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월드/건강

1 개요

림월드는 전체 체력이 아닌 부위별 체력이 구현되어 있다. 몸통(Torso)부터 손가락 한 개의 체력까지 전부 존재한다. 각 부위별로 부상이 생길 경우 해당 부위를 사용하는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며 해당 부위가 없어질 경우 부상당하거나 사망할 수 있다. 또한 주민들이 나이가 듦에 따라서 노화로 인한 질병을 얻을 수 있는데, 백내장(Cataract)과 허리 질환(Bad back), 동맥 경화(Artery Blockage) 등이 있다. 알파 13엔 심근경색도 생겼는데, 재빨리 병동으로 옮겨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수시간내로 바로 사망할 수 있다. 발생시 붉은색 경고 알림까지 오는 심각한 질병이므로 주의하자.

2 신체상태

림월드에는 기본적으로 신체의 컨디션을나타내는 11개의 상태창이있다. 수치에따라 작업속도, 이동속도, 항체생성속도따위에 영향을미치며
신체부위의 상태에따라 결정된다.

상태명캐릭터타입신체부위비고
고통모든생명체x신체에 부상을입을경우 수치가 상승한다. 이 수치가 올라가면 기분이 나빠지며
일정수치에 도달할 경우 쇼크상태에 빠지게된다. (마조히스트 특성을 지닌 경우 오히려 기분이 좋아진다.)
의식모든생명체캐릭터의 거의 대부분의 작업에 관여한다. 가장 중요한 상태이며
뇌가 손상되면 회복할 수 없으므로 조심해야한다.
처리능력모든 메카노이드인공두뇌의식과 같지만 메카노이드에게만 있는 상태이다. 딱히 다를건없다.
시력모든캐릭터눈, 광학센서전반적인 작업과 전투시 명중률에 크게 관여한다.
청각모든캐릭터귀, 청각센서거래가격에 관여한다.
이동모든캐릭터다리, 발, 척추이름 그대로 심플하게 캐릭터의 이동속도에 관여한다.
조작모든지성체팔, 손, 척추사교관련작업을 제외한 모든 작업에 관여한다[1]
대화사람턱, 목모든 사교작업에 관여한다.
식사모든생명체위, 턱식사 속도에 관여한다. 턱이 박살나면 한끼를 먹는데 엄청난 시간이 걸린다.
호흡모든생명체관여하는 능력치는 없으나 왠지 호흡이 낮아지면 빨리 지치고 자려는 경향이 있다. 호흡이 0%가될경우 당연히 죽는다.
혈액여과모든생명체신장, 간항체 생성속도에 관여한다. 모드로 혈액여과수치를 올리는
신체부위를 사용할경우 치료받지않고도 스스로 회복하는
불사신을 볼 수 있다.
혈액순환모든생명체심장휴식효율에 관여한다. 혈액순환이 높으면 하루 3시간만 자고 일하는 거주민을 볼 수 있다.
신진대사모든생명체맥주를 마신후 취기가 빨리빠지는정도이다 간이좋으면 맥주를아무리마셔도 취하지않는걸 볼 수 있다.

3 신체부위

각 부위별로 체력이 모두 각각 계산된다. 전투 시 특정 부분을 조준사격하지는 않아서 어디가 맞을지는 랜덤. 그래도 아무래도 몸통이나 팔다리 등 크고 노출된 곳에 맞을 확률이 높긴 하다. 완전히 파괴된 부위는 절대 자연적으로 회복되지 않는다. 파괴되어도 거의 상관이 없는 부위도 있는 반면 파괴 시 즉사하거나 캐릭터가 이후 못써먹을 폐인이 되는 부위도 있다.

