 타버린 횃불을 모닥불의 장작으로 사용하면 모닥불의 시간이 늘어나지 않으니 꼭 나뭇가지로 분해를 한 이후에 사용해주자. 숫자 1 단추로 빠르게 장착 가능하다. v.256이후 장착 시 게이지 바가 생겨서 얼마만큼 유지되는지 알기 쉬워졌다. 꺼진 횃불은 분해시 나뭇가지 하나를 얻을수 있다.

점화에는 4가지 방법이 있다. 1. Match(성냥) 2. Flint(부싯돌) 3. Fire Striker(휴대용 점화기) 4. Fire(불)
1. 성냥은 성냥 한 개피를 소비하여 불을 붙인다.
2. 부싯돌은 추후에 추가될 예정이다.
3. 휴대용 점화기는 소지품으로 가지고 있을 경우 사용하여 불을 붙인다.
4. 불은 횃불을 든 상태에서 모닥불이나 불 붙인 난로에 왼쪽 키를 누르면 옮겨 붙이기가 된다. [42]

늑대에게 쫓길 때 사용하면 높은 확률로 늑대는 더 다가오지 못하고 주변에서 어슬렁거린다. 그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플레이어는 기합 소리를 내며 횃불을 휘두르며 늑대를 쫓아낸다. [43] 최대 6번까지 가능하다. 다만 휘두를 때마다 피로도가 급격히 오르며 횃불 내구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남용하지 말아야 한다.

  • BRAND(부지깽이[44])

zxp286.jpg
v.321 업데이트 이후 생긴 아이템으로, 모닥불에서 10분을 소모하여 생산 가능하다.[45][46]
이걸 들고 불을 지필 경우 촉진제 역할을 한다.
마우스 왼쪽 버튼이나 단축키인 H를 누르면 땅에 놓게버리게 되며, 오른쪽 키를 누르면 횃불처럼 휘두른다.
횃불과는 다르게 인벤토리에 보관 할 수도 없고 불을 끌수도 없다. 지속시간도 짧으며, 별로 밝지도 않다.
심지어 내구도가 떨어졌을때 분해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즉 1회용 아이템.

여기까지 보면 그닥 쓸모 없는 아이탬 처럼 보이지만...... 이녀석의 진면목은 스토커 난이도에서 초장기간(300일 이상)생존 일때 나타난다.
스토커 모드는 일반난이도에 비해 물자가 심각하게 적게 나오는 편이다. 이런 상황에서 초장기간 생존하다 보면, 생존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물자들이 바닥나기 시작한다. 대표적인 물자로 바느질 키트 [47]가 있으며, 이 바느질 키트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물자가 바로 성냥 이다. 생존에 필수적인 식료품인 물을 만들려면 불이 필요한데, 초장기간 생존하다 보면 성냥이 모잘라서 불을 못피우는 사태가 발생하게 된다. [48] 이때, 렌즈를 이용해서 야외에(정확히는 집앞에서) 모닥불을 만들고, 불씨를 만들면 성냥 없이도 집에서 불을 피울수 있다! 즉, 최고 난이도에서 아주 오랜기간 생존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필수 아이템. 이게 있기 때문에 후반에 성냥이 없어도 물을 만들어 생존을 할수가 있게 된다.

2.4 점화 도구

불을 지피는데 필요한 도구들. 직접적으로 불을 발생시키는 점화 도구와 이를 장작에 붙일정도로 키우는 부싯깃으로 종류가 나뉜다. 업데이트를 거쳐 수량 문제와 내구도 문제가 해결이 되었다.

점화용 아이템

  • Matches(성냥): 숫자1을 눌러 선택하게 하고 활성화 시키면 잠깐 주위를 밝혀준다. 그러나 불을 붙일 때 필요한 도구이므로 최대한 아끼고 급박한 상황 외에는 사용하지 말자. 장기 생존에 다가갈수록 성냥이 바닥나고, 그때까지 돋보기를 발견하지 못했다면 결국 불을 피울 수 없고 눈을 녹이지 못해 목말라 죽는다. Wood Matches(나무 성냥)과 Cardboard Matches(종이 성냥) 두 종류가 있다. 참고로 내구도가 엄연히 존재하므로 플레이어가 주운 시점부터 천천히 닳기 시작한다. 보관가능한 장소에 보관하면 미미하긴 하지만 좀 더 오래 쓸 수 있다.
  • Wood Matches(나무 성냥) : 나무로 만들어진 성냥으로 12개가 들어 있다. 무게 : 12개당 0.10kg (추가 점화 성공률 5%)
  • Cardboard Matches(종이 성냥)  : 종이로 만들어진 성냥으로 20개가 들어 있다. 나무 성냥 보다 무게는 더 가벼운 편. 무게 : 20개당 0.10kg (추가 점화 성공률 없음) v.364업데이트 이후 INTERLOPER(침입자) 난이도에서는 해당 아이템이 등장하지 않는다.
  • Fire Strike(휴대용 점화기): 조난 생존시 휴대할 수 있는 점화기이다. 성냥 대신에 쓸 수 있다. 불 피울 확률 10% 상승. 사용할 때마다 5%씩 내구도가 떨어진다. 집 안의 철제 상자나 바닥에서 희귀하게 발견된다. 가끔 시체의 손에 쥐여져 있는경우도 있다. 수리가 불가능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른 내구도 변화가 없고 점화기구 중 보정이 가장 높게 붙으므로 장기 생존 시 성냥이 바닥났을때나 점화스킬이 낮을때 비상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침입자난이도에서는 비행기 정상에서 매우 높은 확률로 등장한다.

챌린지에서는 불 피울 일이 썩 많지 않아서 휴대용 점화기의 갯수나 컨디션이 충분하다면 성냥은 그냥 다 버려도 무난히 진행이 가능하다. 조금이라도 가볍게 진행하고 싶다면. 다만 화이트아웃 미션은 일정 개수의 성냥을 모아야 하니 이 점 요주의.

  • Magnifying Lens(확대경/돋보기) : 낮에 야외 한정으로 불을 지필 수 있게 해주는 점화 도구이다.[49] 날씨가 좋지 않아 햇볕이 부족하면 점화가 불가능하므로 점화 확률이 0%로 표기된다. 사용 횟수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내구도 변화가 없어 영구적 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쉬움이나 일반 난이도에서는 성냥이 넘쳐나므로 그다지 필요성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겠지만 전체적으로 자원이 매우 부족한 어려운 난이도에서는 요긴하게 사용이 가능하다.[50] 무게 : 1개당 0.10kg


부싯깃 아이템

  • Tinder Plug(땔감) : 불을 피울 때 사용할 수 있는 재료다. 나뭇 가지 1개와 5분을 소모해 땔감 2개를 만들 수 있으며, 일부 가구나 골판지상자를 분해할 때 얻을 수 있다. 무게 : 1개당 0.05kg
  • Newsprint(신문지) : 신문지 자체를 쓸 수 있지만 재활용으로 잘게 쪼개 부싯깃으로 쓸 수 있다. 신문지 1개로 2개의 부싯깃을 만들 수 있다.
  • Newsprint Roll(두루마리 신문) : 신문지와 마찬가지로 부싯깃으로 쓸 수 있고 분해 시 4개의 부싯깃을 만들 수 있다. 이것 자체로 부싯깃으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부싯깃으로 붙일 때와 달리 별다른 추가 효과가 없어 부싯깃이 귀한 상황에서는 분해해 쓰는 것이 좋다. v.364업데이트 이후 INTERLOPER(침입자) 난이도에서는 해당 아이템이 등장하지 않는다.
  • Cat Tail Head(부들 개지 풀) : 얼음 낚시터 부근이나 얼어붙은 호수 근처에서 수확할 수 있다. 머리 부분은 부싯깃과 같은 역할을 하여 부족할 때 부싯깃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같이 딸려오는 부들 개지 줄기는 섭취시에는 150칼로리로 무게 및 채집난이도 대비 나쁘지 않은 포만감을 제공한다.
  • 나무 껍질 : 껍질이 흰 나무 근처에 떨어져 있다. 부싯깃으로 사용할 수 있다. 주로 협곡이나 흰 나무가 많이 있는 숲에 종종 떨어져 있으니 참고 하길 바란다.

