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가락이 닮았다

1 소개

1932년 김동인이 발표한 단편 소설. 김동인의 후기작에 해당한다.

이 소설은 주인공 M[1]에 대한 서술자의 깊은 연민과 애정이 느껴지는 필체로 쓰여졌다. 김동인의 단편소설이 대부분 그렇듯 간단한 이야기에 역시 간단한 주제를 담고 있는데 오로지 M이라는 남자의 다소 멍청하고 어리석은, 그러나 결코 비난할 수 없는 모습 문란한 과거와 가정폭력이 어디가 비난할 수 없는 모습인지는 접어두자 을 보여주고 거기서 인간애를 발견하려고 애쓰는 작품이다.

2 상세

소설의 화자는 M의 친구이자 의사로, M이 매독을 심하게 앓은 것을 유일하게 알고 있는 사람이다.

M에 대해서는 다소 풍자적인 경향을 보인다. 그는 젊어서 무절제한 성생활을 일삼다가 매독을 심하게 앓아 생식기능을 잃은 채결혼을 하였다. 처음엔 아내와의 금슬이 좋지만 불임에 대한 자격지심인지 이내 아내를 상습적으로 때리게 된다[2]. 그러면서 화자와의 술자리에서 방탕했던 젊은 시절을 후회하는 발언을 자주 한다.

그러다 아내가 아이를 낳게 되고, 남편이 불임인지도 모르고 자랑스럽게 나 임신했네 하는 아내에게 M은 아무런 태클도 못 걸고 입을 다문다. 그리곤 자기 자식일리 없는 아이를 안고 와서 "나랑 발가락이 닮았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분명 독자로 하여금 쓴웃음을 머금게 하는 장면이다. 그러나 서술자 "나"가 그렇듯이 우리는 결코 그에게 "전혀 닮지 않았다"고 직언하지 못한다. 그것은 그에게서 바보같을 지언정 어떻게든 사랑을 실현하려는 인간다운 노력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뭐 솔직히 말해서 그의 더러운 과거와 아내에게 했던 상습적 폭행을 생각하면 불쌍하다는 생각보다는 더 당해도싸다는 생각밖에는 안들지만..

3 기타

김동인의 작품중에서도 그가 지향하는 "순수문학"이란 표현에 어울리는 작품 중 하나로, 전체적으로 성숙해졌으며 그의 소설에서 지적되던 문제점이 줄어들었다. 그대신 친일활동을 시작했지

여담인데 김일성이 젊은 시절 읽어보고 굉장히 짜증낸 책이라고 한다. 황장엽이 회고한 바에 의하면 이 책에 대한 이야기를 하던 김일성은 "하초[3]못 쓰던 놈이 양자를 들이고 그걸로 자기위안하는 소설이 대체 무슨 의미가 있다는 건가?"라며 어이없어 했다고.
  1. 작품 발표 당시에는 M의 모델이 염상섭이라는 추측이 상당히 성행했다고 한다.
  2. 그런데 화자인 의사는 그런 그의 행동을 몇 년에 걸친 독신생활동안 한이 쌓인 것이라고 해석하며 내심 친구의 가정폭력을 응원하기까지 한다.
  3. 下焦. 배꼽 아래 부위를 말한다. 좁은 의미로 성기를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