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세계화

反世界化 / Anti-Globalization

1 개요

이름 그대로 세계화(世界化)에 반대하거나 저항한다는 뜻의 국제 시사용어. 반국제화(反國際化)라는 유사용어도 있다.

1990년대 비정부기구(NGO)에서 처음으로 사용하게 된 용어이며 1999년 WTO 각료회담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면서 국제적인 용어로 부상하게 되었다.

2 이유

세계화에 반대하는 가장 비중이 크고 설득력이 높은 이유는 세계화가 이루어지면 미국을 비롯한 강대국 및 선진국의 표준이 세계의 표준이 되고, 개도국의 발전을 저해해 불균형적인 발전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예상이다. 이 외에 권력지향적인 곳에서는 국가에 대한 충성심이 줄어드는 점을, 지역주의가 득세하는 곳에서는 민족의식이 휴머니즘으로 바뀌는 것을 문제삼고 있다. 한편 선진국에서는 외국인들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져 자국 내 일자리를 잃을 것을 우려한다.

본래 반세계화는 강대국, 거대 자본 중심의 세계질서 재편에 저항하려는 좌파 및 진보진영에서 내세우는 주장으로 부각되어 왔다. 하지만 근래에는 오히려 우파, 극렬 민족주의 진영이 해외 이민자에 대한 배척을 주장하면서 나타나는 추세다. 즉 '강자에 대한 저항'에서 '의심스러운 약자, 타자에 대한 혐오'로 바뀌고 있는 것. 영국의 EU 탈퇴(브렉시트), 도널드 트럼프 등으로 대표되는 각국 정치권의 고립주의 주장 강화도 이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3 한국은?

단일민족 국가로서 민족주의, 국수주의가 호소력을 가질 여지가 적지 않은 한국에서도 일부 NGO를 중심으로 반세계화 및 반국제화 운동에 동참하고 있으며 특히 저학력층, 신흥보수계열, 다문화에 대한 혐오를 가진 계층 및 단체 등에서 이와 같은 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중이다. 2010년 G20 정상회의 때도 이들 단체를 중심으로 반세계화 운동이 궐기되기도 하였다.

국내에서도 다문화 가정과 가족에 대한 혐오, 편견이 높아지게 되면서 이들 다문화 반대운동자들과 민족주의자 및 국수주의자들을 중심으로 다문화 반대운동과 더불어 반세계화 움직임의 존재감이 이전보다 부각되는 추세다. 한국도 전세계적인 경제 침체의 영향으로 소득 격차, 고용 불안 등의 악화가 사회 문제로 부각되면서 다문화 반대 및 반세계화 운동를 격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