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딕(포트리스 포에버)/매치업

상위 항목: 메딕(포트리스 포에버)

이 항목은 포에버 메딕/매치업으로 들어올 수 있습니다.

1 개요

메딕의 1:1 전술

메딕은 주 공격형 병과로 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적과 맞서 싸워야 하는 병과이다. 그러나 메딕의 화력은 보통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고, 내구력도 그저 그런 편인 탓에 작정하고 높은 고화력/고체력 병과와 싸우면 메딕쪽이 불리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메딕은 빠른 이동속도와 수류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을 싸움에서 유리하게 만들어야 한다.

전투시에 파편 수류탄을 손에 쥔체[1] 강화 산탄총, 강화 못총으로 싸우다가 수류탄이 터질 시간이 되면 던져서 적을 처리하는 것이 메딕의 주 전투 방식이고, 수류탄을 미리 던지거나 메드킷으로 상대방을 감염상태로 만들어 상대방의 체력을 미리 깎아 놓아 싸움에서 우위를 점해야 한다.

메딕을 하면 더 강력한 화력을 지닌 방어군으로 부터 자주 죽을 수 밖에 없지만, 그대신 전장에 빠르게 투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충격 수류탄이 있으므로 죽을때마다 충격 수류탄 점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적군이 쉴세 없이 자주 공격하자.

1.1 vs 스카웃

스카웃의 내구력과 화력은 스카웃의 하위호환이다. 스카웃의 못총은 메딕의 강화 못총보다 피해량이 낮고, 펠리트 총은 메딕의 강화 산탄총보다 발사하는 탄환양이 적고, 무엇보다 메딕에게는 스카웃 따위 한방에 처리할 수 있는 파편 수류탄을 가지고 있다. 즉, 스카웃과 전투를 하면 변수가 없을 시 메딕이 무조건 이기게 된다.

그러나 스카웃쪽이 거리를 벌린다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는데, 스카웃은 메딕보다 더 빠른 탓에 맞추기 어렵고, 강화 산탄총은 펠리트 총보다 발사속도가 느린탓에 원거리에서는 오히려 펠리트 총이 더 유리할 수 있다. 물론 스카웃이 메딕을 잡을 수 있다는 뜻이 아니라 메딕이 스카웃을 저지하는데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의미이다. 어차피 메딕은 방어형 병과가 아니므로 스카웃을 잡는건 다른 방어형 병과에게 맡기는 것이 낫다.

1.2 vs 스나이퍼

메딕의 이동속도는 빠르기 때문에 스나이퍼는 메딕을 제대로 저격하지 못한다. 오히려 메딕이 충격 수류탄으로 스나이퍼의 저격 장소로 빠르게 이동해 스나이퍼를 쉽게 잡을 수 있다. 스나이퍼에게 접근하는데 성공했다면 수류탄 한방에 죽여버리거나 강화 산탄총을 몇방 쏴주면 스나이퍼는 죽게 된다.

단, 스나이퍼가 자신의 저격 소총을 충전하고 있던 도중이라면 메딕이 다가오자 마자 충전한 총을 그대로 메딕에게 쏴버리는 수가 있고, 스나이퍼 역시 파편 수류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무작정 스나이퍼에게 접근하지 말고 몸을 최대한 움직이면서 빠르게 처치하도록 하자.

1.3 vs 솔저

메딕의 주적.

솔저는 공격전이든 방어전이든 반드시 등장하는 병과이다. 따라서 깃발을 탈취하거나 운반하는 역할을 맡는 메딕입장에서 만날수 밖에 없는 적. 둘이서 정면에서 싸운다면 메딕이 무조건 불리한데, 메딕은 수류탄을 써야 높은 화력을 낼 수 있지만, 솔저는 수류탄 없이도 화력이 강력한 로켓 발사기가 있다. 거기에 솔저또한 메딕이 주력으로 사용하는 강화 산탄총, 파편 수류탄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로켓 발사기에 장전된 탄약이 없어도 메딕과 대등하게 싸울 수 있다. 게다가 체력과 방어구는 솔저가 더 높으니 당연히 내구력이 더 낮고, 화력도 더 약한 메딕이 불리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솔저를 제대로 상대하기 위해서는 수류탄이나 근접무기인 메드킷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파편 수류탄은 로켓 발사기보다 피해량이 높기 때문에 내구력 높은 솔저라도 상당히 위협적인 무기이고, 방어구가 좋아도 체력이 낮으면 쓸모가 없는 게임 특성상 메드킷을 통한 감염은 상당히 치명적이다. 무엇보다 메딕은 느림보 솔저에 비해 우월한 기동력을 자랑하므로 조작실력이 좋다면 솔저의 공격을 요리조리 피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열심히 싸워보자.