2.5 나무

나무가 있어야 불을 붙일 수 있으며 불피우기에 성공한다면 나무를 더 넣어 최대 12시간까지 불을 때는게 가능하다. 그리고 v.256부터는 나무 채집 아이콘이 사라지고 플레이어가 스스로 직접 나무를 채집해서 불을 피워야 하기 때문에 불피워서 물과 안전한 식량을 확보하기가 더 까다로워 졌다. 대신 집안의 소파나 선반, 탁자, 나무 박스등등의 오브젝트를 부숴 나무와 천을 구할 수 있게 되었으며 집밖에서도 벤치등을 부숴 재활용 나무를 구할수 있다. [51] 기존에는 건드릴 수 없었던 나무 뿌리도 절단하여 장작으로 사용 가능하다. → v.264 이후 지역별로 무한히 리젠되는 것에는 변함이 없으나, 전체적으로 리젠 량이 소폭 감소되었다.

  • Stick(나뭇가지) : v.256에서 업데이트 된 장작으로 밖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장작. 개당 무게는 0.15kg이고 불을 지속력이 7분 밖에 안되기 때문에 나뭇가지만을 이용해 불을 피우려면 생각보다 많은 양을 소진하게 되므로 되도록 많이 쌓아둬야하는 단점이 있다. 대신 도끼를 이용하지 않고 모을 수 있고 가벼운 많큼 다량을 모아두는 것도 쉬운편이다. 책처럼 점화용으로 소량을 가지고 다니고 불을 붙이면 다른 나무를 넣어 시간을 늘려주는 편이 좋다. Branch를 꺾어서 3개[52]의 나뭇가지로 분해가 가능하다 (추가 점화 성공률 20%)

챌린지에서는 추가 점화 성공률 보너스가 상당히 꿀인데다 야간 작업시 불이 필요하게 되서 불을 피울 수 있고 하루 머물 예정인 장소에 가까워진다면 최소한 하나쯤은 주워 가도록 하자.

  • Fire Log(화로용 통나무) : 매우 드물게 집 안에서 화로 근처 바닥에 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2시간 동안 불을 땔 수 있는 장작이지만 무게가 2Kg으로 가장 많이 나간다. 처음 점화시 사용하기보다 불이 붙은 이후에 넣어주는 편이 좋다.(추가 점화성공률 없음)
  • Fir Firewood(전나무 장작) : Fir Limb(전나무 가지)을 분해하여 전나무 장작 3~5개를 얻을수 있다. 사냥총, 손도끼등을 분해하여 얻을 수도 있고, 화로 근처나 Create 라고 써있는 나무 바구니나 바닥에 놓여있기도 하다. 망치를 수리할 때 사용하는 나무이다.사냥총, 손도끼 등의 수리 재료로 쓰이며,[53] 1시간 30분간 불을 땔 수 있게 해준다. 무게 : 1개당 1.00kg (추가 점화 성공률 12%)
  • Cedar Firewood(삼나무 장작) : Cedar Limb(삼나무 가지)을 분해하여 삼나무 장작 3~5개와 부싯돌 1개를 얻을 수 있다. 몇 몇 오브젝트를 분해하여 얻을 수도 있고, 화로 근처나 바닥에 놓여있기도 하다. 1시간 정도 불을 땔 수 있고, 부드러운 나무라 그런지 불이 붙을 확률이 다른 장작에 비해 좀 더 높은 편이다. 무게 : 1개당 0.50kg (추가 점화 성공률 20%)
  • Reclaimed Wood(재활용 나무) : 집안에 간혹 놓여 있기도 하고 직접 얻으려면 집안에 있는 가구들을 손도끼로 분해하면 얻을 수 있다.덕분에 나무를 구하려고 이 집 저집 들리다 보면 집안에 가구는 어디가고 바닥에 이것만 남는 경우가 많다. 이 재활용 나무를 이용해 덫(snare)을 만들거나 횃불을 만들 수 있다. 30분간 불을 땔 수 있다. 무게는 0.25kg이다. 무작정 장작으로만 활용하기보다 물품을 만들수 있는 용도도 많으니 참조하는 것이 좋다. (추가 점화 성공률 없음)

2.6 기타 연료

  • Accelerant(촉진제) : 라이터 기름. 난로나 화로에 불을 지필 때 추가하면 속도와 확률을 높인다. 처음 Fire Starting Base Skill(점화 기술)이 50인 상태에서는 종이 성냥에 재활용 나무로 불을 붙일 확률이 약 45%지만 촉진제를 사용하면 확률이 40% 더 올라간다. 1회용에다 그리 많이 주워지는 것도 아니니 정말 필요할 때만 쓰자. 늑대나 곰이 플레이어를 발견하고 천천히 다가올 때, 촉진제가 있다면 빠르게 불을 피워 쫒아내는 용도로 쓸 수 도 있다.
  • Book(책) : 집이나 건물 안을 둘러보면 종종 찾을 수 있다. 향나무 장작보다 불이 붙을 확률이 15% 더 높아서 촉진제 없이 불을 피우기 매우 좋다. 하지만 고작 18분만 불을 땔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장작들을 요구한다. 무게는 0.5kg (추가 점화 성공률 35%) 점화 성공률을 이용하여 보통 처음에 불 피우는 데 썼다가 불이 켜지면 다른 장작을 넣는 걸로 쓰면 효율적. 참고로 스킬북 역시 책이기 때문에 책 대용으로 사용할수 있으니 내용을 모두 습득한 책은 점화 용도로 잘 활용해주자.
  • Coal(석탄) : v.264에서 추가된 연료. 무게는 0.3kg에 주로 동굴이나 광산에서 채집 가능. 나무 대신 땔 수 있으나 점화 후 30분이 지나야 사용가능하다. 폐허의 리켄호 용광로에서 수제 칼과 수제 도끼, 그리고 화살촉을 만들기 위해서는 150℃까지 가열해야 하는데 나무 연료는 최대 80℃ 까지 밖에 올리지 못하나 석탄은 개당 20℃ 씩 올리며 150℃ 이상 올릴 수 있다.(최대 200℃) 제련소에 불 지피기 전에 반드시 충분한 석탄을 준비하자.[54] 온도가 일반 장작류보다 훨씬 많이 올라가기 때문에 동상이나 저체온증에 걸린 이후에도 따뜻함의 회복 속도가 훨씬 빨라지는 덕에 활용도가 꽤나 괜찮다.
탄광 지역에서 발견되는 석탄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재등장하는데, 다른 연료들 보다 가벼운 무게(0.3kg)에 지속시간도 60분이라 상당히 쓸만하다. 탄광의 지형이 익숙해 진다면 줍줍 코스로 비축해 두는 것도 좋다. 숲을 뒤지며 전나무나 향나무 장작을 줍느라 여기저기 돌아다니는 것보다 탄광을 들락날락거리는 게 수고도 덜 든다.[55] 동굴 안에는 단 한 곳을 제외하고 늑대나 곰을 마주칠 일도 없기 때문.
탄광에서는 한쪽 벽(왼쪽 방향이 좀 더 낫다)을 타고 이동하면 길 잃을 염려는 없다. 시야 확보를 위해 첫 탐험시엔 등불, 익숙해지면 횃불 두어 개 쯤 소모하면서 가는 것을 추천하며 성냥 준비는 필수.[56] 아쉽게도, 폐허(Desolation Point)에서 좌초된 리켄 호(Riken)의 석탄은 재생되지 않는다.