  • 몸 전체(Whole body) - 다른 부위와 별개로, 몸 전체의 건강을 의미한다. 체력은 없으며 부위 상관 없이 피해가 적용된다.
  • 머리(Head) - 체력 30. 파괴될 시 사망.
    • 두개골(Skull) - 체력 30. 머리 속에 위치함. 파괴될 시 사망.
      • 뇌(Brain) - 체력 10. 두개골 속에 위치함. 파괴될 시 사망. 일단 뇌에 맞으면 치료할 수 없으며 바로 영구적인 부상으로 남게 된다. 의식 수치가 현저히 떨어져서 모든 활동 속도가 현저히 느려지므로 정상적인 활동이 불가능하다. 약간 손상만 되도 하루에 밥 먹고 들어가서 자는 걸 겨우 할 수 있을 정도이며 크게 손상되면 평생 일어나지 못하는 식물인간이 된다. 바닐라에선 뇌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으니 주민이 뇌에 맞아서 빌빌거린다면 냉동기에 넣거나 구속해서 포로로 팔자. 싫다면 의학관련 모드를 추가 설치하는 수 밖에 없다.
    • 눈(Eye) - 체력 10. 머리의 부위, 두 개 있음. 파괴될 시 시력 손실(각각 50%). 한 쪽만 파괴되어도 명중률이 처참하게 낮아져서 전투원으로 써먹기가 힘들다. 생체공학 눈으로 대체시 명중률이 더 좋아진다.
    • 귀(Ear) - 체력 10. 머리의 부위, 두 개 있음. 파괴될 시 청력 손실(각각 50%).
    • 코(Nose) - 체력 10. 머리의 부위. 후각에 영향을 미치지만 현재까지 후각은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는다.
    • 턱(Jaw) - 체력 20. 머리의 부위. 음식 섭취와 말하는 것에 영향을 준다. 파괴될 시 음식을 섭취할 수 없기에 재료만 있으면 대체 가능한 틀니(Denture)를 달 수 있다.[2]
  • 목(Neck) - 체력 30. 호흡, 음식 섭취, 말하는 것에 영향을 주며 파괴될 시 사망한다.
  • 몸통(Torso) - 체력 40. 모든 부위가 이어져있는 곳이며 중요 장기들이 속에 위치한다. 파괴되면 사망. 나이가 들면 허리 질환(Bad back)이 생겨서 움직임과 조작에 영향을 준다.
    • 척추(Spine) - 체력 35. 몸통 안에 위치한다. 이동과 조작에 영향을 주며 파괴되면 식물인간 상태가 된다.
    • 갈비뼈(Rib) - 체력 15. 몸통 안에 있으며 12개가 존재. 내부 장기를 보호해준다.
    • 복장뼈(Sternum) - 체력 25. 몸통 안에 한 개가 있으며 내부 장기를 보호해준다.
    • 심장(Heart) - 체력 20. 장기 이식, 적출 가능 몸통 안에 위치한다. 혈액 순환을 담당한다. 파괴될 시 사망. 영구적 손상을 입는 경우가 많은데 이식하지 않으면 치료할 수 없다. 한 개 존재하므로 장기 적출 시 무조건 사망한다.
    • 폐(Lung) - 체력 20. 장기 이식, 적출 가능 몸통 안에 두 개가 존재하며 호흡을 담당한다. 각각 50%의 효율을 담당하며 두 개 모두 파괴될 시 사망. 한 개가 파괴되어도 다른 사람에게서 적출하거나 구매하여 이식할 수 있다.
    • 위(Stomach) - 체력 20. 몸통 안에 한 개가 존재하며 음식 섭취를 담당한다. 파괴되면 음식을 섭취할 수는 있으나 음식 수치가 올라가진 않는다. 대체 장기 없음.
    • 신장(Kidney) - 체력 20. 장기 이식, 적출 가능 몸통 안에 두 개가 존재하며 혈액 여과를 담당한다. 질병항체 생성에 영향주므로 파괴되었으면 즉각즉각 바꿔주자. 각각 50%의 효율을 담당하며 두 개 모두 파괴될 시 사망. 한 개가 파괴되어도 다른 사람에게서 적출하거나 구매하여 이식할 수 있다.[3]
    • 간(Liver) - 체력 20?. 장기 이식, 적출 가능 몸통 안에 위치한다. 혈액 여과와 신진 대사를 담당한다. 파괴될 시 사망. 한 개 존재하므로 장기 적출 시 무조건 사망한다. 심장이 더 비싸서 장기적출을 할 경우 심장을 뽑는 게 이득이다. 간혹가다 행상들이 간을 팔 때 살 수는 있지만, 파괴되었을 경우는 사망하고, 간에 대한 질병은 없어서 굳이 아직까지는 전혀 살 필요가 없는 장기.
