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구정광대다라니경

無垢淨光大陀羅尼經

대한민국의 국보
National Treasures Of Korea
공식명칭한글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한자佛國寺 三層石塔 舍利莊嚴具
영어
분류번호국보 제126호
소재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 55
분류유물 / 불교공예/ 기타/ 기타
시설일괄
지정연도1967년 9월 16일
제작시기통일신라 시대, 751년(추정)

1 개요

김대성이 751년[1]불국사석가탑을 세우고 탑 속에 넣은 것으로 여겨지는 불경.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본이며 국보 126-6호이다. 현재 불교중앙박물관에 소장중이며 복제본이 국립중앙박물관국립경주박물관에 전시 중이다.

2 형태

너비 약 8㎝, 전체길이 폭 6.5∼6.7cm에 전체 길이 62cm인 두루마리에 1행 8∼9자의 다라니경이 적혀있다. 발견 당시 두루마리 중간까지 부식되고 산화되어 알아보지 못하는 부분이 있었는데 발굴후 20여 년 사이 부식이 심해지는 문제가 발생, 1988년에서 1989년 사이에 대대적인 보수작업이 이루어 졌다.

3 발견

300px
발견당시 사리구와 함께 발견됨함께 발견된 유물들

1966년 석가탑의 사리함을 노린 도굴[2] 로 석가탑이 손상을 입고 붕괴 위기에까지 몰리자 긴급하게 유지, 보수를 위해 해체 작업 중 석가탑 2층에서 사리구와 함께 발견되었다. 이 과정도 순탄치가 않았던게 2층 옥개석을 들어올리던 중 옥개석의 무게를 이기지 못한 나무지주가 부러지면서 옥개석이 땅바닥에 추락하는 사고가 났다.[3] 이러면서 2층 탑신 내부가 노출되어 그 안의 사리감이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4 논란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제작 시대는 대략 704년~751년 사이로 추정된다. 근거는 산스크리트어로 된 다라니경이 처음 중국에서 한자로 번역된 것이 704년이고 석가탑의 제작 시작이 751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쇄문화의 종주국을 자처하는 중국은 다라니경 내에서 확인되는 8자의 무주제자[4]를 근거로 들어 700년~704년 사이에 중국에서 만들어져 신라로 보내진 것을 탑에 안치한 것이라 주장하였고 일본은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정확한 제작연대가 불분명함을 들어 770년에 간행되어 일본에서 소장중인 백만탑다라니경이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일본은 백만탑다라니경이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이라고 자랑하다가 무구정광대라니경이 나오면서 콩라인이 되어버린 것.

이 논쟁에 더 불을 붙인게 무구정광대다라니경과 함께 발견된 석가탑 중수기문(1024년)이 2005년 판독되면서부터였다. 내용을 요약하자면 다른 기물들과 함께 무구정광다라니경 두루마리를 한권 안치했다.라는 것. 이런 논쟁에 대한 반박은 다음과 같다.

  • 무주제자에 사용에 의한 중국 제작설 및 제작연대 논란
무주제자의 사용은 중국 뿐만 아니라 통일신라부터 고려시대까지 다양한 문헌에서 발견되어 우리나라에서도 쓰였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종이 성분을 분석한 결과 중국의 닥종이가 아니라 전남 구례 화엄사 서탑에서 발견된 백지묵서경과 같은 재질로 판명되었다. 백지묵서경 역시 무구정광대다라니경과 같은 시대인 8세기의 서책인 만큼 신라의 종이로 신라에서 인쇄된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글자의 제작연대 판정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 서체의 변화인데, 이 부분 역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에 쓰인 정광이라는 글자의 서체가 경주 구황리 삼층석탑 사리함(706년 제작)에서 발견된 정광 글자의 서체와 동일하다. 즉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아울러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글자를 판독하면서 이 중 조(照)자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중국 측전무후의 이름인 무조(武照)에 쓰인 한자로 당대 황제의 이름자는 무조건 피휘하던 중국 전통상 만약 중국에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인쇄되었다면 경에 있는 조(照)자를 피휘해야 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아니면 만든 사람이 모가지를 걸고 썼든가.

  • 석가탑 중수기문 내용에 대한 논란
석가탑 중수기문에서 1024년 석가탑을 중수하면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안치했다는 내용이 적혀 있어 통일신라시대가 아닌 고려시대에 제작하여 탑에 넣은 것이 아닌가 하는 논란이 잠깐 있었으나 이는 아래의 사실로 반박된다.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통일신라시대 탑에서만 발견되며, 고려시대부터는 이것이 보협인다라니경으로 대체된다. 실제로 고려시대에 제작된 탑에서는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발견된 전례가 없다. 아울러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1007년 간행된 보협인다라니경과 비교시 글자의 인쇄상태가 나빠 전반적인 인쇄 기술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 보협인다라니경보다 앞선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확인된다.

결론적으로 석가탑 중수기문의 무구정광대다라니경 기사는 석가탑을 중수하면서 안에 안치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꺼냈다가 중수 완료 후 다시 집어넣었다고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5 관련 문서

  1. 통일신라 경덕왕 10년
  2. 썩을 도굴꾼들은 황룡사 목탑지의 사리장엄구도 도굴하였으며, 이후 수사로 황룡사 사리장엄구는 회수에 성공하였으나 사리와 사리함은 사라져 버린 후로 지금까지 문헌기록을 제외한 실물은 존재조차 확인되고 있지 않다.
  3. 나무 지주로 당시에 쓰이던 나무 전봇대를 가져다 썼는데 이 전봇대 중 하나가 속이 썩어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부러졌다. 도굴꾼들의 장비가 체인블럭과 유압잭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도굴꾼보다 국가기관의 장비가 후달렸던것.사실 도굴꾼들도 황룡사 목탑지 심초석을 들어낼 때 장비 그대로 가져왔다가 클라스가 다른 석가탑의 중량을 버티지 못했다. 당시 국가가 얼마나 가난했는지 짐작해볼 만한 대목이다. 추락한 옥개석은 일부가 파손되었는데 석가탑 2층 옥개석 모서리에서 볼 수 있는 부자연스럽게 이어붙인 듯한 부분이 바로 그 부분이다.
  4. 당나라 측전무후 제위기에 만들어 쓴 글자. 690년부터 704년까지 쓰였으며 705년 당 중종에 의해 사용이 중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