2.7 생산 도구

  • Sewing Kit(재봉 상자): 무게는 0.10kg으로 상당히 가벼워 가지고 다니기 좋다. 옷 또는 침낭 등을 수선할 때 쓰인다. 보통 의류 종류가 악천후로 얼어붙거나 맹수들을 만나 찢기거나 물에 빠져 옷이 손상되는 경우에 추위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다른 수리도구들 보다 더 중요하다. 옷의 내구도가 낮아지면 성능도 낮아지니 보온 능력 좋은 옷을 얻었으면 되도록 높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자. 옷의 재질에 따라 천 또는 가죽이 필요하다. 한 번 옷을 수선 할 때 내구도가 5% 떨어진다. 의외로 장기 생존 시 성냥 다음으로 떨어지는 아이템이니 항상 신중히 사용하도록 하자. 특히 방온 효과가 낮은 종류의 옷에는 사용을 자제하도록. v.233 이후 몇몇 의복 제작에 필수적인 아이템이 되어서(기존에는 시간 단축 효과만 있었다.) 중요도가 더 늘어났다. 그나마 재봉 상자의 등장률이 상승하여 부담감은 덜해진 편.
  • Simple Tools(간단한 도구 상자): 무게 1.0kg에 간단한 도구가 들어있는 파란색 철제 상자이다. 쇠톱, 깡통따개, 기타 물품 등을 수리 할 때 쓰인다. 보통 작업대 위에 올라가 있는 편이라 찾기는 어렵지 않은 편. 현재 획득할 수 있는 고철의 양이 거의 무한이므로[57] 장기간 생존시에는 필수 아이템이 되었다. 고철이 많아도 도구 상자가 없다면 수리가 불가능 하기 때문에 장기 생존시에는 반드시 필요한 아이템이다. 단, 최신 버전에는 쇠톱 외에 다른 필수 도구들(사냥용 소총, 사냥용 칼, 손도끼)의 수리 방법이 분리되었기 때문에 예전 버전 만큼 중요성이 높지는 않다. 장기 플레이를 하더라도 서너 상자 정도면 충분한 수준. 분해시 고철 3개를 획득하고 고철 1개를 사용해서 수리할수 있다.
  • Quality Tools(정교한 도구 상자): 무게 0.75kg에 정교한 도구가 들어있는 빨간색 철제 상자이다. 파란색 도구 상자보다 수리 확률이 10% 더 높다. 불가사의 호수에선 방공호와 댐에서 간혹 얻을 수 있고 해안 고속도로에선 해안가 마을 가게 내부에 빨간 공구함 서랍에서 낮은 확률로 얻을 수 있다. 가끔가다 책상이나 작업대 옆 구석에 숨겨져 있기도 하니 잘 살펴보자. 분해시 고철 3개를 획득하고 수리시 고철 1개가 필요하다.

2.8 의료 도구

대부분의 도구들은 주택 화장실의 의료함이나 " First aid kit " 빨간 상자에 흰색 적십자 모양으로 벽에 붙어 있는 경우가 많다. 크기가 그리 크지 않아 지나치기 쉬우니 잘 살펴보자. 보통은 방이나 문 사이의 입구 근처나 집안의 화장실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여담으로 자연에서 찾을수 있는 재료들로 모든 상태이상에서 회복을 경험할때 획득하는 도전과제가 있다.
파일:IHxFMo3.png

  • Bandage(붕대) : 늑대나 곰에게 물려 피가 날 때 지혈하기 위해 쓰인다. 맹수에게 공격당하면 감염되고 출혈이 나는데 바로 치료를 해야 체력이 떨어지지 않는다. 천 1개와 20분을 소모하여 붕대 2개를 만들 수도 있다. 무게 : 1개당 0.10kg
  • Antiseptic(소독약) : 맹수에게 물린 후 상처 감염을 방지할 때 쓰인다. 의료상자나 화장실 내부, 부엌에서 종종 발견된다. 소독제를 한 번 사용할 때마다 0.1L씩 사용하므로 총 5번 사용 가능하다. 무게 : 0.5L당 0.70kg
  • Old Man's Beard Wound Dressing(노인의 수염 상처용 붕대) : 작업대나 간편 제작 메뉴[58]에서 Bandage(붕대) 1개, Old Man's Beard Lichen(노인의 수염 이끼) 3개와 15분을 소모하여 노인의 수염 상처용 붕대 1개를 만들 수 있다. Antiseptic(소독약)와 Bandage(붕대)를 합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맹수에게 공격당한뒤 동시에 생기는 출혈과 감염을 한번에 치료 할 수 있는 매우 간편한 의료도구이다. 소독제 한 통이 0.7Kg(0.5L)으로 의외로 무게가 나가기에 매번 들고 다니기에 부담스럽다면 노인의 수염 상처용 붕대를 만들어 두는 것을 추천한다. 조합해도 무게가 늘어나지 않는데다 치료 시간도 줄어든다. [59]무게 : 1개당 0.10kg
  • Antibiotics(항생제) : 식중독, 기생충 감염에 걸렸을 때 쓰인다. 의료상자 외에서는 잘 나오지 않으므로 컨디션이 낮은 음식이나 육식 동물의 육류는 자주 먹지 않는 것이 좋다. v.321 업데이트 이후 생긴 기생충 감염시 하루 마다 5(쉬움,일반난이도) / 10(어려운난이도)번을 사용(1회당 알약 2개를 사용한다.)하여 치료해야하므로 사용빈도가 이전보다 늘었으며 이전에는 항상 내구도 100%를 유지 했지만 업데이트 이후 내구도가 점점 감소되어서 약품의 내구도도 관리 해야한다. 무게 : 6알당 0.10kg
  • Painkiller(진통제) : 화상 혹은 손목, 발목을 삐었을 때 쓰인다. 플레이어가 다소 성질 급하고 부주의하다면 둘 다 가끔 입을 수 있는 부상이니 소량(4개 정도)은 항상 들고 다니는 편이 좋다. v.321 업데이트 이전에는 항상 내구도 100%를 유지 했지만 업데이트 이후 내구도가 점점 감소되어서 약품의 내구도도 관리 해야한다. 1회당 알약 2개를 사용한다. 무게 : 6알당 0.10kg
  • Water Purification Tablets(정수 알약): 물을 끓이지 않았을 때 정수 알약을 사용하면 안전하게 물을 마실 수 있다. 한 통에 4개가 들어있고 한 알에 1리터 물을 정수 할 수 있다. 댐이나 응급상자에서 간혹 나온다. 다만, 끓이지 않은 물을 발견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가지고 다니다가 실수로 연료에 비해 눈을 너무 많이 녹였을 경우 가끔씩 써주는 정도 밖에 효용성이 없다. 챌린지에서는 물을 끓이는 시간을 절약하는 방식으로 쓸 수 있긴 한데 사실 별로 효용성은.....
  • Reishi Tea(영지 버섯 차): 불을 지폈을 때 Reishi Mushroom(영지 버섯) 2개와 물 0.25L를 섞어서 만든다. Antibiotics(항생제)와 같은 역할을 하며 100Kcal 섭취와 소폭의 갈증을 해소한다. v.321 업데이트 이후 생긴 기생충 감염시 하루당 5(쉬움,일반난이도) / 10(어려운난이도)번을 사용하여 치료해야하므로 사용빈도가 이전보다 늘었다.
  • Rose Hip Tea(들장미 열매 차): 불을 지폈을 때 Rose Hip(들장미열매) 25개와 물 0.25L를 섞어서 만든다. Painkiller(진통제)와 같은 역할을 하며 100Kcal 섭취와 소폭의 갈증을 해소한다.
  • Emergency Stim(응급 주사기): v.321 업데이트로 추가된 아이템으로 체력이 10% 미만일 때 사용하면 15% 정도 회복한다. 효과가 유지중일 때에는 달려도 스태미나가 감소하지 않는다.(정확하게는 피로도가 모두 회복된다.) 효과 가 끝나면 매우 피곤해진다 마지막 수단으로 사용해야 한다. v.364업데이트 이후 INTERLOPER(침입자) 난이도에서는 높은 확률로 고정된 특정 위치에 1개씩 등장한다.