    • 빗장뼈(Clavicle) - 체력 25. 몸통 안에 두 개가 존재하며 파괴될 시 해당하는 쪽의 팔을 사용할 수 없다. 대체 인공물이 없으므로 어깨와 함께 파괴되면 굉장히 곤란한 부위. 단, 한쪽 쇄골이 부서져도 같은 방향에 생체공학 팔을 붙이면 이상하게 조작에 +20%는 적용된다.
    • 골반(Pelvis) - 체력 25. 몸통 안에 한 개가 존재한다. 파괴되면 아예 움직일 수 없기에 중요하지만 아직까지도 대체 인공물이 없다.
  • 어깨(Shoulder) - 체력 25. 몸통의 부위이며 두 개가 존재한다. 파괴될 시 해당하는 쪽의 팔을 사용할 수 없다. 생체공학팔이 어깨까지 포함하면서 어깨가 부서져도 대체물이 있어 나아진 부위.
    • 팔(Arm) - 체력 30. 어깨에 달려있으며 두 개가 존재한다. 손과 연결되어 있으며 파괴되면 조작 능력을 상실한다. 둘 다 파괴될 경우 움직일 수만 있을 뿐 그 어떤 행동도 할 수 없다. 일반 팔에 비해 능력이 떨어지는 일반 의수(Simple prosthetic arm)와 팔보다 능력이 더 높은 바이오닉 팔(Bionic arm)로 대체할 수 있다. 둘 다 팔에 달린 모든 부위들을 대체한다.
      • 위팔뼈(Humerus) - 체력 25. 팔 안에 있으며 팔마다 각각 한 개씩 있다. 파괴되면 팔의 능력을 상실한다.
      • 노뼈(Radius) - 체력 20. 팔 안에 있으며 팔마다 각각 한 개씩 있다. 파괴되면 팔의 능력을 상실한다.
      • 손(Hand) - 체력 20. 팔에 연결되어 있다. 손가락과 연결되어 있으며 파괴되면 해당 팔의 조작 능력을 상실한다. 대체물은 사이더칼과 강화손톱이 있는데, 사이더칼이 강화발톱에 비해 더 높은 데미지를 갖고 있는데 비해 능률이 20%로 없는 것과 다를바 없어지므로 개조시 주의. 강화손톱은 조작 능력은 미세하게 감소하고 근접전투력이 올라간다.
      • 손가락(Finger) - 체력 7. 손에 연결되어 있다. 한 손마다 다섯 개가 있으며 각각 조작 능력의 10%를 담당한다. 모두 파괴되면 해당 손의 조작 능력을 상실한다. 손가락 하나 날아갈 때부터 운반부터 시작해서 조작에 영향을 받기 시작한다. 도축효율이나 수술확률, 치료품질 등에는 크게 영향을 받아서 속도만 떨어지는 작업들은 그럭저럭 버틸만 하지만 확률이나 %에 영향을 받는 작업들에는 배치하기가 꺼려진다. 손가락이 하나라도 날아가면 차라리 세 손가락의 강화발톱의 효율이 좀더 낫다.
  • 다리(Leg) - 체력 30. 몸통에 연결되어 있으며 두 개가 존재한다. 팔과는 다르게 한쪽이라도 파괴되면 움직일 수 없게 된다. 대체물로 효율이 매우 떨어지지만 목재만 있으면 만들 수 있고 움직일 수는 있는 나무 의족(Peg leg)[4], 효율이 어느 정도는 되는 일반 의족(Simple prosthetic leg), 효율이 높은 바이오닉 다리(Bionic leg)가 있다. 셋 다 다리와 연결된 모든 부위들을 대체한다.
    • 정강이뼈(Tibia) - 체력 25. 다리 안에 있으며 다리마다 각각 한 개씩 있다. 한쪽이라도 파괴되면 움직일 수 없다.
    • 대퇴골(Femur) - 체력 25. 다리 안에 있으며 다리마다 각각 한 개씩 있다. 한쪽이라도 파괴되면 움직일 수 없다.
    • 발(Foot) - 체력 20. 다리에 연결되어 있다. 발가락과 연결되어 있으며 다리와 다르게 한쪽이 파괴되더라도 움직일 수는 있으나 이동 속도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그래도 발이 하나 없으면 이동속도가 50%지만 목발을 달면 60%이므로 아무리 못해도 목발을 달아주자. 여유가 생기면 의족과 생체다리도 좋고.
      • 발가락(Toe) - 체력 7. 발에 연결되어 있다. 발마다 다섯 개가 있으며 각각 이동 속도의 10%를 담당한다. 모두 파괴되면 발이 파괴된 것과 효과가 동일하다. 한 개쯤은 잘려도 살만하다.

