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메가 성운

메시에 천체 목록
M16
수리 성운
뱀자리의 발광성운
M17
오메가 성운
궁수자리의 발광성운
M18
궁수자리의 산개성단
M17 오메가 성운
관측 정보
형태발광 성운
H II영역
적경18h 20m 26s
적위-16° 10′ 36″
거리5,500광년
1690pc
별자리궁수자리
겉보기 등급6.0등급
영역의 넓이15광년[1]
40광년[2]
질량800M
명칭M17
NGC 6618
오메가 성운
말굽 성운

1 개요

오메가 성운(Messier 17, M17, NGC 6618, 말굽 성운)은 궁수자리 에 있는 산개성단을 품고 있는 발광성운이자 전리수소영역이다. 성운의 모양이 그리스문자 오메가(Ω)와 비슷해서 오메가 성운이란 이름을 얻었다. 말굽 성운이란 이름도 역시 말의 발굽 모양과 닮았다 해서 얻게 되었다. 수리 성운오리온 대성운과 같이 새로운 별들이 생성되는 소위 '별들의 요람' 중 하나인 천체이다.

2 역사

1745-46년에 스위스의 천문학자 필립 로이 드 셰소가 발견하였다. 오메가 성운은 그의 기록에서 단 여섯개의 천체만 얻은 '성운이라고 제대로 불릴만한' 천체로 기록되었다. 필립 로이 드 셰소의 발견을 잘 알지 못했던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는 1764년 6월 3일 오메가 성운을 독자적으로 발견하였고 자신의 기록에 열 일곱번째 천체로 등재시켰다.

3 특징

대부분의 발광성운들이 그러하듯 오메가 성운도 특유의 붉은 빛을 내는데 이것은 성운을 이루는 수소가스가 성운 내부에서 생성된 별들에서 뿜어져 나오는 강한 방사능과 항성풍에 의해 전자가 날아간 '이온화'된 수소에서 나오는 수소선이 붉은 파장을 갖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전리수소영역을 참고할 것.
오메가 성운은 지구에서 5000-6000광년 떨어져 있다. 시직경은 11'이며 직경은 약 15광년, 질량은 태양질량의 800배이다. 그러나 성운 주변의 성간물질까지 따진다면 직경은 40광년, 질량은 3만 태양질량이 된다. 성운 내부의 산개성단은 수백개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부분 성간물질에 의해 가려져 있다. 이들 별에서 나오는 강한 항성풍과 방사선이 성운의 가스를 빛나게 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이들 별의 항성풍에 의해 가스들이 외부로 다 날아가버려 최종적으로는 산개성단만이 남게 될 것이다.

4 위치 및 찾는 방법

%EA%B6%81%EC%88%98%EC%9E%90%EB%A6%AC.jpg
오메가 성운은 우리은하 중심부 방향 근처의 거대한 은하수 사이에 자리하고 있다. 근처에는 많은 성운성단들이 존재한다. 그때문에 천체 사진에서 이 부근은 소위 '스테디셀러'인 위치이며 대부분의 은하수 사진에는 오메가 성운이 포함되어 있다.[3]
M17은 방패자리 감마에서 남서쪽으로 2° 이동하거나 M16에서 남쪽으로 2° 이동하여도 된다. 또는 M18에서 북쪽으로 1° 이동하여도 된다. 궁수자리 델타와 엡실론의 거리의 3배를 엡실론의 북북서쪽으로 연장하여도 나오게 된다. 다른 방법의 스타호핑법추가바람.

5 다른 메시에 천체 목록

메시에 천체 목록
M1 - M2 - M3 - M4 - M5 - M6 - M7 - M8 - M9 - M10 - M11 - M12 - M13 - M14 - M15 - M16 - M17
M18 - M19 - M20 - M21 - M22 - M23 - M24 - M25 - M26 - M27 - M28 - M29 - M30 - M31 - M32 -
M33 - M34 - M35 - M36 - M37 - M38 - M39 - M40 - M41 - M42 - M43 - M44 - M45 - M46 - M47 -
M48 - M49 - M50 - M51 - M52 - M53 - M54 - M55 - M56 - M57 - M58 - M59 - M60 - M61 - M62 -
M63 - M64 - M65 - M66 - M67 - M68 - M69 - M70 - M71 - M72 - M73 - M74 - M75 - M76 - M77 -
M78 - M79 - M80 - M81 - M82 - M83 - M84 - M85 - M86 - M87 - M88 - M89 - M90 - M91 - M92 -
M93 - M94 - M95 - M96 - M97 - M98 - M99 - M100 - M101 - M102 - M103 - M104 - M105 - M106
M107 - M108 - M109 - M110
  1. 성운만의 넓이
  2. 주변 성간물질까지 포함 했을때의 넓이
  3. 이 부근, 즉 궁수자리 방향의 은하수가 제일 두껍고 밝기 때문이다. 우리은하의 중심부 방향이니 당연하다면 당연한거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