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본토 공격

1 개요

제2차 세계대전의 태평양 전쟁에서 미국 본토를 전장으로 한 일본제국미국과의 전투. 미국이 근소한 피해를 입긴 했지만 미국의 거대한 국력에 비해 세균개미가 알짱대는 수준이었고 이보다는 일본제국 측의 선전효과, 미국민 동요 등의 목적이 크다.

일본측에서는 이를, 처음이자 마지막의 항공기에 의한 미국 본토 공격(알래스카,하와이주 제외)이라고 평가한다.
잠깐 2001년 9월 11일은?
그래서 2001년 이후 '군용기에 의한' 마지막 공습이라고 말을 바꿨다
알래스카,하와이를 공격한것도 일본이다

실제로 양차대전에 미국 본토가 직접 공격받은 것은 일본에 의한 공습이 유일하다.

2 미국 본토의 정의

원칙적으로는 미국의 영토가 확실하게 된 곳은 다 미국 본토라고 봐야 하므로 괌이나 웨이크 섬 같은 곳도 엄밀하게 말하면 미국 본토가 맞긴 하다. 하지만 이렇게 분류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보통 이런 영토들은 미국 영토이지만 미국 본토는 아닌 부류에 넣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미국 본토라고 부르게 되면 우선 북아메리카에 있는 미국 본토는 무조건 들어가고, 알래스카가 그 다음으로 들어가며, 하와이를 맨 마지막으로 넣는다. 다만 미국 본토 공격을 언급할 때는 알래스카나 알류산 열도, 하와이를 미국 본토로 치지 않는 경우가 매우 많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진주만 공습이나 알래스카 공격등이 미국 본토 공격에서 빠지게 된다. 여기서는 일단 이들 공격도 경과 항목에 특수표시를 해서 포함시켰다.

3 유사품

태평양 전쟁이 개전하면서 아돌프 히틀러가 미국에 선전포고함에 따라 U보트가 미국 동부 연안과 카리브해로 진격해서 수송선을 장기간 털어먹은 적이 있다.

해당 전투의 경우 대서양 전선의 한 파트로 취급되며, 유보트는 수송선을 공격하는 통상파괴작전만 전개했지 미국 본토를 직접 사격하는 등의 공격행위를 하지 않았으므로 미국 본토 공격으로는 잘 쳐주지 않는다. 상륙했다가 자수한 적은 있다고 하더라