4 부상과 치료

알파 6부터 신체 각부위의 부상이 구현되면서 침대가 죄수용 외에 의료용으로 지정하는 것으로 세분화되었으며, 다친 상처를 치료하지 않으면 상처가 악화되고 출혈이 일어나 병세가 심각해진다. 각 부상에 따라 봉합했다던가 붕대를 묶었다는 등의 텍스트를 볼 수 있다.

알파 6에선 눈이나 뇌에 총상을 입거나, 다리나 손이 잘려나가는 등의[5] 치명상은 회복시킬 수단과 방법이 구현되지 않았었고, 이렇게 심각한 부상을 입은 캐릭터는 버리는 수밖에 없었다. 알파 7부터는 기존의 무쓸모했던 의료품을 이용해 각종 수술이 가능해졌다.

상태창의 건강(Health)란, 수술(Operations)탭에서 개척민에게 시술할 수술을 결정할 수 있으며, 부상으로 잃은 부위를 바이오닉 신체나 의족과 같은 장치로 교체하거나, 감염이 심각한 부위를 절단하거나, 손상당한 장기를 이식하는 등 다양한 시술이 가능하다. 다만 아직 어깨를 당하면 팔을 달 수 없다던가, 각부분의 오래된 총상(Old gunshot)따위나 나이가 들어 허리 질환 등 해결할 수 없는 사안들이 있다.

하지만 이런 일반적인 시술 외에도 산 사람의 장기를 떼어내는 시술이 가능해졌으며, 이제 레이더들은 무기와 장비를 뜯기고 노예로 부려지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장기까지 뽑혀나가는 지옥도를 보게 됐다(...). 장기 적출 시술 역시 의약품이 필요하며, 콩팥처럼 두 개씩 달려있는 장기는 하나 정도 적출해도 죽지는 않는다. 즉 레이더 포로를 하나 잡으면 폐 적출 + 콩팥 적출 + 노예 판매(또는 심장적출)로 이전보다 더 많은 자금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알파 7까지는 포로의 장기를 적출해서 죽여도 무드 변화가 생기지 않았으나 알파 8부터는 포로 장기 적출 + 포로 처형이라는 이중 디버프가 생김으로서 밸런스가 조정되었다. 물론 거주민 능력치를 직접 세팅하는 모드를 설치했다면 식인, 사이코패스, 피에 굶주림 3단 콤보로 살인에 미친 식인종군단을 꾸려도 무방하다.

결손 부위는 인공물로 대체가 가능하며, 초반에는 단순한 의족이나 틀니 정도를 이식할 수 있지만, 게임이 어느정도 진행된 이후에는 특수 상인(Exotic goods trader)이 판매하는 다양한 인공장기를 삽입할 수 있다. 바이오닉(Bionic) 신체의 경우 기본가격이 천 실버가 넘어갈 만큼 가격이 높으나 일반인의 신체보다 더 뛰어난 성능을 자랑한다. 가령 바이오닉 눈의 경우 시야가 넓어지고, 팔의 경우는 작업 효율이 증가하며, 다리의 경우 이동속도가 빨라지는 식. 또한 바이오닉 신체에 맞았을 경우엔 고통 수치가 높아지지 않는다.

인공 신체 이식할때 참고할점은, 손이 파괴(cut off)되었을때는 인공손이 존재하지 않기때문에 강화발톱을 사용하거나 간단한 의수 또는 생체공학 팔로 바꾸면된다.

주의할 점 중 하나로는 강화 발톱과 생체공학 팔은 공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생체공학 팔은 팔 전체를 대신하고 강화 발톱은 손을 대신하기 때문.

절단할 수 없는 부위에 일어난 질병이나 상처부위의 감염이 너무 심해서 손쓸 방도가 없을 때 최후의 선택으로 동면캡슐에 넣거나, 안락사(Euthanize)가 가능하다. 안락사는 의약품이 소모되지만 사망시 무드 패널티가 적다.

알파 9 업데이트로 이제 수술 실패 가능성이 생겼다. 수술 성공률은 의사의 치료 스킬과 의약품 등급에 따라 달라진다. 수술에 실패할 경우 이식하려던 장기가 있다면 소실되며 주변 넓은 범위가 손상되고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다. 생체공학 장기가 소실된다면 굉장히 뼈아프다. 풀피에서 치료한다면 보통 죽지는 않는데 피가 까인 상태에서 치료한다면 죽기 쉽다. 적어도 의학 10 이상의 전문가에게 맡기는게 리스크가 적다. 또한 알파 9 부터 적대적이지 않은 파벌의 부상자를 치료할 수 있다.

