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에 30

메시에 천체 목록
M29
고니자리의 산개성단
M30
염소자리의 구상성단
M31
안드로메다 은하
안드로메다자리의 정상나선은하
M30
관측 정보
형태V형 구상성단
적경21h 40m 22.12s
적위–23° 10′ 47.5″
거리27,100광년
8,300파섹
별자리염소자리
겉보기 등급7.7등급
질량1.6x105M
반지름45광년
명칭M30
NGC 7099

1 개요

M30(Messier 30, NGC 7099)은 염소자리에 있는 구상성단이다. 1764년 샤를 메시에가 처음 발견하였다.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에 따르면 V형[1] 구상성단이다.

2 역사

1764년 8월 3일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가 처음 발견하였다. 그가 발견한 여러 구상성단처럼 별을 포함하지 않는 둥근 성운이란 기록과 함께 메시에 천체 목록에 등재된다. 1784년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이 별로 이루어진 성단이라고 입증하였다.

3 특징

M30은 지구에서 약 27,000광년 떨어져 있다. 시직경 12', 지름 약 90광년의 영역에 12개의 변광성을 포함, 수만개의 별들이 중력적으로 묶여있다. 약 129억년전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성단의 총 질량은 태양 질량의 약 16만배이다. 성단 내에서 가장 밝은 별은 적색거성으로 12.1등급의 겉보기 등급을 갖는다. 현재 182km/s의 속도로 지구와 가까워지고 있다.

M30은 우리은하 내부의 헤일로를 따라 역행하는 궤도를 갖는다. 따라서 우리은하 내에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우리은하의 위성은하였다가 우리은하에 흡수된 것으로 추측된다.

M30은 중심핵 붕괴[2][3] 과정을 겪으면서 성단의 질량이 중심부로 뭉쳐져 입방파섹당 수백만 태양 질량의 어마어마한 밀도를 갖게 되었다. 이 곳은 우리은하에서 가장 밀도가 높은 곳 중 하나다.

성단 내에서 왜신성(Dwarf nova)과 2개의 밀리초펄서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맑고 어두운 날에 쌍안경으로도 충분이 흐릿한 성단의 모습을 볼 수 있으며 4인치 이상의 망원경으로 주변의 밝은 별들을 볼 수 있다. 중구경 이상의 망원경으로 관측해야 중심부를 분해하여 볼 수 있다.

4 위치 및 찾는 방법


염소자리 제타(ζ) 동쪽으로 약 3° 떨어져 있다.

5 다른 메시에 천체 목록

메시에 천체 목록
M1 - M2 - M3 - M4 - M5 - M6 - M7 - M8 - M9 - M10 - M11 - M12 - M13 - M14 - M15 - M16 - M17
M18 - M19 - M20 - M21 - M22 - M23 - M24 - M25 - M26 - M27 - M28 - M29 - M30 - M31 - M32 -
M33 - M34 - M35 - M36 - M37 - M38 - M39 - M40 - M41 - M42 - M43 - M44 - M45 - M46 - M47 -
M48 - M49 - M50 - M51 - M52 - M53 - M54 - M55 - M56 - M57 - M58 - M59 - M60 - M61 - M62 -
M63 - M64 - M65 - M66 - M67 - M68 - M69 - M70 - M71 - M72 - M73 - M74 - M75 - M76 - M77 -
M78 - M79 - M80 - M81 - M82 - M83 - M84 - M85 - M86 - M87 - M88 - M89 - M90 - M91 - M92 -
M93 - M94 - M95 - M96 - M97 - M98 - M99 - M100 - M101 - M102 - M103 - M104 - M105 - M106
M107 - M108 - M109 - M110
  1. 중간 정도의 집중도
  2. 구상성단에 있는 거대한 별들 주위로 여러 동반성들이 생길 때 발생하는 과정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개의 별들이 중심핵으로 이동하게 된다.
  3. 우리은하에 있는 157개의 구상성단들 중에 21개의 구상성단이 이 과정을 겪으면서 중심부의 밀도가 높아졌다고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