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흑역사/목록/언론
일제강점기에 발행된, 조선총독부의 기관지 중 일본어판인 경성일보와 영어판인 서울 프레스와 함께 발행된 조선어+일본어판 기관지였다. 오늘날 서울신문의 전신이자 암흑기.
이 신문의 전신은 양기탁, 어니스트 베델이 설립한 대한매일신보다. 1910년 8월 29일 경술국치가 일어나고 단 하루만에 동시에 총독부의 일본어판 기관지 경성일보에서 대한매일신보를 인수하여 제호에서 '대한'을 뺀 뒤 경성일보의 자매지로 재출범하여 1910년 8월 30일자부터 발행을 시작했다.
일제에게 강제로 인수합병된 신문사인데, 우선 대한매일신보의 발행인인 배델과 양기탁을 의도적으로 제거한 이후 약화된 상태에서 한일합방 이후 인수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일제가 국채보상운동 횡령 사건을 조작한 다음 배델과 양기탁의 위치를 흔들었고, 이후 배델은 일본과 영국의 비밀외교로 영국 영사관에서 체포되어 옥살이를 살았기 때문. 치외법권을 이용하여 가장 반일적인 논조를 가졌던 대한매일신보였던 만큼 일제에겐 큰 눈엣가시였다. 그리고 가장 큰 영향력을 가졌던 신문을 인수하여 이를 총독부 기관지로 바꾼 것도 일제.
1910년부터 1945년 11월까지 발행했다. 1945년 8월 해방 이후에 조선총독부가 해체되면서 좌익 계열 사원들이 자치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던 중 미군정과 충돌을 빚어[1] 그해 11월 10일 정간 명령이 내려지면서 '매일신보'라는 간판은 영영 사라졌다. 이후 속간되면서 제호가 서울신문으로 변경되었는데, 1959년에 대한매일신보와 매일신보로 이어지던 지령을 폐기하면서 앞선 두 신문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이것으로 끊어졌다. 현재 서울신문은 대한매일신보+서울신문의 지령을 사용한다.
흔히 조선, 동아일보의 창간, 폐간 전후로는 한글신문이 없었다고 알려져있고, 이 사실이 거짓이라는 말 또한 퍼져 있지만, 관점에 따라 전자와 후자 둘 다 옳은 말이다. 매일신보는 국한문(한문+한글)으로 작성되었고 약간의 일본어가 석여있었다. 따라서 "순한글로 작성된 신문"이란 기준으로는 한글신문이라 할 수 없으며, 단순히 한글이 쓰인 신문이라면 한글신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2].
윌리엄 셰익스피어와 그의 작품에 대해 직접적으로 처음 소개한 주요언론매체로 한동안 추정되어 왔었다.# 이후에 최초로 소개한 언론매체는 1906년에 소개한 조양보라는 잡지로 셰익스피어의 이름을 세이구스비아라고 소개했음이 밝혀졌다. 친일과는 상관없고 1907년까지 12권을 발행하고 폐간되어서 매일신보에 비해선 규모가 작은 매체. 그리고 이후 소년이란 잡지에서 1909년에 그나마 발음에 가깝게 쇠익쓰피여라고 소개했다. 소년이란 잡지도 1908년에서 1911년까지 23권을 끝으로 폐간되었으니 결국 매일신보가 최초는 아니다. 대형언론매체 중에서는 매일신보가 최초로 소개한 셈이긴 하지만.(애초에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은 막 창간되었던 때다.)
아무튼 셰익스피어에 대해 영국과 미국 이상의 수준의 열정으로 연구하고 추종하는 한국의 영문학자들도 흑역사로 여겼는지 개화기 혹은 광복 이후에 소개되었다고 하며 매일신보와 관련해서는 얼버무렸었다.(...)- ↑ 해방일보로 제호를 바꾸려다 저지당했다. 그러나 또다른 '해방일보'라는 신문사도 있는데, 이는 ?조선공산당 기관지. 이 '해방일보'는 1946년 5월,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에 연루되어 정간당했다.
- ↑ 다만 이 신문은 국한문 중에서도 한자가 많이 쓰인 편이기에, 국한문이 아니라 한문에 한글을 끼얹은 정도로 보는 시각도 있다.
- ↑ 하지만 비단 매일신보만 흑역사가 아니라 일제강점기 시대 셰익스피어 작품에 대해 연구하고 번역, 평론을 한 학자들 일부가 친일파로 활동하거나 또 다른 일부는 광복 이후 월북한 사실이다. 이들 학자들이 한국에서의 초창기 셰익스피어 문학 연구와 번역에 상당한 기여를 했음에도 명백한 흑역사이기에 학계에서는 함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