4.1 감염

전투로 부상을 입은 거주민을 방치해두거나 치료품질이 좋지 못한경우 상처에 감염이 일어나며, 신경 안써서 치료를 소홀히 하면 결국 증세가 악화되어 사망한다. 전투 자체로 사망하기보단 감염으로 사망하는 거주민이 더 많을 정도.

감염[6]은 항체가 100%가 되면 치유된다. 항체 생성률은 건강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민마다 회복력이 약간씩 다르긴하지만 아무 약 없이, 또는 약 하나만으로 감염에 대한 항체가 100%될 때까지 버티기는 절대 불가능하다. 항체는 자연적으로 발달하지만 감염의 진행은 항체의 생성보다 압도적으로 빠르기 때문이다. 약을 투여하면 치료품질에 따라 다르게 일정시간 치료효과가 생기는데, 이 때 감염 진행이 늦어지고 항체를 생성할 시간을 벌 수 있다. 꼭 살리고 싶은 환자라면 노란 경고가 뜨자마자 찾아서 치료명령을 내리고, 항상 건강탭을 체크해서 치료효과의 남은 지속시간을 유심히보고 제깍 다시 치료해주자. 항체진행 80%정도에 심각함 문구가 처음 떴다면 살았다고 봐도 좋다.

항체생성속도에 직접 관여하는건 환자의 혈액순환 능력과 약품의 성능, 의료침대, 생체 신호 스캐너이다. 뒤의 둘은 높은티어 연구를 요구하므로 당장 마련하긴 힘들지만, 의료침대는 상인이 판매하는 경우가 종종있다. 끔찍한 품질의 의료침대도 없는것과는 비교도 할 수없는 항체생성 효율을 보이므로 목숨값이라 생각하고 하나정돈 구해두자.

만일 항체생성속도가 늦어서 치료를 하더라도 버틸 수 없을 것 같으면 수술을 통해 해당 부위를 잘라내는 수밖에 없다. 보통 심각한이 떴는데 항체가 50% 이하거나 극심한이 떴는데 80% 이하라면 치료 실패라고 간주하고 수술을 준비해야한다. 손가락, 발가락 정도면 감당할만 하지만 주요 내부장기나 팔이나 다리를 잘라야 한다면 이후 패널티가 뼈아프고 몸통이나 목 등은 수술 자체가 불가능하니 주의하자. 수술이 성공할 시 바로 치료된다.

파일을 뜯어본 결과 감염도 항체와 마찬가지로 0%에서 시작해 100%에 이르면 사망으로 판정하는 방식이다. 인게임에선 minor(가벼운)->major(심각한)->extreme(극심한) 순으로만 표기되기 때문에 자칫 간과할 수 있으나 50%를 초과해서 진행되어야 심각한 단계로 이행되므로 가벼운 상태가 가벼운게 결코 아니다.

치료하면 이 수치의 상승이 둔화되고, 항체가 생성되면 역으로 감소하기 시작한다! 고로 감염 진행도가 '극심함' 으로 나타나도 그 옆에 듬직한 '항체 생성됨' 문구가 떠있다면 바로 작업에 투입해도 된다. 물론 높은 고통이나 낮은 의식으로 인한 무드감소, 능률저하등 패널티는 질병이 완전히 제거될때까지 지속된다.

5 상태이상

알파 7부터 말라리아나 역병과 같은 질병이 구현되었다. 기존에 존재하던 감염 이벤트와 비슷하지만 질병은 상처와 무관하게 발생하고[7] 몇몇 질병은 약을 쓸 수 없는 등 차별화되었다. 질병에 걸린다고 바로 고꾸라져 쓰러지는 것은 아니나, 지속적인 요양과 치료가 필요하다. 당연히 의약품과 일손이 부족한 초반에는 심각한 위험이 될 수 있다. 질병은 의약품을 사용한다고 바로 완치되지 않으며, 일정 시간이 지나 신체가 면역능력을 향상시켜 질병을 극복하는 식으로 시스템이 구현되어 있다. 다만 한번 질병에 걸렸다고 나중에 해당 질병에 다시 안 걸리지는 않는다(...). 질병 발병 정도는 minor(가벼운)->major(심각한)->extreme(극심한) 순으로 나눠지는데, extreme 상태에선 옆에 severe disease라고 경고 창이 나타나며 이 지경에 이르러서도 항체생성률이 90%를 넘지 못했다면 미리 관이나 짜야한다(...) 보통 질병이 심각해질 수록 의식이 낮아지고 고통 수치가 증가하며 결국 의식불명에 빠진다. 위기를 넘겨 항체가 생성되면 다시 천천히 발병 정도가 낮아지고 낫게 된다.