1.4 vs 데모맨

솔저와 마찬가지로 이쪽도 메딕의 주적이다. 데모맨도 솔저처럼 공격전, 방어전에 자주 등장하며, 깃발을 방어하는 것이 주 역할이다 보니 깃발을 탈취해야 하는 메딕 입장에서는 무시할 수 없는 존재다. 데모맨의 유탄/파이프 발사기는 수류탄 안 부러운 피해량과 확산범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매우 위협적이다. 데모맨을 제대로 공격하기 전에 유탄 몇방 맞거나 깔아놓은 파이프 폭탄에 다가가다 터져 죽는 것이 일상이다. 따라서 데모맨의 공격을 피하거나 아니면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 답.

그래도 데모맨은 화력이 무서울 뿐이지 기본적인 능력치는 그다지 좋지 않다. 데모맨과 메딕의 내구력을 비교하면 데모맨의 방어구가 20정도 높을 뿐이고, 이동속도는 평균보다 느리기 때문에 오히려 이동속도 좋은 메딕이 더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데모맨의 유탄/파이프 발사기 공격만 잘 피하면서 파편 수류탄으로 양념을 해주면 무난하게 상대할 수 있다. 어쨋든 깃발탈취에 주력을 둔다면 데모맨과 어쩔수 없이 마주칠 수 밖에 없으니 최대한 싸워보도록 하자.

1.5 vs 메딕

서로에게 참 짜증나는 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동속도가 빨라서 맞추기 어렵지, 메드킷 감염에도 면역인데다, 서로의 수류탄에 의해 순삭당할 위험도 있지... 결론적으로 파편 수류탄 먼저 맞춘 쪽이 유리하다고 보면 된다.

1.6 vs 헤비

메딕의 난적.

능력치부터 상대가 안된다. 헤비의 내구력은 메딕보다 압도적으로 높고, 주력 무기인 돌격 기관포는 메딕의 강화 못총의 2배정도 되는 화력을 자랑한다. 게다가 헤비의 무기는 죄다 히트스캔 방식이라 사정거리 내에 걸리면 피하기가 거의 불가능하고, 과압 방출을 통해 이동을 저지할 수 있으며, 둔화 수류탄을 활용해 이동속도를 느리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도망치는 것 조차 쉽지 않다. 상대한다면 정신을 바짝 차리도록 하자.

그러나 헤비의 기동력이 매우 떨어진다는 점을 활용하면 상대하는 것이 어렵지않다. 헤비는 기본 이동속도가 병과중에서 제일 느리면서 돌격 기관포를 발사하는 도중에는 그야말로 느림보가 되는데, 메딕의 빠른 이동속도를 활용하면 쉽게 피할 수 있다. 또한 헤비가 기관포를 돌리느라 느려지면 맞추기가 더 쉬워지기 때문에 강화 못총, 수류탄 등을 잘 맞출 수 있게된다. 무엇보다 메딕의 메드킷 감염 기능을 활용하면 헤비의 높은 방어구를 무의미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헤비에게 접근한다면 반드시 메드킷으로 감염상태로 만들어 손쉽게 상대할 수 있다.

1.7 vs 파이로

파이로가 죽고싶어서 화염 방사기를 들고 닥돌만 한다면 뒤로 달리면서 강화 못총을 쏘면 끝이지만 누가 그딴식으로 파이로를 운영하래?

