閔霽
(1339 ~ 1408)
1 개요
고려 말 조선 초의 인물. 자는 중회(仲晦). 호는 어은(漁隱). 원경왕후, 민무구, 민무질, 민무휼, 민무회의 아버지, 민변의 아들. 태종의 장인.
여흥 사람으로 성품이 온화하고 인자하면서 맑고 소박해 사치를 싫어했다. 독서를 좋아했으며, 한 번만 읽어도 바로 기억할 정도로 명석했다고 하며, 특히 역사에 뛰어났다.
1357년 4월에 과거에 급제해 국자직학에 임명되었고 춘추검열로 선발되었다가 1362년에 예문관, 1363년에 통례문지후, 1366년에 전리좌랑, 1371년에 예부직랑, 1372년에 전리정랑, 지제교, 1373년에 성균사예, 1375년에 전의총랑, 성균사성, 1382년에 판전교시사을 지냈으며, 1387년에 지춘주사가 되어 선정을 베풀었다.
1388년에 판소부시사, 예문관제학에 임명되고 봉익대부의 품계에 올랐으며, 8월에 전공판서로 옮겼다가 예의판서 동지춘추관사 상호군이 되었다. 1389년에 판도가 되었다가 7월에 전리, 9월에 개성윤 상의밀직사사 겸 예의판서가 되었으며, 1390년에 첨서밀직사사 겸 도평의사사가 되었고 세자 좌빈객을 겸직했다가 1392년에 한양윤이 되었다.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7월에 자헌대부 예문춘추관 태학사에 임명되고 1394년에는 정당문학 동판도평의사사 수문전학사에 임명되었다가 겨울에 명나라에 하정사로 파견되었으며, 돌아와서 삼사우복야 보문각대제학에 임명되었다가 1398년에 정헌대부가 더해졌다가 옮겨서 보국숭록대부 여흥백 영예조사 겸 판봉상사농시사 수문전 태학사가 되었다.
또한 젊어서 예를 안다고 알려져 숭록대부가 되어 예조를 겸직했다가 1399년에 지공거가 되고 겨울에는 판삼사사가 되었으며, 1400년 3월에 수충보조공신에 봉해지고 보국숭록대부 문하우정승 판도평의사사병조사 겸 판상서사사 보문각태학사 감예문 춘추관사 영경연사 여흥백으로 작위가 올려졌다.
4월에 좌명공신으로 고치고 9월에 좌정승으로 옮겼으며, 11월에 태종이 즉위하고 원경왕후가 황후가 되자 순충(純忠)이라는 호를 받으면서 여흥백에 봉해졌다. 1401년에 순충동덕보조찬화공신의 호가 내려져 부원군에 봉해졌으며, 1402년에 관리 추천을 잘못해서 윤곤, 이공효와 함께 탄핵당했다.
1407년에 아들 민무구, 민무질을 살리기 위해 먼 지방에 유배보낼 것을 요청해 각기 여흥, 대구에 유배되도록 했으며, 1408년 9월에 병으로 눕다가 사망했다.
2 매체속 모습
용의 눈물에서 등장한다. 배우는 송재호 역사적 모습 그대로 매우 온화하고 소박한데다가 강직한 인물로 나온다. 국왕의 장인으로서 충분히 권력을 휘두를 수 있는 위치에 있음에도, 줄곧 권력 다툼에 관여하지 않고, 사위에게 따끔한 충고도 아끼지 않는 대쪽 같은 모습으로 나온다.[1] 덕분에 아들들이 권력을 휘두르려고 할 때 언제나 엄격한 스승이자 아버지로서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사위인 태종 이방원도 그런 장인을 매우 존중하며 따끔한 충고도 겸허하게 수용한다.
정도전에서도 당연하게 등장한다. 배우는 안승훈. 드라마 후반부에 들어서는 시점에서 등장하기 시작한다. 권력 투쟁과는 거리를 두었던 용의 눈물과 다르게 사위를 많이 지지하고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모습으로 나와서 역사와는 조금 다른 모습인 편이다. 배우 이미지상 소박하거나 온화한 모습보다는 화끈한 성격의 모습의 모습으로 나와서[2] 성격은 역사와 정 반대의 이미지를 주고 있다.
육룡이 나르샤에서도 등장한다. 배우는 조영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