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국의 외지 | |||
외지 | 지역 | 시대 | 통치기관 |
화태(樺太) | 가라후토 ⒧ | 화태청 | |
조선(朝鮮) | 조센 | 총독부 | |
대만(臺灣) | 다이완 | 총독부 | |
남양(南洋) | 난요 | 남양청 | |
관동(關東) | 간토 | 관동청 | |
⑴ 가라후토는 1943년 이후 내지(內地, ないち, 본토)로 편입 |
일제강점기 한반도의 통치기관 | ||||||||||||
1905~1910 | 1910~1945 | |||||||||||
조선통감부 (朝鮮統監府) | 조선총독부 (朝鮮總督府) |
朝鮮總督府 / 中央廳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of Korea / The post of Governor-General of Korea
조선총독부 휘장 [1] Chosen은 Choose의 과거완료가 아니라 조선을 말한다. |
1 개요
일제강점기 시절에 일본이 한국에 설치한 식민지 통치 기관(총독부). 1910년에 설치되어 1945년 해체되었다. 또는 조선총독부의 청사 건물을 가리키기도 하는데, 흔히 알고 있는 청사 건물은 문민정부 시기 1995년 8월 15일 광복 50주년 기념식을 맞아 철거하는 행사를 치른 후, 1996년에 완전히 철거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조선총독부 청사항목 참조.
2 기관
합병 이후 대한제국을 조선이라 개칭한 일본은, 종래의 통감부를 대신할 목적으로 조선총독부를 설치하였다. 총독부는 총독 아래 5부 9국의 체제를 갖추고, 총독은 일본군 육군이나 해군 대장 출신 중에서 임명되며, 조선의 입법, 사법, 행정의 모든 정무를 총괄, 내각총리대신을 경유하여 덴노에게 상주, 재가를 받을 권리가 있었다. 조선 내의 육군과 해군의 통수권자이자 위임에 따라서 총독부령 및 명령, 그에 추가하는 벌칙을 내릴 수도 있었다. 내각총리대신 다음의 사실상 제2인자에 해당하던 직위.[2] 하지만 조선총독부는 덴노의 직속부로 내각총리대신의 지위를 받지 않았다. 즉 제국 안의 제국. 일본 의회에서 독립한 또 하나의 정부였던 셈이다.
다만, 1940년대에 들어서는 내외지행정일원화조치가 취해져 조선총독이 내지 주무 대신의 감독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초창기 총독부 청사는 남산에 있던 구 통감부 건물을 이어받아 사용했으며, 우리가 흔히 조선총독부로 알고 있는 건물은 1926년에 지어졌다. 남산의 총독부 청사는 6.25 전쟁 당시 소실되었고, 그 자리에는 서울애니메이션센터가 자리잡고 있다.
일제강점기가 끝나고, 우리나라가 더럽고 지저분한 최빈국으로 전락한 것은 조선총독부 책임이지만, 그것을 명령한 대본영의 책임도 크다.
여담으로, 일본 패망 이후 미군정에게 한반도의 전권을 넘겨주기 전[3]까지 그 역할을 계속했다. 하지만 총독이란 놈은 자기 재산만 쏙 빼서 조선에 남겨진 일본인들은 나몰라라 한 체 도망갔고, 그 이후로 자신들의 재산과 목숨을 지키고자 화폐를 미친듯이 발행했다. 이는 미군정기부터 한국전쟁기까지 한반도를 미칠듯한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빠지게 한다.
3 총독부 산하행정기구
- 총독부 설치 당초의 직제다.