2.9 재료

'Silent Hunter' 업데이트 이후 동물에게서 얻는 모든 가죽과 내장은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선 내부 공간에 놓고 일정 기간 동안 건조해야 한다. 집 내부 아무 곳에나 버리기 기능을 이용해서 펼쳐놓으면 된다. 건조 진행률은 마우스를 갖다 대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v.321 업데이트 이전에는 항상 내구도 100%를 유지 했지만 업데이트 이후 내구도가 점점 감소되어서 가죽과 내장의 내구도를 일일이 확인해야하며 장기 보관시 서랍 같은 곳에 관리 해야 오랫동안 보관이 가능하다


2nqtxkn.png

  • Scrap Metal(고철): 사냥총, 도구 상자, 기타 철제 아이템을 수리하거나 낚시바늘이나 화살촉등을 만드는 다용도로 재료. 철제 도구들을 분해하거나 철로 이루어진 오브젝트를 쇠톱을 이용하여 분해하여 얻을 수 있다. # v.264 업데이트 이후 아이템 모델이 변경되었다.

wcitn8.png

  • Cloth(천): 붕대를 만들거나 옷가지나 침낭을 수선할 때 쓰거나 작업대에서 Torch(횃불)나 Bear Skin Bedroll(곰 가죽 침낭), Old Man's Beard Wound Dressing(노인의 수염 이끼 상처 소독제) 등의 아이템을 만들 때 사용. 옷이나 침낭을 분해해서도 얻는다. 사냥용 칼로 주택의 못쓰는 침구나 의류등을 찢어서도 얻을수 있다.

fn65va.png

  • Leather(가죽): 신발이나 가죽 의류 등의 수선에 쓰인다. 신발, 가죽 의류를 분해해서 얻는다.

2salb1c.png

  • Deer Hide(사슴 가죽): 사슴 시체에서 얻는다. 채취한 사슴 가죽은 내부 공간에 5일 동안 말려서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작업대에서 사슴 가죽 바지와 사슴 가죽 부츠를 만들 때 쓰인다.

1zfsoq0.png

  • Wolf Pelt(늑대 가죽): 늑대 시체에서 얻는다. 채취한 늑대 가죽은 내부 공간에 7일 동안 말려서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작업대에서 Wolf skin Coat(늑대 가죽 외투)를 만들 때 쓰인다.

6zr9g7.png

  • Rabbit Pelt(토끼 가죽): 토끼 시체에서 얻는다. 채취한 토끼 가죽은 내부 공간에 3일 동안 말려서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작업대에서 Rabbit skin Mitten(토끼 가죽 장갑)를 만들 때 쓰인다.

992xro.png

  • Black Bear Hide(곰 가죽): 곰 시체에서 얻는다. 채취한 곰 가죽은 내부 공간에 가죽 중 가장 긴 시간(12일) 동안 말려서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작업대에서 Bear Skin Bedroll(곰 가죽 침낭)를 만들 때 쓰인다.

2kzfq.png

  • Guts(내장): 늑대나 사슴, 곰 시체에서 얻는다. 채취한 내장은 내부 공간에 5일 동안 말려서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올가미와 낚싯대와 활을 만들 때, 의류를 만들거나 수선할 때 사용한다.

v.364업데이트 이후 완전히 말리지 않은 상태에서 늑대 미끼로 사용이 가능하다

1tocxl.png

  • Old Man's Beard Lichen(노인의 수염 이끼): 주로 나뭇가지 위에 걸쳐 있는 이끼. Old Man's Beard Wound Dressing(노인의 수염 이끼 상처 소독제)를 만들 때 필요한 재료.

14e8d92.png

  • Reishi Mushroom(영지 버섯): 주로 잘린 나무 밑둥에 열리는 버섯으로 2~3개 씩 있다. Reishi Tea(영지 버섯 차)를 만들 때 필요한 재료로써 항생제 대신 사용할 수 있다.

2mhbxab.png

  • Rose Hip(들장미 열매): 바위나 나무 사이에 열리는 열매. Rose Hip Tea(들장미열매 차)를 만들 때 필요한 재료로써 진통제 대신 사용할 수 있다. 한번 떼어내면 8개를 얻을수 있다. 차를 끓이기 위해서 25개가 필요한데 3번 파밍해도 획득량이 24개(...). 열매가 부조카당

34ql82a.png

  • Maple Sapling(단풍나무 묘목): 활의 재료. 산속이나 나무가 많은 곳에서 희귀하게 발견된다. 도끼가 있어야 얻을 수 있으며 보통 한 두개가 모여있고 리젠지역이 한정적이라 자작나무보다는 훨씬 찾기 힘들다. 내부 공간에서 6일을 말려서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fdso6v.png

  • Birch Sapling(자작나무 묘목): 화살대의 재료. 산속이나 나무가 많은 곳에서 가끔 발견된다. 도끼가 있어야 얻을 수 있으며 적은 수로 모여있다. 섬지역 부근에서 단일 개체로 발견되기도 한다. 내부 공간에서 4일을 말려서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348kpw0.png

  • Arrowhead(화살촉): v.264 이후 폐허 지역에 위치한 난파선 내의 제련소에서만 제작이 가능하다. 화살의 재료 중 하나. 제작시 반드시 망치가 필요하니 잊지말자. 부러진 화살을 분해해도 얻을 수 있다.

20r5owj.png

  • Arrow Shaft(화살대): 작업대에서 말린 자작나무 묘목을 30분 소모하여 3개를 제작한다. 화살의 재료 중 하나.

344easz.png

  • Crow Feather(까마귀 깃털): 까마귀가 배회하고 있는 시체 주변을 잘 살펴보면 여러 개가 떨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화살의 재료 중 하나. 필드에 랜덤하게 등장하는 사람의 시체가 있는 장소를 외워두면 좋다. 다만 사슴의 시체에도 까마귀는 등장하지만, 전부 해체해 버리면 사슴 시체와 까마귀는 사라진다. 무게가 가볍고 화살을 만들 때 화살 하나당 3개씩 필요하며, 부러진 화살을 분해하면 2개, 멀쩡한 수제화살은 내구도에 관계없이 3개를 돌려받을 수 있다. 즉, 수제 화살을 실컷 쓰고 10%이하일때 의도적으로 분해하면 항상 깃털을 제작에 필요한 3개를 그대로 돌려 받는다. 그래도 시체가 보이는대로 수집해두어 비축하는 편을 추천한다. 깃털도 리젠이 되는 자원이니 시체가 있는 위치 두 세 군데만 있어도 시간만 있으면 넉넉하게 얻을 수 있다.

3 음식과 열량

최대 열량은 2500kcal, 최저 열량은 0이다.1일 권장 칼로리를 잘 지킨다.
열량이 없는 상태면 굶주림 표시가 뜨고 체력(컨디션)이 느리게 떨어진다. 게임 시간으로 대략 30분에 1%. 꽤 느린 속도로 떨어지기 때문에 음식을 아끼기위해 일부러 굶는 테크닉을 쓸 수 도 있다.
갈증 역시 수치가 바닥나면 체력이 떨어지고, 굶주림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체력을 떨어뜨리므로 갈증 상태가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하며, 무게관리에 피해를 끼치지 않는 선에서 물을 많이 챙겨놓을수록 좋다.

개인마다 게임 플레이시 차이가 있지만 게임 상에서는 음식 없이 약 7~8일을 버티지만 물 없이는 2~3일도 못 버틴다.
실제로 사람이 음식 없이는 2~3주 정도 버틸 수 있지만 물 없이는 3일도 버티기 힘든 것을 게임상에서도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불을 이용해 눈을 녹이는데 필요한 시간은 1L당 20분, 끓이는데 필요한 시간은 1L당 10분이다.
따라서 안전한 물을 만들수 있는 시간은 1L당 30분이다. 모닥불에서 한번에 5L씩 눈을 녹이거나 물을 끓일수 있으니 참조하도록 하자. 물(Water)은 깨끗한(Potable) 물과 더러운(Unsafe) 물로 나뉜다. 물병에 담겨 있는 것을 얻거나, 화장실 변기에서 얻거나, 모닥불이나 화로에서 눈을 녹여 만들 수 있다. 녹이기만 하면 식중독의 위험이 있으므로 다시 한 번 끓이거나, 정수 알약을 사용하여 정화해야 한다.[60] 가끔 바가지에 더러운물이 담겨있기도 한다.(하지만 양이 굉장히 적은편.) 물을 버리면 물병에 담긴 상태로 버려진다. 물을 마시게 된다면 갈증을 완전히 해소하기까지 원샷 하기 때문에 음료수와 같이 갈증과 허기를 해소해야 한다면 음료수로 먼저 약간의 칼로리 섭취와 함께 갈증을 줄여주고 그 이후에 물을 섭취해 주는 것이 훨씬 효과 적이다. 다만 물을 마시는 도중에 esc를 이용해서 끊을 수 있긴 하다.