사실 능력치와 화력만 보면 파이로가 훨씬 좋다. 내구력이야 말할것 없고, 화력도 화상피해를 통해 피해량을 증폭시킬 수 있는 파이로가 더 좋으며, 공격용 수류탄도 2가지를 가지고 있다. 메딕이 파이로에게 우수한 점은 이동속도가 빠르다는 점 뿐이지만 이 점을 잘 활용하면 파이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파이로의 화염 방사기는 사정거리가 짧고, 소이 캐논은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면서 연사력도 별로라 빠르게 이동하면 파이로의 공격은 가볍게 피해줄 수 있다. 그대신 절대 파이로에게 근접할 생각은 말자. 순식간에 불 붙어서 죽게된다.

1.8 vs 스파이

메딕과 스파이는 서로 같은 공격군이라 둘이서 서로 싸울일은 적다. 그러나 보통 메딕이 좀 더 유리한데, 메딕과 스파이의 체력, 방어구는 서로 같지만 이동속도는 메딕이 더 빠르고 메딕은 자가치료 기능이 있는 덕에 능력치 쪽으로 메딕이 더 좋다. 또한 메딕의 메드킷은 스파이를 확인하는데 매우 유용한 무기인데, 팀킬 설정이 활성화된 서버 일지라도 메드킷을 아군에게 사용할때 치료되면 아군, 감염상태에 걸려 초록색 입자가 보이면 변장한 적 스파이임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스파이가 투명화를 해도 감염을 나타내는 초록색 입자는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쉽게 처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스파이의 전투력은 무시할 수 없는데, 메딕처럼 강화 산탄총을 소지하고 있고, 파편 수류탄 역시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메딕과 전체적인 화력은 비슷하다. 게다가 멋모르고 스파이에게 접근하다가 스파이가 마취총을 쏴버리면 이동속도가 확 느려지고, 시야폭이 좁아져 스파이에게 우위를 점할 수 없게 되고, 스파이의 근접무기인 칼도 위협적이라 함부로 다가가다가 백스탭을 당해 일격에 죽을 위험이 있다. 따라서 절대 만만하게 봐서는 안될 적이다. 팀포2에서도 메딕이 스파이가 자신보다 약한 병과라고 우버톱들고 덤비다가 백스탭 맞는 경우가 생긴다.

1.9 vs 엔지니어

메딕의 진정한 적.

사실 엔지니어는 대부분의 병과가 적의 방어선에 침투하면 반드시 주의해야 할 적이지만, 깃발 탈취가 주 역할인 메딕 입장에선 특히나 가장 신경써서 상대해야 할 병과이다. 즉, 다른 병과는 다 무시하고 지나간다 해도 절대로 무시할 수 없는 병과이다. 센트리 건의 명중률은 100%이기 때문에 그대로 놔두면 센트리 건의 화력에 의해 죽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부숴야 한다.

사실 엔지니어와 센트리 건이 혼자 있는 상황이라면 상대하기가 굉장히 쉬운데 센트리 건의 사정거리 밖에서 강화 못총으로 센트리 건을 쉽게 부술 수 있으며, 움직이지 못하는 특성상 파편 수류탄이 잘 먹힌다. 엔지니어 자체도 약골인데 메딕과 엔지니어의 능력치를 비교하면 화력은 충전발사가 가능한 레일건과 공격용 수류탄이 2개인 엔지니어가 더 우세하지만, 엔지니어의 내구력은 그야말로 약골이라 파편 수류탄 하나 던져주면 한 방에 죽는다. 그러나 다른 방어형 병과가 엔지니어를 지켜준다면 센트리 건 사정거리 밖에서 자리잡다가 그 자리에서 다른 적에게 죽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과감하게 충격 수류탄으로 순식간에 근접 파편 수류탄으로 엔지니어를 한 방에 죽인 후 센트리 건을 빠르게 철거하는 것이 좋다. 센트리 건의 명중률은 100%이지만 적을 감지하고 몸을 회전하는 속도는 팀포2에 비해서 상당히 느리기 때문에 센트리 건의 주변을 빙글빙글 돌면서 쏴주는 것이 잘 통한다. 어쨋든 방어선에서 센트리 건을 짓는 엔지니어는 반드시 처치하도록 하자.
  1. F(기본)버튼을 꾹 누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