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 슈피겔만

27467_100001042963970_4433_n.jpg

의 등장인물. (1917 - 2007)

2zi80ee.jpg

생전의 모습[1]

블라덱 슈피겔만의 후처. 이 사람 역시 아우슈비츠의 생존자[2]로, 아냐의 옛 친구. 하지만 블라덱과 달리 큰 정신적 문제는 없다…블라덱한테만 들들 볶이지 않으면.

아냐가 자살한 후 슈피겔만 가문의 일을 돌봐주다가 둘 다 나이든 독신인 것도 있고, 경제적인 이유도 있고 해서[3] 블라덱과 재혼한다. 그러나 노랭이인 블라덱은 (말라의 말에 따르면) 말라를 '하녀간호사, 내지는 더 심하게 취급'했고 생활비도 제대로 주지 않는다[4]. 심지어 결혼한 직후에 옷이 필요하다고 하니 아냐의 옷을 보여주며 "이게 다 당신거야"라고 했다고. 이 때 일찌감치 떠났어야 했다이웃들의 증언에 따르면 부부가 같이 슈퍼마켓을 갔는데 블라덱이 말라의 개인용품 값을 지불하려 하지 않아서 머리빗을 목록에서 지워야 했다고.

결국 히스테리가 조금씩 심해지다가[5], '숨통 좀 트려고' 미용실(동네 아줌마들 사교장으로서의 성격도 있었다.)에 너무 자주 가는 문제 등으로 작중에서 블라덱과 종종 싸운다. 나중에는 그의 재산을 갖고 튀는 등 막장짓을 한다.[6][7] 그래도 돈 욕심만으로 결혼한 것도 아닌지 결국엔 돌아와서 위독한 블라덱을 돕게 된다. 돌아가자마자 내가 왜 돌아왔는지 모르겠다며 후회하지만.[8] 블라덱 사후 한참 뒤인 2007년에 사망했다. 향년 90세.

아티와의 관계는 좋고 서로를 이해하는 편. 작가의 서문에 말라에게 감사한다는 글도 쓰여져 있다. 아티는 자기가 아버지한테 시달리면서 자라서인지 가출한 말라를 되려 이해한다는 식이다. 아내인 프랑소와즈가 '말라가 도망간 것 때문에 아버지 신경이 예민해지신 것 같다'고 하자 하는 말이 '그 반대야. 아버지가 너무 신경질적이라 말라가 도망간거지.' 말라도 예술을 쓸모없는 일로 평가 절하하는 블라덱과는 달리 지옥 혹성의 죄수를 비롯한 아티의 작업을 높이 평가하는 등 이해심 많은 모습을 보여준다. 말라 친척이 만화를 좋아하는 것 때문이기도 하고. 책 서문에 나오듯 (폴란드어로 추정되는) 자료들을 번역, 전달하여 아티를 돕기도. 그런데 정작 아티는 말라에 관한 이야기를 쓰지 않았다.[9]
  1. http://www.myspace.com/106932940/photos/978282#%7B%22ImageId%22%3A978282%7D
  2. 때문에 아티에게 블라덱의 생활에 대해 불평할 때 "나도 그렇고 주변 사람들도 아우슈비츠를 겪었지만 누구도 자네 아버지 같진 않아!"라고 단정짓는다. 장소가 장소이니만큼 실제로 경험해 본 장본인이 아니면 할 수 없는 얘기.
  3. 블라덱의 변호사 말에 따르면 돈 욕심이 있는 것 같다고. 물론 이 대사는 순전히 블라덱의 시점.
  4. 블라덱이 식료품과 같은 기본적인 생활비를 주지 않아 자신의 저금을 까먹기도 한다.
  5. 아티가 어머니 일기를 찾는 와중에 집을 어지르자 하나도 빼놓지 말고 본디 자리로 돌려두라고 빽 소리지른다. 안 그러면 끊임없는 잔소리를 듣게 된다나.
  6. 하지만 블라덱을 제외한 모든 이들은, 심지어 아들인 아티마저도 '그럴 만도 하지'라는 반응이었다.
  7. 이 때 아티는 아내에게 '난 두 사람이 대충 화해하고 다시 서로에게 불행을 안겨주길 바래.'라며, 후레자식 발언을 한다. 왜냐면 아버지와 같이 살기 싫어서...
  8. 아티의 후레자식 발언도 아마 이 지점을 의미하는 부분도 있을 것이다. 또한 말라는 저 얘기 외에도 "내가 어떻게 해야 하지? 날 꽉 붙잡던걸."이라고 이야기한다.
  9. 앞서 말했듯이 말라 역시 생존자였고, "쥐"에 대해서 의견을 많이 냈었다. 하지만 그녀의 이야기를 쓰지 않은 것은 어디까지나 주인공이 블라덱과 아냐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 아예 등장하지 않는건 아니고 지나가듯이 말라의 어머니를 빼돌린 에피소드가 언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