기본적으로 질병은 중립 사건으로 일어나며 특정 지역에선 특정 질병의 발병 확률이 증가한다. 시스템 특성상 사건 규모는 후반으로 가면 갈수록 커져서 한 2~3년 차에는 아무리 깨끗해도 주민 4~5명이 한꺼번에 질병 걸리는게 일상이다.

5.1 랜덤 상태이상

불특정 다수의 거주민이 걸리는 질병. 죄수들도 동일하게 걸린다.

  • 학질(Malaria) : 열대우림, 온대림에서만 발생. 건조 관목림이나 사막에선 이 병에 걸리지 않는다. 말라리-블럭으로 예방할 수 있으나 약효가 5일밖에 안간다.
  • 독감(Flu) : 온도와 관련있는 병으로 추정되는데, 특히 추운 지방에서 걸릴 확률이 높다고 한다.
  • 역병(Plague): 보통 한번에 1~2명 정도 적은 수의 주민이 걸리지만 치료기간이 독감보다 길어 의료품이 순식간에 빠져나가서 번거롭다. 한번에 4명까지 동시에 걸리기도 한다. 항체생성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일반약 세네개로는 상당히 아슬아슬하다. 많은 인원이 동시에 걸렸는데 최상급 약이 없다면 몇명은 죽을 각오를 해야한다.
  • 수면병(Sleeping Sickness) : 열대우림에서 발생. 치료 기간이 매우 길다는 특징이 있다.
  • 근기생충(Muscle Parasites) : 장기간 치료를 받으면 사라진다. 통증과 피로도 증가를 유발한다.
  • 장기생충(Gut Worms) : 근기생충과 마찬가지로 통증을 주며 이쪽은 허기가 증가한다.
  • 섬유질 메카나이트(Fibrous Mechanites) : 통증을 유발하는 대신 이동과 조작에 버프를 준다! 마조히스트 웃는 소리가 들린다 매우 오랜 시간이 흐르면 자동으로 사라진다.
  • 감각기 메카나이트(Sensory Mechanites) : 대화와 청력에 버프를 준다는 점을 빼면 섬유질 메카나이트와 동일하다.

5.2 노화에 의한 상태이상

나이가 많은 거주민들과 동물들이 랜덤하게 얻는 질병. 고령의 거주민을 기피하게 되는 원인이기도 하다. 심근경색과 백내장은 이식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 심근경색 : 색이 금색의 심근경색과 빨간색의 심근경색 질병 두가지로 나뉘어져 있다. 이 심근경색의 경우 노화로 얻는게 대부분이며 낮은 정도로 그냥 혈액순환만 약해지는 정도이지만 이 심근경색의 경우는 심근경색이 있든 없든 갑자기 불쑥 튀어나와서 한순간에 심각한 질병으로 발전한다. 짧은 시간내에 사망하므로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 이때 이 심근경색의 경우는 심근경색은 치료가 확률적으로 이뤄진다. 반면 이 심근경색의 경우도 심각할 경우 치료는 이뤄지지만 가벼움이하로는 내려가지 않는다.
  • 요통(Bad Back) : 조작 및 이동이 느려진다. 치료가 불가능하다.
  • 백내장(Cataracts) : 시력이 약해진다. 치료가 불가능하다. 생체공학 눈을 통한 대체는 가능하다.
  • 치매(Dementia) : 의식, 대화, 청력을 감소시키며 가끔씩 정신 이상을 일으킨다. 치료가 불가능하다. 가장 답이 없는 질병.
  • 노쇠(Frail) : 조작 및 이동이 약해진다. 요통보다 심하며 치료가 불가능하다.