모든 행동은 열량을 소모한다. 가만히 있는 것도, 잠을 자는 것도 열량을 소모한다. 달리거나 언덕/계단을 올라가면 열량 소모율이 높아진다.
식량 역시 상태치가 있어 오래될수록 상태치가 떨어지고 그런 것을 먹을 경우 높은 확률로 식중독에 걸려 배탈이 난다.
상태 낮은 것을 먼저, 상태치가 떨어지기 전에 섭취해두는 것이 좋다. 일반 음식은 50% 미만, 육류는 조리한 경우에도 상태가 75% 미만으로 떨어지면, 먹고 식중독에 걸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므로 계획적으로 섭취하자. 통조림 음식류는 깡통따개 등으로 미리 따줘야 섭취가 가능하다.[61] 그외에도 고기종류는 운이좋다면 주택의 스토브 안에서도 찾을수 있다. 날고기가 냉장고에서 나오기도 한다. 날고기는 섭취시 식중독에 걸릴확률이 매우 높다. 죽을때까지 컨디션이 닳게 하니 정말 배가고파서 날고기를 먹어야하는 상황이 오더라도 먹지 말자.

또한 먹는 도중에 esc키를 눌러 취소하여, 약간을 남겨두어 들고 다니면 1.92 패치 이후로 무섭게 달려드는 늑대들을 위한 미끼로 사용할 수 있다.[62]

참고로 물배가 따로있다. 배가 가득차서 더이상 못먹을때도 음료는 마실수 있다.

이름무게(kg)칼로리(kcal)KG당 열량비고: 기본적으로 아래 목록의 모든 음식은 허기(배고픔)를 채워주며 별다른 언급이 없을 경우 소폭의 갈증을 일으킨다.
Beef Jerky(소고기 육포)0.103503500
Candy Bar(초코 바)0.102502500
Condensed Milk(연유)0.257503000갈증을 조금 채워준다.
Dog Food(개 사료)0.305001667갈증 소폭 감소, 사람이 먹는 음식이 아닌 것 답게 상태가 좋든 나쁘든 섭취시 식중독에 걸릴 확률이 있다. 패치를 거듭하며 확률이 낮아지기는 했으나 주의하는게 좋다.
Energy Bar(에너지 바)0.105005000무게 대비 효율이 뛰어나며, 먹어도 갈증이 떨어지지 않는다.
Granola Bar(그래놀라 바)0.103003000
Military- Grade MRE(군용 식량)[63]0.501,7503500갈증을 조금 채워준다.
Peanut Butter(땅콩버터)0.509001800
Tin of Sardines(정어리 통조림)0.103003000갈증을 조금 채워준다.
Pork and Beans(돼지고기 콩 통조림)0.256002400
Pinnachle Peaches(복숭아 통조림)0.50450900갈증을 채워준다. 배고픔 게이지와 갈증 게이지가 비슷하게 회복. 챌린지에서는 무게 대비 열량이 별로 좋지 않으니 빨리 먹는 게 좋다.
Orange Soda(오렌지 탄산음료)0.252501000갈증을 꽤 채워준다.
Stacy's Grape Soda[64](스테이시의 포도 탄산음료)0.252501000갈증을 꽤 채워준다.
Summit Soda(산 꼭대기 탄산음료)0.252501000갈증을 꽤 채워준다.
Tin of coffee(커피 한캔)0.01xx개당 커피 1컵을 만들수 있고 그냥은 먹을수 없으며 물과 함께 커피 한 컵을 만들때 사용한다.
Cup of coffee(커피 한컵)0.101001000Tin of coffee와 물 250ml을 모닥불에서 조리하여 만들 수 있다. [65]
Herbal tea(차 한상자)0.01xx차 5컵을 만들수 있고 그냥은 먹을수 없으며 물과 함께 차 한 컵을 만들때 사용한다.
Cup of herbal tea(차 한컵)0.101001000herbal tea와 물 250ml을 모닥불에서 조리하여 만들 수 있다.[66]
Salty Crackers(짠 크래커)0.16006000소금이 많이 들어간 탓인지 섭취시 갈증이 대폭 증가한다. 현재 무게 대비 효율이 가장 좋다.
Tomato Soup(토마토 스프)0.25300120012월 17일 1.81 업데이트로 새롭게 추가된 음식이다.갈증이 줄어들지 않는다. 이 제품도 무게 대비 열량이 별로라 챌린지에서는 빨리 먹는 것을 추천.
Cat tails Stalk(부들 개지 줄기)0.05150300012월 17일 1.96 업데이트로 새롭게 추가된 음식이다. 어떻게 보관하던 내구도가 떨어지지 않으며, 게임 내에 등장하는 식량 중 유일하게 영구 보존이 가능한 식량이다. 평소에는 거들떠 보지도 않다가 침입자 난이도에서는 겁나 찾게된다 [67]
Venison(사슴 고기)1900→800900→800갈증 소폭증가, 요리 스킬이 5 미만일 시에 75% 미만부터 식중독의 위험이 있으니 주의할 것. 생고기,구운 고기는 하루에 상태치 각각 10%,4%감소.
Wolf Meat(늑대 고기)1800→700800→700갈증 소폭증가, 요리 스킬이 5 미만일 시에 75% 미만부터 식중독의 위험이 있으며, 기생충 감염증 패치 이후 기생충 감염 확률이 있으니 주의할 것. 생고기,구운 고기는 하루에 상태치 각각 10%,4%감소
Rabbit Meat(토끼 고기)1500→450500→450갈증 소폭증가, 75% 미만부터 식중독의 위험이 있으니 주의할 것. 생고기,구운 고기는 하루에 상태치 각각 10%,4%감소.
Black Bear Meat(곰 고기)1900→900900→900갈증 소폭증가, 요리 스킬이 5 미만일 시에 75% 미만부터 식중독의 위험이 있으며, 기생충 감염증 패치 이후 기생충 감염 확률이 있으니 주의할 것. 생고기,구운 고기는 하루에 상태치 각각 10%,4%감소

4 피복

바람과 추위에 대한 온도 보너스를 준다. 상의, 하의, 신발은 피복을 두 겹 입는다. 총 입을 수 있는 옷은 9벌. 추후 예정 업데이트 사항으로는 부위별로 머리,얼굴(고글이나 방한용 귀마개 등을 착용할수 있는 부위로 추후 업데이트 예정),목(목도리나 스카프 착용부위),상의,하의,신발로 이루어질 예정이라고 한다.
입고 있는 전체 피복의 상태가 좋으면 온도 보너스와 바람막이 효과가 높아져 보온이 증가되어 쉽게 동상에 걸리지 않는다. 곰이나 늑대의 공격에도 일정 수준의 방어 효과가 있다. 추락, 눈보라, 맹수의 공격에 의해 피복 상태는 감소한다.[68] 추후 업데이트에서 나온 내용에 따르면보면 모자1개,얼굴 부위에 착용할수 있는 피복류가 2개 ,상의에 착용할수 있는 옷이 4개, 하의에 착용할수 있는 옷이 3개, 발부위에 착용이 가능한 피복류가 양말과 신발로 총 2개 이외에 핫팩 같은 기타 방한도구도 추가될 예정이라고 한다.Branch Update로 본인이 입고있는 옷이 어떤옷인지 더 자세히 확인해 볼수 있게될 예정이니 잘 확인해보도록 하자. 몇몇 제작하는 의류등은 사냥칼이나 손도끼를 사용해서만 만들수 있으니 참조하자.

목록은 안 좋은 성능 순으로 작성되었다. 목록에서 아래에 있을수록 능력치가 높은 아이템들.