4 경과

대서양 전선처럼 일련의 전투가 이어진 것이 아니라, 사건이 점처럼 드문드문 연속적으로 흩어진 형태를 보인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하와이 지역에 대한 공격을 미국 본토 공격으로 보지 않을 경우에는 미국 본토 공격에서는 제외된다.
  • 1942년 2월 24일 :
이호 제17 잠수함을 동원해서 미국 엘우드 석유 정유시설 포격
로스엔젤레스 상공에 미확인 비행물체가 발견되자, 일본군이 로스앤젤레스를 대규모 공습했다고 오인해서 미군이 허공에대고 수많은 대공포를 갈긴 사건.
  • 1942년 6월 3일 : 더치하버 공습
둘리틀 특공대의 공습에서 일본본토 폭격에 공포를 느낀 일본군은 미드웨이 해전를 기획하면서 장거리 폭격기의 기지로 사용될 수 있는 알류산열도를 점령하기로 결정한다. 그래서 일본군은 알래스카의 중요한 해군기지 더치하버를 항공모함 2척, 순양함 3척, 구축함 5척의 침공함대가 함재기로 공습하여 기지에 큰 피해를 입히었고 후에 6월 6일과 6월7일에 에투 섬 및 키스카섬에 상륙하여 점령하게 된다. 알래스카에 대한 공격을 미국 본토 공격으로 보지 않을 경우에는 미국 본토 공격에서는 제외된다.
  • 1942년 6월 20일
이호 제 26 잠수함이 캐나다 밴쿠버의 무선 루오 신호소를 포격한다.미국이 아니잖소!
하지만 신호소엔 큰 피해가 없었다.
  • 1942년 6월 21일
이호 제 25 잠수함이 오리건주 스티븐 해군기지를 포격한다.
군인 1명 부상. 1차대전, 2차대전 통틀어 미국 본토에서의 첫 사상자가 발생한다.
  • 1942년 9월 9일
이호 제 25호 잠수함이 캘리포니아주 블랑코 곶에 도달한 후 탑재하고 있던 영식 소형 수상정찰기를 발진시켰다. 이 정찰기는 캘리포니아 주의 부르킹스 숲을 폭격한 후 오리건주를 지나 잠수함으로 귀환한다. 오리건 삼림경비대에 의해 신고받고 출동한 미국 육군항공대의 록히드 P-38 라이트닝 전투기가 요격에 나섰으나 요격 실패, A-29 허드슨 폭격기도 발진하여 잠수함을 쫓았으나 역시 요격 실패. 이후 미국은 해안 및 내지 방공을 강화한다.
  • 1942년 9월 29일
이호 제 25호 잠수함이 오리건 오퍼드 숲 폭격 후 귀환,
하지만 위 9월 9일에 폭격때보다 거세진 방공에 이후 더이상 공습을 하지 않았다.
  • 1942년 10월 4일, 6일
이호 제 25호 잠수함이 미국 유조선 1척씩 격침.
  • 1942년 동안 계속 통상파괴전 수행, 캘리포니아 연안 수km 지점에서 유조선 및 화물선 10여척 격침.
  • 1944년 11월 ~ 1945년 봄
일본 본토인 치바현, 이바라키현, 후쿠시마현에서 총 9300개의 풍선에 폭탄을 넣고 하늘로 올려보냈다. 이것이 바로 풍선폭탄이다. 일본은 이 폭탄이 제트기류를 타고 미국 본토에 떨궈질 것을 기대했지만.... 실제 떨어진 것은 10%인 1천 개 미만. 그리고 그 중 대부분도 사막이나 바다 등 엉뚱한 데 떨어졌다. 미국은 전쟁중에 조사를 통해 일본의 소행임을 알았지만, 보도를 하면 풍선폭탄의 진로와 성과를 적에게 알려주는 격이 되므로 이를 은폐한 후 전후에 발표했다.
오리건주에서 민간인 6명 사망. 워싱턴주 플루토늄 생산공장의 고압선에 걸려 정전발생이 피해의 전부다. 참고로 이때 플루토늄 공장에서 생산된 폭탄이 그 나카사키에 떨어진 농축 플루토늄 핵폭탄이다. 만약 정전발생정도가 아니라 실제로 폭발해서 시설에 피해를 주었다면 두번째 원폭 투하 시점은 상당히 늦추어 졌을 것이다.

5 결과

미국 본토 공격에 넣기에는 논란점이 매우 많은 진주만 공습을 제외한 경과와 피해를 보면 충분히 알 수 있듯이 미국은 "모기 한마리가 얼쩡거리는 수준의" 전략적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태평양 서부연안지역 민간인들에게 전쟁의 공포를 확산시켰고 그로인한 다소 혼란은 발생했다. 그리고 일본의 목적도 이걸 위한 것이었다. 더불어 일본군이 미국 서부 해안에 직접 상륙할 수 있다는 공포가 확산되기 시작했으며 실제로 했으면 끔살이지만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도 이에 대한 대비를 명령했고 미 육군 및 주방위군은 일본군의 침공시나리오를 제작하고 방위 훈련까지 했다. 시카고에서 방위선을 형성해 막는 계획이었다고.잠깐 여긴 미국 동부잖아 위에 로스앤젤리스 전투 항목만 보더라도 민간인에게 어느정도 공포심이 확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불어 일본국민에게 수천배 뻥튀기해서 흥보하는 것은 덤.

이후 미국 본토에 방어 태세가 갖추어지고, 쓸데없이 미국을 자극하면 무의미 하다 생각 끝에 일본은 1942년 이후 더 이상 미국본토에서 작전을 벌이지 않게 된다. 이미 충분히 자극한 것 같지만 알게 뭐야 (이 공습의 결과 미국국민이 위축되기는 커녕 일본군에 받은대로 돌려주자는 호전 여론이 확대되었고 미국정부는 미국계 일본인들이 스파이행위를 할지 모른다는 생각에 행정명령 9066호를 결행하였다. 되로 주고 말로 받은 격.)

그리고... 2년 뒤 일본 본토에서 미국의 역습이 시작된다. 도쿄 대공습,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 올림픽 작전, 몰락 작전 등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