5.3 기타 원인에 의한 상태이상

  • 감염(Infection) : 다친 상처를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거나 잘 치료하지 못했을 경우 해당 부위에 발생한다. 약품으로 치료를 하면서 항체가 생기길 기다려야한다. 치료가 늦었거나 약품이 없다면 아무리 열심히 치료해도 높은 확률로 사망하므로 잘라내는게 낫다.
  • 출혈(Blood Loss) : 관통상이나 절단상을 입을 경우 발생. 심한 경우 방치하면 과다 출혈로 사망한다. 개척민이 한 명 뿐이거나 하는 이유로 방치할 수밖에 없는 경우 심하지 않다면 자연적으로 출혈이 멈추어 살 수 있다.
  • 동면병(Cryptosleep Sickness) : 장기간 동면 장치에 들어있었을 경우 걸린다.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회복된다.
  • 저체온증(Hypothermia) : 의류와 주민의 특성을 모두 합한 온도[8]보다 낮은 온도에 노출되면 발생하게 된다. 저체온증은 따뜻한 곳에 가면 자연적으로 회복되니 너무 오랜 기간동안 주민을 낮은 온도에 노출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 동상(Frostbite) : 저체온증 상태가 지속되면 걸리게 된다. 저체온증과는 다르게 직접적인 대미지를 받으며 치료가 필요하다. 심각해질시 신체 부위가 절단된다. 외상으로 취급되므로 감염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 열사병(Heatstroke) : 의류와 주민의 특성을 모두 합한 온도[9]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되면 발생하게 된다. 의류로 어느정도 방지 가능한 저체온증과는 다르게 피할 수 있는 방법이 냉방기가 설치된 실내로 피하는 방법밖에 없기 때문에 냉방 시설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래서 열대지방에서 극초반에 폭염이 뜨면 게임오버로 직결될 수도 있다. 바람막이와 카우보이모자를 착용하면 최대적응기온이 상승해서 조금 도움이 된다.
  • 화상(burns) : 너무 높은 온도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었거나 불이 옮겨붙으면 발생한다. 역시나 의약품을 통한 치료가 필요하다.
  • 식중독(Food poisoning) : 요리능력이 낮은요리사의 식사일수록 식중독의 발생 확률이 증가한다. 걸리면 의식수치가 낮아지고 길바닥에 토사물을 뿌린다. 금방 자연치유되지만 자주 걸려서 작업효율을 떨어뜨리는 주범.
  • 영양실조(Malnutrition) : 음식을 먹지 못할 경우 생긴다. 극심한 상태가 될 경우 쓰러지며 곧 죽게 되는데 치료법은 음식을 먹는 것 뿐. 사실 정상적으로 플레이해서 이게 뜨기 시작했다면 게임오버의 전주곡일 것이다.
  • 천식(Asthma) : 선천적으로 가지고 시작하는 캐릭터가 있다. 호흡 수치가 떨어진다. 치료만으로 완치는 불가능하고 7일 간격으로 치료를 하면 일상 생활에 지장은 없으나 치료를 하지 않으면 호흡 수치가 많이 낮아져 침대에서 일어나지 못한다. 폐를 이식해야 완치된다.[10]
  • 약물 중독 : 중독성 있는 약물을 복용시 일정확률로 약물에 중독된다. 이후 주기적으로 해당 약물을 복용해야 하며, 이를 끊게 된다면 금단현상이 발생하여 마이너스 무드를 받으며, 주기적으로 약물을 찾아 방황하게 된다. 복용하지 않고 시간이 지나게 된다면 금단현상은 사라지게 된다. 특징적인 약물로는 루시페륨이라는 약물을 복용하면 100%확률로 중독되며 금단현상이 발생한다면 미쳐 날뛰다 죽게된다.
  • 약물 과용 : 마약류 약물을 단기간에 너무 많이 쓰면 걸리는데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다. 보통 정신이상 발생으로 약물 과용시 이렇게 된다. 그래서 약물 과용 정신이상은 두들겨 패서라도 멈춰야 한다.

6 온도

알파 8에 추가된 시스템으로 주민들의 건강과 음식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다. 주민들은 너무 뜨겁거나 춥다면 무드 하락이 발생하며 이 상태 그대로 잠을 자면 추가적인 무드 하락이 발생한다. 게다가 너무 덥거나 추우면 열사병과 저체온증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이 때문에 거주지는 냉난방기를 사용하여 일정한 온도로 맞춰 줄 필요가 있다. 아무 특성도 없고 옷또한 안 입었다고 가정할 시 적정 온도는 32에서 12도 사이이다.

온도는 식물의 생장에도 영향을 미치며 이는 곧 식량 문제와도 이어진다. 작물[11]은 상온에서 가장 잘 자라며 덥거나 추운 온도에서는 성장 속도가 느려지며 죽기까지 한다. 고열사막과 빙상이 지옥인 이유 그러므로 밤낮으로 날씨가 적당할 때는 바깥에서 농사를 지어도 되지만 그렇지 않다면 수경재배시설을 연구하여 실내에서 온도를 맞추고 길러야 한다.