부위이름온기
보너스
풍속 냉각 보너스무게비고
머리Basic Wool Hat
(기본 털 모자)
1.0°C없음0.25kg기본적으로 쓰고 있는 털 모자.
Toque
(방울 달린 털모자)
1.0°C1.0°C0.25kg털실로 짠 모자 꼭대기에 방울이 달린 털 모자. 기본 털 모자보다 따뜻하니 얻으면 이것으로 바꾸도록 하자.
Basic Wool Scarf
(기본 모직 스카프)
1.0°C1.0°C0.25kg종류가 하나라 이건 나오면 무조건 착용하도록 하자.
상의(속옷)Fleece Sweater
(합성 섬유 스웨터)
1.0°C없음0.25kg가장 능력치가 좋지 않은 스웨터.[69]
Thin Wool Sweater
(얇은 모직 스웨터)
1.0°C1.0°C0.5kg게임 상에서 가장 흔하게 나오는 중간 단계 스웨터. 두터운 모직 스웨터가 나오기 전까진 입고 다닌다.
Heavy Wool Sweater
(두터운 모직 스웨터)
1.5°C1.5°C0.5kg가장 따뜻한 스웨터. 옷장을 뒤져보면 쉽게 얻을 수 있다.
상의(외투)Basic Winter Coat
(기본 겨울 외투)
3.0°C2.0°C3kg옷 자체는 제법 따뜻하지만, 3kg이라는 더럽게 무거운 무게가 문제. 수리 시 천 2개와 1시간 소요 35% 회복.
Quality Winter Coat
(고급 겨울 외투)
2.0°C1.0°C2kg오리 털 스키 재킷과 비슷하지만, 수리 시간이나 내구도가 조금 낮다. 오리 털 스키 재킷이 약간 더 좋다.
Down Vest
(오리털 조끼)
1.0°C0.5°C0.25kg노란색 바탕에 검은 줄이 나있는 방한 조끼. 능력치는 역시나 재료 행.
Down Ski Jacket
(오리 털 스키 재킷)
2.0°C1.0°C0.5kg중간 단계 외투. 가볍다는 것이 장점이다.
Insulated Vest
(보온 조끼)
1.0°C없음0.25kg흰색 바탕의 보온 조끼. 보온 조끼와 오리 털 스키 자켓의 차이점은 재질 정도인데 게임 상에서는 조끼로 등장. 능력치는 오리 털 조끼와 비슷한 정도.
Mariner's Pea Coat
(선원의 두꺼운 모직 외투)
4.0°C2.0°C2kg불가사의한 호수 맵 호수 오두막 집에서 가끔 나오며 옷장을 열어보면 가끔 나온다. 최고급 겨울 외투 다음으로 능력치가 좋다.어째선지 최고급 겨울 외투보다 더 보기 힘들다.
Premium Winter Coat
(최고급 겨울 외투)
4.0°C4.0°C2kg가장 희귀하며 금고나 옷장을 뒤지다보면 극악한 확률로 얻을 수 있다. 시작하자마자 나오면 신에게 감사를 드리자 이름에 걸맞게 돌아다니며 얻을 수 있는 외투 중에 가장 능력치가 좋은 외투다. 수리시 천 3개와 재봉상자가 필요하다.
Wolfskin Coat
(늑대 가죽 외투)
7.0°C5.0°C3kg작업대에서 사냥 칼로 건조된 늑대 가죽 4개와 건조된 내장 4개 그리고 25시간 동안의 작업을 거쳐야 만들 수 있다. 능력치는 외투 중 가장 높은 능력치인 보온 +7.0℃와 방풍 +5.0℃로 이것을 걸치면 왠만한 추위에는 끄떡없다.그래도 눈보라를 정면에서 맞으면 얼어죽긴 마찬가지이니 사리자... 자연의 힘은 늑대 가죽 따위로는 이길 수 없다. 특수 기능이 하나 붙어 있는데, 늑대가 플레이어를 발견한 경우 겁먹고 도망갈 확률을 대폭 높여준다.[70] 늑대 가죽 1개와 내장 1개를 소모하여 수선한다.
Basic Gloves
(기본 장갑)
1.0°C1.0°C0.25kg게임 플레이시 기본으로 착용 중인 장갑. 능력치가 별로라 벙어리 장갑을 얻은 뒤로는 그냥 보이는 대로 해체용. [71]
Mitten
(벙어리 장갑)
2.0°C1.0°C0.25kg기본 장갑보다 보온이 뛰어나며 돌아다니며 얻을 수 있는 장갑 중에서 가장 좋은 장갑이다. 군대에서 사제 벙어리 장갑을 사서 쓰는 이유가 있다. 내구도가 빠른속도로 감소하지만, 천 하나를 사용해 75% 의 내구도를 수리 가능하다.
Rabbitskin Mitts
(토끼 가죽 장갑)
4.0°C2.0°C0.4kg작업대에서 재봉 틀로 건조된 토끼 가죽 4개와 건조된 내장 2개 그리고 5시간 동안의 작업을 거쳐야지 만들 수 있다. 장갑 중 가장 높은 능력치인 보온 +4.0℃와 방풍 +2.0℃가 적용되므로 이것을 끼면 어느 정도 추위에는 문제 되지 않는다. 토끼 가죽 1개와 내장 1개를 소모하여 수선한다.
하의
(속옷)
Cotton Long Underwear
(면 내복)
1.0°C없음0.5kg플레이어가 게임 시작 시 입고 있는 하의. 화장실 욕조에 놓여있어 가장 흔하다.
Wool Long Underwear
(모직 내복)
2.0°C1.0°C0.5kg역시 털로 만들어진 옷들이 보온성이 뛰어나다. 옷장을 뒤져보면 아주 가끔 나온다. 이거 나오긴 하나(...) 비행기 꼬리 부분에서 쏟아진다.
하의
(바지)
Jeans
(청바지)
1.0°C없음0.5kg가장 기본적인 바지. 외국인들은 청바지만 입고 다니는지 게임 상의 대부분 바지를 차지한다.
Cargo Pants
(카고 바지)
1.5°C0.5°C0.5kg주머니가 많이 달려 있어 무게를 늘려 줄 것 같지만 다른 게임과 다르므로 주의. 기본 청바지보단 따뜻하니 만족하자.
Deerskin Pants
(사슴 가죽 바지)
3.0°C3.0°C2.0kgSilent Hunter 업데이트로 추가. 작업대에서 재봉 상자로 건조된 사슴 가죽 3개와 건조된 내장 4개 그리고 12.5시간 동안의 작업을 거쳐야지 만들 수 있다. 바지 중 가장 높은 능력치인 보온 +3.0℃와 방풍 +3.0℃가 적용되므로 입으면 어느 정도 추위에는 문제 되지 않는다. 사슴 가죽 1개와 내장 1개를 소모하여 수선한다.

(양말)
Cotton Socks
(면 양말)
0.6°C없음0.1kg기본 양말.
Wool Socks
(모직 양말)
1.0°C없음0.25kg역시 털 양말이 따뜻하므로 망설일 필요 없이 바꿔 신도록 하자.

