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친개미

1 개요

Crazy Ant

어느 한 속, 또는 한 아과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미친(Crazy)개미'라는 이름을 얻게 된 이유가 다른 개미들처럼 줄지어 다니는 것이 아니라 그야말로 미친 듯 이리저리 지그재그로 방향을 바꾸면서 뽈뽈뽈 기어다니는 습성에서 비롯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볼 수 있는 곰개미가 꽤나 발 빠르고 정신없이 다니는 개미지만 이 미친개미들의 움직임에 비하면 슬로우모션.

이렇게 미친 듯이 움직이기 때문에 어디든지 떼로 몰려 다니며 엄청난 속도로 온 곳을 누비고 다닌다.

2 종류

2.1 노랑미친개미(Anoplolepis gracilipes)

오스트레일리아와 크리스마스 섬에 침입종으로 들어가 생태계를 개판..아니 개미판으로 만든 개미. 특히 크리스마스 섬의 명물인 크리스마스섬붉은게의 개체수를 급감시켜 놓았다. 호주 정부에서 작정하고 전쟁을 벌였는데 크리스마스 섬에서 이 개미만 박멸시킨 효과를 보았다고 한다.기사

2.2 라즈베리미친개미(Nylanderia fulva)

출처

타우니미친개미 또는 캐리비안미친개미라고도 부른다. 미국 남서부를 골때리게 만든 불개미의 침략도 막아내지 못한 판에 이녀석까지 쳐들어와서 그야말로 미국 남서부를 미치게 만들고 있다. 미국 남서부에서는 이미 가주성 개미가 되어 애집개미마냥 집에 들어와 사람을 깨물거나 음식 등에 달라붙어서 못 먹게 만드는 것은 기본.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전자제품에 이끌려서 화재경보기, 가스계량기, 가전제품 등에 들어가 고장을 일으킨다는 점이다. 마우스를 정ㅋ벅ㅋ한 미친개미들 아직까지 방제법도 없는데다가 전자제품을 못쓰게 만드는 희대의 피해를 주기 때문에 최악의 골치덩이. 휴스턴에서 처음 발견되었기 때문에 대량의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NASA가 노심초사 하고 있다. 이름이 라즈베리미친개미(Rasberry Crazy Ant)인 이유는 이 개미를 박멸하고자 노력중인 톰 라즈베리(Tom Rasberry)의 이름을 딴 것.

2010년 들어 이 미친개미도 국내에 상륙했다. 국내에 들어온 지 얼마 안 되는지라 세스코에서도 딱히 방제법을 찾지는 못했지만 다행이도 미친개미를 박멸할 수 있는 업체가 있긴 있다.

불개미의 맹독을 해독할 수 있기 때문에 큰 이변이 없는 한 미국 남부에서 불개미를 대체하고 주도적인 개미종이 될 것이라고 한다.기사

영화 앤트맨(영화)에도 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