- 사법부(司法部)
- 형사과(刑事課)
- 민사과(民事課)
- 서무과(庶務課)
- 농상공부(農商工部)
- 상공국(商工局)
- 산하 2과(課)
- 식산국(植産局)
- 산하 3과
- 서무과(庶務課)
- 상공국(商工局)
- 탁지부(度支部)
- 사계국(司計局)
- 산하 2과
- 사세국(司稅局)
- 산하 2과
- 세관공사과(稅關工事課)
- 서무과(庶務課)
- 사계국(司計局)
- 내무부(內務部)
- 학무국(學務局)
- 산하 2과
- 지방국(地方局)
- 산하 3과
- 서무과(庶務課)
- 학무국(學務局)
- 총무부(總務部)
- 회계국(會計局)
- 산하 2과
- 인사국(人事局)
- 외사국(外事局)
- 문서과(文書課)
- 회계국(會計局)
- 총독관방(總督官房)
- 비서과(秘書課)
- 무관(武官)
- 참사관(參事官)
- 각종학교(各種學校)
- 각 직할보통학교(直割普通學校)
- 관립고등여학교(官立外高等女學校)
- 관립실업학교(官立外實業學校)
- 관립외국어학교(官立外國語學校)
- 관립고등학교(官立高等學校)
- 관립사범학교(官立師範學校)
- 법학교(法學校)
- 성균관(成均館)
- 중학교(中學校)
- 공업전습소(工業傳習所)
- 사목회의(士木會議)
- 권업모범장(勸業模範場)
- 평양광업소(平壤鑛業所)
- 산하 2과
- 총독부 의원(醫院)
- 영림창(營林廠)
- 산하 2과
- 인쇄국(印刷局)
- 산하 2과
- 전매국(專賣局)
- 산하 3과
- 세관(稅關)
- 산하 5과
- 임시토지조사국(臨時土地調査局)
- 산하 3과
- 통신과(通信課)
- 산하 5과
- 철도국(鐵道局)
- 산하 8과
- 감옥(監獄)
- 재판소(裁判所)
- 고등법원(高等法院) → 공소원(控訴院) → 지방재판소(地方裁判所) → 구재판소(區裁判所)
- 각 검사국(檢事局)이 대응시설로 설치됨. 단 구재판소에 대응하는 것은 검사(檢事)
- 고등법원(高等法院) → 공소원(控訴院) → 지방재판소(地方裁判所) → 구재판소(區裁判所)
- 경무총감부(警務總監部)
- 산하 5과
- 직할경찰서(直割警察署, 경성 주재) → 경찰분서(警察分署)
- 경무부(警務部, 각 도별) → 경찰서 및 경찰업무를 대행하는 헌병분대(憲兵分隊)
- 각 도(道, 1관청官廳 2부部)
- 자혜의원(慈惠醫院)
- 군(郡) & 부(府) → 면(面)
- 취조국(取調局)
- 중추원(中樞院)
3.1 역대 조선 총독
역대 조선 총독은 모두 일본 육/해군 대장 계급의 장교들이었다. 특히 해군대장이었던 사이토 마코토 제독 1명을 제외한 전원이 육군 장군들이었다. 1919년 3.1운동을 무자비하게 진압한 여파로 일본 본토에서 '무력통치'에 대한 반발이 일었고 이후 정권이 바뀌면서 민간인인 문관 출신도 총독이 될 수 있도록 법령이 개정되었다. 실제로 3대 총독으로 문관을 고려하고 후보자까지 정했으나 일본 육군의 반대에 부딪쳐 결국 무산되었다. 겨우 타협점을 찾아서 선출된 인물이 사이토 마코토. 이마저도 해군 출신이란 이유로 반대가 극심했었다. 이후 일본 제국이 패망하는 그 날까지 단 한 번도 문관 출신이 총독으로 부임한 적이 없다. '문화통치'의 기만성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역사 연구에서 제도에만 천착하게 될 경우 범하기 쉬운 오류의 대표적인 예 중 하나. 이 점은 실제로 문관 출신 총독들이 부임하였던 타이완총독부와 구별된다.[4]
순서 | 총독 | 재임기간 | 설명 |
제1대 | 데라우치 마사타케 | 1910년 10월 1일 ~ 1916년 10월 14일 | 야마구치현 출신. 기존의 자신의 대한제국 통감 지위를 이어 받아, 조선의 입법·행정·군사권을 장악해 조선의 국권을 탈취하고, 초대 조선 총독으로서 무단 통치를 실시하였다. [5] |
제2대 | 하세가와 요시미치 | 1916년 10월 14일 ~ 1919년 8월 12일 | 야마구치현 출신. 3.1 운동을 무자비하게 진압하는 등 무단 통치로 비판을 받아, 토지 사업을 완료시켰는데도 불구하고 불과 3년만에 교체되었다. |
제3대 | 사이토 마코토 | 1919년 8월 12일 ~ 1927년 4월 4일 | 이와테현 출신. 형식상의 문화 통치 정책을 추진하여 기존의 강압적 통치에서 회유적 통치로 방향을 돌렸다. |
임시대리 | 우가키 가즈시게 | 1927년 5월 10일 ~ 1927년 9월 | 오카야마현 출신. 경제 개발 정책을 표방하면서 한국어 교육 시간을 대폭 축소시키는 등 민족 문화 말살 정책을 폈다. |