(신발)
Basic Boots
(기본 부츠)
0.9°C1.0°C1kg게임 플레이 시 기본으로 신고 있는 신발.
Shoes
(구두)
0.5°C없음0.5kg기본 부츠보다 더 후지다.. 해체하는데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가죽 2개를 얻을 수 있다.사실상 가죽 2개
Work Boots
(작업 부츠)
2.0°C1.0°C2kg일할 때 신는 부츠. 기본 부츠보다 따뜻하다. 보온 부츠가 나오면 버려진다. 수리 시 천 1 가죽 1과 1시간 30분 소요 50% 회복.
Insulated Boots
(보온 부츠)
3.0°C2.0°C2kg이름값을 톡톡히 하는 따뜻한 신발이다. 해안 고속도로 맵 집안 옷장 옆에 놓여져 있는 경우도 있다. 수리시 천 1개와 가죽 1개가 필요하며 작업 부츠와 함께 2kg으로 꽤나 무겁다.
Deerskin Boots
(사슴 가죽 부츠)
4.0°C3.0°C1.5kg작업대에서 재봉 상자로 건조된 사슴 가죽 2개와 건조된 내장 4개 그리고 12.5시간 동안의 작업을 거쳐야지 만들 수 있다. 부츠 중 가장 높은 능력치인 보온 +4.0℃와 방풍 +3.0℃가 적용되고 사슴 두마리에서 얻을수 있는 어느정도 수월한 획득량에 무게는 보온 부츠 보다 가볍다. 신으면 어느 정도 추위에는 문제 되지 않는다. 또, 제작 의류 중에서 유일하게 기성 의류보다 가벼운 의류 이기도 하다. 사슴 가죽 1개와 내장 1개를 소모하여 수선한다.
  1. 내장과 가죽의 경우는 어떤 경우든 칼이 더 빠르고, 따로 고기만 채집할 경우 50%이상 동결된 이후 부터는 도끼가 더 빠르다. 따라서 얼지 않은 동물은 고기+내장+가죽을 칼로만 한꺼번에 채집 하는 것이, 얼어 붙은 동물은 고기는 도끼로, 내장+가죽은 칼로 따로 채집하는 것이 시간이 절약된다 .
  2. 대체 도구인 손도끼로도 제작은 가능하지만 제작 시간이 크게 증가한다.
  3. 보통 낚시터 안에 던져두고 낚시를 하려고 할 때마다 얼음 깨는 용도로 주워 쓰는 식이다.
  4. 3레벨 부터는 손으로 통조림을 열어도 칼로리 감소가 없이 온전한 상태로 먹을 수 있다.
  5. 스토커 난이도에서는 4종 수제 옷들을 전부 갖춰 입고 동굴 안에서 자도 간혹 가다 동사할 수 있으니 곰 가죽 침낭에서 자는 편이 안전하다.
  6. 다만 곰 가죽 침낭과 더불어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시간이 지날 수록 내구도가 하락한다
  7. 대략 15°C~ 20°C 전후
  8. 최근 패치로 인해 활쏘기 역시 장인 숙련도 이상의 경우 가능하다
  9. 재밌게도 수리 도구만 있다면 쇠톱으로 분해한 고철로 바로 수리를 할 수 있다.
  10. 각 큰 지역 별로 한 군데씩은 있을 확률이 존재하며, 최근의 새 맵인 Timberwolf Mountain(얼룩이리 산)의 가장 깊숙한 곳인 꼬리 부분에서 높은 확률로 발견된다.
  11. 정말로 망치를 못 찾겠다면 얼룩이리 산의 꼬리 날개에서 2개 정도 얻을 수 있으니 다녀와 보자.
  12. 특히 얼룩이리산 처럼 이동 경로에 따라 이동효율성이 매우 증가하는 지역은 꼭 더 롱 다크/지역에 나와있는 지도를 보며 설치해 주도록 하자 등산용 로프는 암벽의 상단부에서만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미 해당지역을 지나쳐온 경우가 많다.
  13. 화살표 방향이 로프를 타고 내려가는 방향이다.
  14. 실총 모델은 게임에 등장하는 소총 기술 스킬북중 하나인 '고급 탕탕탕'에 리엔필드라고 언급되어 있다.
  15. 재장전 시 장전하는 탄약이 4발 이하일 시 한발 씩 약실에 넣어서 장전하고, 5발 이상일 경우 소총 클립을 사용하여 한 번에 5발씩 장전한다.
  16. 장전 도중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면 장전을 중단하고 즉시 사격할 수 있다.
  17. 물론, 게임내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인 탓에 들고다니는 것이 심적으로는 든든하긴 하겠지만 단순 호신용으로 쓰기엔 무기 특성이 좋지 않다. 적대적인 동물에게 발각된 다음 조준을 하면 오히려 동물들이 덤벼들고, 사격을 한다 해도 동물들이 이를 무시하고 달겨든다. 차라리, 섬광탄의 경우 발각된 다음에도 적대적인 동물들을 쫒아 낼 수 있기에 차라리 섬광탄을 쓰거나 상위 호환인 신호탄을 발견하면 이걸 가지고 다니는 것이 여러모로 낫다.다만, 신호탄은 총 이상으로 정말정말 더럽게 안나온다.
  18. 다만 지근거리에서 머리, 특히 미간 & 정수리를 정확히 노린다면 1방에도 잡을 수 있다. 심지어 활로도...
  19. 라이플 청소 키트 하나면 거의 총을 100% 수리 가능한데다, 나중에 청소 경험치가 올라가면 반 정도만 써도 충분히 수리가 가능하다. 총알 갯수는 일반적으로 100발~ 150발 정도 습득이 가능한데, 어느정도 여유를 두어 총알을 200발 정도 얻는다 쳐도 이 총알을 전부 쐈을때 내구도 하락은 최대 400%이다. 즉, 라이플 청소 키트 5개 면, 10% 이하의 내구도를 가진 총을 습득해도 모든 맵에 있는 총알을 전부 다 총 내구도가 50% 이상인 상태에서 쏠 수 있다는 것. 따라서 완벽히 수리한 총 1정과 새 라이플 청소 키트 4개가 모인 이후로 얻어지는 총과 라이플 청소 키트는 무게만 차지하게 된다.
  20. 이는 총의 내구도가 낮을 수록 자주 발생하게 된다.
  21. 한 발씩 주워모아서 아이템이 박스 형태가 아니라 낱개로 존재하는 경우 한발씩 장전하게 되기 때문에 장전시간이 오래 걸리는데, 총알 박스를 1셋 보유한 상태에서 나머지 낱개의 총알을 보관함 등에 넣었다가 꺼내면 모두 총알박스모양에 담겨 다음 부터는 5발씩 한번에 장전할 수 있다.
  22. 항상 책상이나 선반등 밑에 빈공간이 있는 가구가 있으면 귀찮더라도 몸을 한번 수그려 살펴보는 것이 좋다. 후반 생존에 가면 1발로 곰 한마리를 치명타 내서 잡는다는 가정하에 1발 = 약 30kg의 곰고기 = 약33,000kcal(요리스킬 만렙 조리시) 의 가치가 있다! 하루를 활동적으로 지내면 약 3천 칼로리가 소모되는데, 총알 한발에서 최대한 가성비를 뽑아내면 하루를 곰잡는데 쓴다 치더라도 열흘을 넘게 생존 가능한 셈. 보존 식품이 떨어진 순간 부터 사냥감에게 위험 부담 없이 식량 공급이 가능한 날짜는 총알 수 x 5일 정도라고 보면 된다.(매번 곰잡기는 힘드므로...)
  23. v302 스토커 난이도 기준으로 모든 지역을 다 털면 90~120발 이내로 습득 가능하다.
  24. 스토리모드 트레일러에서도 그렇고 상당히 긴 장궁정도의 활로 보인다. 사실 실제 단풍나무 묘목은 과거 중세시대의 영국군이 장궁을 만드는 목재로 많이 사용했던 나무이다.
  25. 단, 다가오는 방향의 전방에서 대기하면 주인공이 다시 뺏어간다고 착각한건지 닥돌한다. 꼭 늑대가 다가오는 측면 방향에서 대기하자.
  26. 부러진 화살은 분해 시 5분을 소모하고 Arrowhead(화살촉)1개와 Crow Feather(까마귀 깃털) 2개를 얻는다, 온전한 화살과 단지 까마귀 깃털 1개의 차이니 반드시 부러지기 전에 분해 해야 할 정도는 아니다.
  27. 이 확률은 숙련도의 수치마다 다르다.
  28. 무게가 0.02kg으로 50개를 들고 다닌다 해도 1kg이다...
