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dth=100 소속구단 | |||
60px | |||
라미고 몽키스 (Lamigo monkeys) | 중신 브라더스 (Chinatrust Brothers) | 푸방 가디언즈 (Fubon Guardians) | 유니 라이온스 (Uni Lions) |
과거에 참가했던 구단 보기 ▶ |
엠블럼[1] | |
라미고 몽키스 | |
Lamigo Monkeys | |
정식명칭 | Lamigo桃猿 |
창단 | 2003년 12월 27일 |
연고지 | 타오위안 |
구단 연고지 변천 | 가오슝 (2004~2010) 타오위안 (2011~) |
구단명 변천 | 라뉴 베어스 (2004~2010) 라미고 몽키스 (2011~) |
모기업 | 라뉴 그룹 (La New Corporation) |
감독 | 훙이충 (洪一中) |
홈 구장 | 타오위안 국제야구장 |
킷 스폰서 | 언더 아머 |
역대 타이완 시리즈 우승 (4회) | 2006, 2012, 2014, 2015 |
역대 시즌 우승 (8회) | 2006(전기/후기), 2007(후기), 2008(후기), 2011(후기), 2012(후기), 2014(전기), 2015(전기) |
공식 홈페이지 |
1 소개
대만프로야구의 프로야구단. 연고지는 타오위안. 라미고 몽키즈의 중국어 정식 명칭 Lamigo桃猿은 연고지 타오위안의 "타오(桃)"와 원숭이를 뜻하는 "위엔(猿)"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명칭이다. 연고지인 타오위안의 한자는 桃園으로 발음이 같은 원숭이의 의미를 지닌 猿을 활용하여 팀명으로 정하였다.
구단의 주요선수로는 떠오르는 대만 야구의 신성 왕보롱이 있다. 구단 레전드는 LA 다저스에서도 뛴바 있는 첸진펑이 있다. 첸진펑은 2016년 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하였다. 린즈셩 역시 라미고 몽키스 출신이지만 CPBL 최초로 FA이적을 성사시키며 중산 슝디 엘리펀츠로 이적하였다.
2 역사
라뉴 베어스 |
La New熊 / La New Bears |
대만프로야구의 흑역사인 검은 독수리 사건이 벌어지게 되고 대만 프로야구의 인기와 더불어 타이완 메이저리그의 인기가 떨어지자 양대리그는 합병하기로 확정 지었다.
2002년 TML의 타이베이 타이양과 가오핑 레이공이 디이 진강으로 합병 후 CPBL에 합류하였다. 2003년 대만의 라뉴 그룹이 인수한후 라뉴 베어스(La New熊, La New Bears)로 개명했고 2011년 연고지를 가오슝 시에서 타오위안 현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라미고 몽키즈라는 이름으로 개명했다.
최근 4시즌 중 3시즌(2012, 2014, 2015) 우승으로 신흥 강호로 떠올랐다. 2015년 대만시리즈에서도 중신슝디 브라더스와 7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우승을 차지하여 2년 연속으로 대만 프로야구 챔피언에 등극했다. 특히 마지막 7차전의 승리는 선발인 외국인 투수 패트릭 미쉬가 대만시리즈 사상 최초의 노히트노런 기록을 세우면서 더욱 큰 의미를 갖게되었다.
3 홈구장
라미고 몽키스 | |
타오위안 국제야구장 | |
개장일 | 2009년 12월 12일 |
소재지 | 타오위안시 중리구 (桃園市中壢區領航北路1段1號) |
홈구단 | 라미고 몽키스 |
소속구단 변천 | 라미고 몽키스(2011~) |
크기 | 좌측폴대 - 100.6m 중앙펜스 - 121.92m 우측폴대 - 100.6m |
관중 | 20,000명 |
홈구장은 타오위안 국제야구장을 사용하고 있다.
1루와 3루 모두 홈팀 응원단상이 있고 치어리더들이 모두 무대에 올라선다. 응원단장은 경기 내내 1, 3루를 오가며 응원을 하고 경기 중간 중간에 치어리더도 1루와 3루를 번갈아가며 올라선다. 원정 응원은 우측 외야에서 이루어진다.
평소 경기에서는 좌측 외야석과 2층 내야석을 통제하고 우측 외야석과 1층 내야석에만 관중을 출입시킨다.
4 기타
- 롯데 자이언츠에서 선발 투수로 3년 간 활약한 쉐인 유먼이 2011년에 이 팀에서 뛰었다. 2014년엔 2012년에 삼성 라이온즈에서 활약했던 선발 투수 미치 탈보트가 거쳐 갔다. 우연찮게도 이 두 명은 2015년 한화 이글스와 계약해 한솥밥을 먹게 되었다. 2012년 아시아 시리즈에서 삼성을 상대로 완봉승을 가져갔던 마이크 로리도 2014년에 KT 위즈에서 뛰었다.2013년 SK 와이번스에서 활약한 크리스 세든도 2015년 잠시나마
짤막한 춤판과 더불어뛰었다가 국내복귀를 하게 되었다. 그리고 LG에서 뛰던 코리 리오단이 세든 대신에 영입되었다. 2016년 현재 미치 탈보트가 뛰고 있으며 쉐인 유먼은 시즌 초 퇴출되었다.
- 팀 치어리더인 '라미걸스'(LamiGirls)가 제법 유명하다. 대만에서는 아이돌 가수 그룹에 준하는 인기를 누리고 있을 정도.
이런거(...)도 만들었다.
- ↑ 킹왕짱 쎄보이는 엠블럼은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 진것이고 이 로고가 창단때부터 쭉 사용되어 지고 있다. 실제로 마스코트나 용품들에는 이 귀여운 로고가 더 많이 쓰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