제4대 | 야마나시 한조 | 1927년 12월 ~ 1929년 8월 16일 | 가나가와현 출신. 부패한 "금권장군". 조선총독부의옥(朝鮮総督府疑獄)사건에 관련되어 사임하였다. 일설에서는 타이완에서 조명하가 일본 황족(국구) 구니노미야 구니히코[6]를 칼로 찔러 이로 인한 책임까지 겹쳤다는 말이 있다. |
제5대 | 사이토 마코토 | 1929년 8월 17일 ~ 1931년 6월 16일 | 이와테현 출신. 형식상의 문화 통치 정책을 추진하여 기존의 강압적 통치에서 회유적 통치로 방향을 돌렸다. |
제6대 | 우가키 가즈시게 | 1931년 6월 17일 ~ 1936년 8월 4일 | 오카야마현 출신. 경제 개발 정책을 표방하면서 한국어 교수 시간을 대폭 축소시키고 종교 단체를 어용으로 만드는 등 민족 문화 말살 정책을 폈다. |
제7대 | 미나미 지로 | 1936년 8월 5일 ~ 1942년 5월 28일 | 오이타현 출신. 내선일체 등을 주장하고, 지원병 제도를 실시해 강제징용으로 조선 청년들을 중일전쟁에 참전시켰으며, 일본어 사용, 창씨개명, 신사참배, 황국신민서사 암송 등의 민족 말살 정책을 강행하였다. 역대 조선 총독 중 가장 악랄하고 혹독한 통치를 한 사람. 패전 후, 극동국제군사재판에서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아 복역 중 건강 악화로 석방된 뒤 사망하였다. |
제8대 | 고이소 구니아키 | 1942년 5월 29일 ~ 1944년 7월 21일 | 도치기현 출신. 학도병제도를 실시하였다. 1944년 도조 히데키가 총리직에서 물러나고 총리가 되었다. 패전 후, 극동국제군사재판에서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아 복역 중 식도암으로 스가모 형무소에서 사망하였다. |
제9대 | 아베 노부유키 | 1944년 7월 22일 ~ 1945년 9월 28일 | 이시카와현 출신. 이 경우는 되려 총리 출신이 총독이 된 경우. 마지막 해의 전쟁 수행을 위한 물자와 인력의 수탈에 총력을 다하였다. 국민의용대를 편성하여 비협조적인 조선인에 대한 대규모 탄압과 검거를 자행하였다. 패전 후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 산케이 신문의 극우기자 구로다 가쓰히로는 <착한 일본인, 나쁜 일본인>이라는 책자를 통해 평소 지한파라는 자신의 껍데기 속의 혐한과 극우성향을 가득 드러내면서 이 인물을 두둔했다. 특히 아베 노부유키가 막판에 한국에 미안한 마음을 가졌다느니 헛소리로 옹호했으나, 한국에선 누구도 기억하지 못하며 알려지지도 않았다.[7] 해당 항목에 나와있듯이 오히려 이 놈이 저지른 마지막 업적은 해방 이후 지들의 철수 비용을 돈 찍어내기로 때우면서 하이퍼 인플레이션을 일으키고 도주한 일이다. 말 그대로 한반도 경제를 초토화시킨 일이니 마지막까지 한반도에 악행을 저지른 종자이다. 종전 후, A급 전범으로 체포되었지만 갑자기 무혐의로 풀려나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4 조선총독부 청사
조선총독부 건물을 일컫는다. 조선총독부 청사 참고- ↑ 휘장 가운데의 문장은 무로마치 막부 시대 이래로 사용된 오동나무 문장이다. 정확히는 고시치기리(五七桐). 도요토미 가문의 가몬으로도 사용되었고, 이 문장은 이후 대정봉환 후 일본 정부를 상징하는 도안으로 그대로 사용했다.
- ↑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궁중 의전상의 서열이 6위였다고 나온다. 대만 총독은 11위였다고.
- ↑ 약 한달정도이다. 8.15 광복, 9.9 미군정 시작.
- ↑ 대신 타이완 총독은 조선총독보다 의전상 서열도 낮았고, 형식적으로도 실질적으로도 총리의 지휘를 받았기 때문에 문관 출신이 임명될 수 있었던 것이다.
- ↑ 여담으로 이 자의 악행이 너무 부끄러웠던 아들은 중국 공산당의 스파이가 되었다는데 출처가 없다. 확인바람. 항목에 따르면 적어도 큰아들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아닌데? 큰아들인데? - ↑ 現 아키히토 덴노의 외할아버지.
- ↑ 그러나 바로 이 점 때문에 아베 노부유키가 기고만장해졌다. 조선에 살던 다른 일본인들은 귀향 도중에 각종 욕에 폭력을 당하는 것이 예사였는데 자기를 욕하지 않은 것을 보고 내가 한국인들에게 좋은 인상이었구나 식으로 단단히 착각하게 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