  29. 최소 공배수인 6개 단위로 제작하면 깔끔하게 만들 수 있다
  30. 낚시 바늘과 낚싯줄은 작업대나 낚시터 근처에 간혹 발견은 되지만 드랍율은 기대하지 않는게 좋다
  31. 잘려나간 꼬리날개 앞쪽의 시체에 가끔 한발이 더 들어 있기도 하며, 이 외에도 몇몇 장소에서 상당히 낮은 확률로 한 발씩 발견된다.
  32. 가끔, 헤드샷을 넣으면 신호탄이 머리에 박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버그 때문인지 출혈상으로 죽는다.
  33. 단, 이미 공격을 시작한 늑대의 경우 안먹히는 경우도 종종 있고, 플레이어를 인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써도 무시 당하는 경우도 있으니 완전히 이것에 의지한채 맨몸으로 돌아다니는 것은 위험하다. 응급처치를 위한 최소한의 의약품과 피난처 확보는 필수.
  34.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엄청난 속도로 달려서 금방 쫓아온다
  35. 버그를 이용해서 내구도를 회복 시키는 방법도 있다. 신호탄 총알의 경우 내구도가 낮은 것이 우선순위로 장전이 되는데, 이걸 액션 창에 들어가서 장전된 탄환을 꺼내면 내구도가 100%로 회복된다.
  36. v.321에서 조작 버튼이 왼쪽 버튼에서 오른쪽 버튼으로 변경되었다.
  37. 처음 스타트시 불가사의 호수에서는 야영지 사무소 폐허지역에서는 등대나 리켄호 기쁨의 계곡에서는 농장주변을 잘찾다보면 나온다.
  38. 하단의 설명처럼 기름통이 있다면 그 기름통에 바로 저장이 되며 다른 랜턴이 있다면 그 랜턴에 기름을 바로 채운다.
  39. 최대 용량은 1L로 좌측 상단의 바를 보며 남은 연료를 확일할수 있다.
  40. 사실상 이 게임의 입문자들이 가장 하기 쉬운 실수이다. 그리고 어느정도 숙련이 되었다 하더라도 번거롭게 랜턴을 꺼줘야 하기 때문에 매우 귀찮다.
  41. v.321 패치이후 모닥불에서 횃불을 만들 수 없게 됐다.
  42. 참고로 횃불의 내구도가 거의 다 되면 땅에 떨어뜨린 후 (단축키 : H) 여분의 횃불을 꺼내들어 (단축키 : 1) 불을 옮겨 붙여 점화 도구를 절약할 수 있다. 3.25 패치 이후 버그인지 땅에 떨어트린 횃불로는 횃불점화가 되지 않는다. 349 버전에서는 다시 가능해 진것을 확인함.
  43. v.321에서 조작 버튼이 왼쪽 버튼에서 오른쪽 버튼으로 변경되었다.
  44. 아궁이 따위에 불을 땔 때에, 불을 헤치거나 끌어내거나 거두어 넣거나 하는 데 쓰는 가느스름한 막대기
  45. 이전에는 모닥불에서 횃불을 생산하면 작은 횃불이 아닌 수제 횃불을 만들수 있었다.
  46. 모닥불의 유지 시간이 10분 이상되어야 생산이 가능하다. 화면 우측 아래에 만드는 버튼이 생기게 되니 참고
  47. 생존에 매우매우 중요하다. 이게 없으면 옷을 수리 할수가 없고 옷을 수리 할수 없게 되면 야외로 나갈수가 없게 된다... 낚시 도구로 대체할수 있으나, 이쪽은 고철 1개를 소비하는데다가 1회당 내구도 10%를 필요로 하며 설상가상으로 바느질 키트보다 수리 시간이 증가한다. 100~150일 정도 생존할때는 잘 모르겠지만, 300일 넘어가기 시작하면 필요성이 뼈저리게 느껴지는 물품이다.
  48. 물론, 최대한 사용량을 자제 하면서 생존했으면 남아 있을 수 있다. 그래도, 300일 넘어가기 시작하면...많이 부족해진다.
  49. 야외로 분류되지만 실내의 특성을 띄는 구간(동굴, 낚시터, 산림감시소 등등)에서도 사용이 불가능 하다.
  50. 그러나 휴대용 점화기보다 나타나는 빈도 수가 극한으로 적고 크기도 작으며 특정 장소에서만 랜덤으로 찾을 수 있기에 찾기 매우 어려운 아이템 중 하나이다. 단, 일단 찾으면 초장기 생존에 필요한 점화도구 걱정이 없어진다.
  51. 맨손으로도 가능한 것들도 있지만 부술때 손도끼가 필요한 경우가 더 많으니 꼭 챙기자. 못쓰는 침낭이나 베개의 경우는 사냥용 칼로 찢어 천을 얻을 수 있다.
  52. 3.25패치로 분해시의 나뭇가지 개수가 2개에서 3개로 증가하였다
  53. 이제 사냥총과 손도끼는 수리 도구가 따로 존재한다.
  54. 참고로 불의 지속 시간은 최대 11시간 59분이다. 그 이후엔 아무리 연료를 넣어도 시간이 늘어나지 않으니 주의하자.
  55. 전나무 또는 향나무 재생 시간과 거의 비슷하며, 폐허쪽의 탄광은 조금 더 적게 나온다.
  56. 성냥은 생각보다 많이 남으며, 성냥 종류에 상관 없이 횃불은 100% 점화된다.
  57. 정확히는 무한이 아니지만, 이 게임이 질릴 때(...) 까지 플레이 하기에는 카터 댐에 있는 철들만 전부 분해해도 충분하다.
  58. v.321업데이트로 간단한 도구는 언제든 만들 수 있게 추가된 기능이다.
  59. 실제로 원주민들은 이끼를 비상식량으로 먹었다. 평범한 풀맛이 나고 실제로 상처를 소독하는데 썼다고 한다. 물론 소독하는 방식도 게임이랑 똑같은데 상처 부위에 올려놓고 붕대로 감아놓으면 상처가 잘 아문다고 한다.
  60. 리터당 알약 한개.
  61. 맨손으로도 억지로 열 수는 있지만 요리 레벨이 3레벨 미만이면 내용물을 흘리게 된다.
  62. 3번키를 눌러 빠르게 미끼를 내려놓을 수 있다. 구운 고기를 잘 활용해보자.
  63. 현재 가장 칼로리가 많고 무게도 고기류의 무게에 비해 상당히 효율적인 음식으로 가끔씩 숲초소나 방공호, 비행기 꼬리부분에서 볼수가 있다.
  64. 원래 그냥 Grape Soda(포도 탄산음료)였는데, 유튜버인 stacyplays가 이 음료수랑 같이 이 게임의 스크린샷을 사진으로 트윗하면서 홍보해주자, 제작자가 헌정하는 의미로 그녀의 이름을 따서 개명하였다. 실제 스테이시의 이름을 딴 거라고 제작자가 직접 트윗.
  65. 차갑던 따뜻하던 마시면 즉시 일정수준의 피로도가 줄어들고 피로도 상승을 지연시키기 때문에 장거리 여행을 할때 좋다. 희망없는 구조에서는 생명과도 같은 음료. 이게 없으면 팀버울프산 등산 난이도가 수직상승하여 시간이 많이 걸린다.
  66. 아쉽게도 커피와 다르게 피로도가 바로 줄어들지 않지만 따뜻하게 데워서 마시면 숙면효과를 부여한다. 4시간을 잘 때 까지 절대 없어지지 않으며, 수면 시 체력 리젠량을 늘려준다. 4시간 수면 시 추가 13%의 이득을 볼 수 있다. 챌린지에서는 처음에 죽어가는 상태로 시작하는 사냥감 파트1에서 좀 활용도가 있는 정도. 아니면 희망없는 구조에서 산을 잘못 타고 내려와 크게 다친다든지....
  67. 추가로 이 아이템을 수집할 때 그래픽 모드를 최하로 설정하면 장식용 풀들이 사라져 좀더 쉽게 찾을 수 있다.
  68. 주로 피해 형태에 따른 부위의 의류가 손상이된다. 예를 들어 높은 곳에서 실족하면 양말과 신발의 손상도가 커진다.
  69. fleece에는 양모라는 뜻도 있지만 합성 섬유의 이름이기도 한데 능력치로 봐서는 후자 인 듯 하다.
  70. 곰 가죽 침낭 역시 비슷한 효과가 있다.
  71. 한가지 장점은 있는데 다른 장갑들에 비해 내구도 감소가 느리다. 대신, 천 하나를 소모해서 수리되는 내구도가 25%라 지속적으로 수리하며 사용하기엔 비효율적인 편. 내구도가 높은 것을 얻으면 비교적 따뜻한 시간대에 보조용 장갑으로 사용하며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