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 채프먼

이름레이 채프먼(Ray Chapman)
출생~사망1891년 1월 15일~1920년 8월 17일
출신지미국 켄터키
포지션유격수
투타우투우타
프로 입단1912년 클리블랜드 냅스 입단
소속 팀클리블랜드 냅스(1912~1920)

1 개요

前 MLB의 야구선수. 역대 야구선수 중 유일하게 몸에 맞는 공으로 인해 사망한 선수이다.

2 프로 시절

1912년 클리블랜드에 입단한 그는 빠른 발과 뛰어난 작전 수행 능력으로 천재라고 불릴 정도로 뛰어난 야구 선수였다. 1917년 67개의 번트를 대며 한 시즌 최다 신기록을 썼고, 1980년까지 팀 최다 기록이었던 52개의 도루를 기록했다. 1918년엔 아메리칸 리그 득점과 도루 부문 1위에 올랐다.

1920년 캐서린 데일리라는 여성과 결혼하였다. 결혼 후 가정 생활에 더욱 충실하기 위해 은퇴를 고려할 정도였다고. 그러나 은퇴하기 전, 그의 선수 생활은 끝나버리고 만다.

3 사망

1920년 8월 16일, 뉴욕 양키스와의 경기에서 5회초 선두 타자로 들어선 레이 채프먼은 볼카운트 1-1의 상황에서 투수 칼 메이슨의 공에 왼쪽 관자놀이를 강타당했다. 당시엔 헬멧의 착용이 의무화되어 있지 않아 충격은 더욱 컸고, 머리를 맞고 튄 공이 투수 앞까지 굴러갔다고 한다.[1] 피를 흘리며 쓰러진 채프먼은 즉시 뉴욕 병원으로 후송되었지만 결국 12시간 후 사망했다. 야구 역사상 전무후무한 몸에 맞는 볼로 인한 사망 사고였다.

현장에서는 겁쟁이들이나 쓰는 거라며 무시당한 야구 헬멧을 의무화하자는 목소리가 커졌다. 그러나 의무화하지는 않고, 필요한 선수들만 쓰는 정도였다가 16년 후 미치 코크란이라는 선수가 머리에 공을 맞고 선수 은퇴를 하는 일이 발생해서야 헬멧 착용이 의무화되었다.

또한, 스핏볼이 금지되었다. 칼 메이슨이 채프먼을 맞춘 공이 바로 스핏볼.[2] 공이 워낙 변화무쌍하다보니 타자를 맞출 위험이 있다 해서 완전히 금지되었고, 이후로도 변형된 부정투구들도 함께 금지되는 계기가 되었다. 거기다 경기 중 공이 더러워지면 타자가 볼 수 없으니 손상된 공은 심판이 즉시 교체해줘야 한다는 규칙이 신설되었다.

채프먼의 사망 이후 클리블랜드 선수들은 그를 추모하는 뜻으로 검은색 팔 밴드를 착용하고 경기에 임했다. 채프먼의 빈 자리를 메꾼 유격수는 당시 신인이었던 조 슈얼. 조 슈얼은 훗날 베테랑 위원회를 통해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에 오르게 된다.

이후 당시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홈 구장인 리그 파크엔 그를 추모하는 명판이 걸렸다. 명판 맨 밑에는 "He lives in the Hearts at all who knew him."(그는 그를 아는 모두의 가슴 속에 살아 있습니다.)라는 문구가 적혀있었다. 클리블랜드가 홈 구장을 옮기며 클리블랜드 스타디움으로 명판이 옮겨졌지만, 모종의 이유로 명판이 사라졌다. 그리고 사라진 명판은 2007년 프로그레시브 필드의 창고 청소 중 발견되었다. 몇 년 동안 창고에 박혀있어서 녹이 슬고 글자를 알아보기 힘든 수준으로 변질된지라 일부 보수 작업을 한 끝에 다시 프로그레시브 필드에 걸리게 되었다.

2006년 클리블랜드 명예의 전당에 추대되었다.

4 기타

채프먼의 머리를 맞춘 투수 칼 메이슨은 역대급 언더핸드 투수였다. 20승 이상 기록한 시즌이 5차례로 통산 202승 126패 ERA 2.62를 기록했다. 역대 메이저리그 투수 중 38위로 평가될 만큼 뛰어난 투수였지만, 이 사건때문에 명예의 전당 후보에도 오르지 못했다.

채프먼은 메이저 통산 334개의 번트를 기록했다. 역대 6위에 해당하는 기록.

타이 콥이 자신과 친구로 여겼던 몇 안되는 선수 중 하나였다.

월터 존슨에게 2구 삼진을 당하기도 했는데, 존슨에게 스트라이크 두 개를 허용한 이후 존슨의 공이 너무 빨라 도저히 칠 수 없다고 생각해 심판에게 '나머지 볼 카운트는 알아서 해 달라.'라는 말만 남긴 채 더그아웃으로 돌아가버렸기 때문이다. 참고로 타자가 타석을 벗어나면 패널티로 스트라이크를 부여하는 규정이 존재하기는 한다.
  1. 당시 정신이 없었던 투수 칼 메이슨은 공을 보고 투수 앞 땅볼인 줄 알고 1루로 송구했다고.
  2. 칼 메이슨이 스핏볼을 주력으로 하기는 했지만 이때의 공은 속구라는 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