식품은 상온에서 부패한다. 약 10도 이하에선 보관 기간이 늘어나고, 0도 이하에선 얼어서 영구 보존된다. 이 때문에 바로 길러 바로 섭취할 게 아니라면 냉동기를 사용해 냉동고를 건설하는 것은 필수이다. 추운 지방이나 겨울엔 추가적인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단순히 야외에 벽을 기준으로 지붕을 만들어 두면 냉동고로 사용할 수 있으니 참고.

시작하는 날짜는 직접 정할 수도 있지만 그냥 시작한다면 게임이 알아서 정해주니 온대림같은 지역은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다. 그렇지만 극한 지역에서 단 하나라도 수월하게 풀어나가기 위해서는 온도조절을 위해 계절을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다. 막장 플레이를 하고 싶다면 겨울에 빙하지에서 시작해보자(...). 음식 먹으러 나가면 동상크리, 안먹으면 영양실조 크리

온도는 모닥불과 난방기(Heater), 냉동기(Cooler)를 이용해서 조절할 수 있다. 어떻게든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선 폐쇄된 방이 필요하니 방을 건설하는 것은 필수이다. 추운 지역에서는 급하다면 모닥불을 사용할 수 있지만 냉난방기를 사용한다면 가장 중요한 건 역시나 전력이다. 냉동기든 난방기든 전력이 상당히 많이 필요하니 전력에 신경을 쓰도록 하자. 온도 조절에서 그 다음으로 알아야 할 것은 실내와 실외의 차이이다. 실내 온도는 기본적으로 실외 온도에 영향을 받지만 온도 변화 속도가 실외보다 느리고, 문으로 연결된 옆 방의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 방이 너무 큰 경우엔 온도 조절이 힘들어지니 너무 큰 방을 만들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팁으로 큰 방을 난방하는 방법 중엔 간헐천이 있다. 간헐천은 자연적으로 뜨거운 열기를 내뿜기 때문에 난방에 매우 도움이 된다. 위에다 지열 발전기를 건설해도 난방 효과는 그대로 있으니 큰 방을 만든다면 간헐천 근처에 만드는 것을 고려해보자. 단 간혈천을 너무 작은방안에 가두면 1000도씨가 넘어가면서 자연적으로 불이 붙으니 조심

또한 냉동기는 남은 열을 바로 옆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난방에도 사용할 수도 있다. 여름과 겨울이 일정하여 여름엔 냉동기를 사용해야 하는 지역이라면 이 방법은 오히려 낭비이나 툰드라같이 평균 기온이 낮은 지역에선 충분히 사용가능하다. 난방하는데 참고하자.

온도 표시법은 환경설정에서 맞춤콘솔 아래에 있는 선택바에서 바꿀 수 있다. 섭씨(Celsius('C)), 화씨(Fahrenheit('F)), 절대온도(Kelvin(K))를 지원한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림월드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모드로 효율을 극대화시키면 머팔로 한마리에서 1500의 고기를 뽑아내기도 한다.
  2. 언재부터인지는 알 수 없으나 알파15에서는 턱이 파괴되어도 음식을 먹을수는 있다 다른 림들보다 3배정도 시간이 더 걸려서 그렇지
  3. 참고로 현실에서 이식 신장은 원래 기존 신장과 다른 위치에 이식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게임상에서는 기존 신장이랑 바꿔끼우는 것처럼 되어있다.
  4. 포로가 난동을 부리는 것이 싫을 경우 멀쩡한 다리에 목발 이식-해체를 해서 다리를 잘라버리는 방법이 있다. 이러면 걸을 수 없으므로 전혀 위협이 되지 않지만 의약품 2개가 소모되고 포섭을 할 포로라면 포섭 이후에 멀쩡한 다리를 쓸데없이 잃는 문제가 생긴다. 잘 고민해야한다.
  5. Shot off, Cut off, old Gunshot, Crushed, Destroyed 같은 단어로 표기된다.
  6. 상처에 의해서 일어나는 감염은 해당되나, 손이 잘린다던지 하는 물리적인 손실 자체는 제외
  7. 습격을 타박상 하나없이 막아도 다음날 거주민 3명이 질병으로 눕는 상황이 일어나기도 한다.
  8. minimum comfortable temperature. 자세한 건 주민 정보 창에서 확인할 수 있다.
  9. maximum comfortable temperature. 자세한 건 주민 정보 창에서 확인할 수 있다.
  10. 참고로 현실에서 천식이 있다고 폐를 이식하는 일은 없다. 천식은 폐보다는 기관지의 문제이다.
  11. 나무를 포함한 대부분의 식용 식물. 특정 온도에서도 잘 성장하는 식물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