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974년[1]에 출판된 윤오영(1907-1976)의 수필.
오래 전 젊은 시절 서울에서, 어떤 방망이 깎던 장인과 있었던 짧은 에피소드를 회고 기법으로 기록한 글이다. 지극히 일상적인 일을 소재로 서사적으로 서술해, 장인정신의 거룩함과 옛것의 소중함이라는 삶의 진리를 깨닫게 해 준다. 작가의 담담한 회상과 유려한 문장력에 힘입어 명문(名文)으로 회자되곤 한다.
여기서 말하는 방망이는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다듬이 봉을 의미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이 개편되는 가운데에서도 꾸준히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리는 글로, 학생에게 수필의 참맛이 어떤지 각인시키는 역할을 훌륭히 수행한다. 교육과정의 순기능. 이 수필 등등을 시작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작품들을 재밌게 읽게 되면서 문과생의 길로 빠지게 되는 경우가 의외로 잦다.너무 재미있게 읽어서 선생님의 수업은 귓등으로도 안듣는다 카더라 여기 등장하는 장인의 방망이는 목동에 위치한 서울 양정고등학교 도서관에 전시되어 있다. 재학생도 잘 모른다.
2 전문
벌써 40여 년 전이다. 내가 갓 세간난[2] 지 얼마 안 돼서 의정부에 내려가 살 때다. 서울 왔다 가는 길에, 청량리역으로 가기 위해 동대문에서 일단 전차를 내려야 했다. 동대문 맞은편 길가에 앉아서 방망이를 깎아 파는 노인이 있었다. 방망이를 한 벌 사 가지고 가려고 깎아 달라고 부탁을 했다. 값을 굉장히 비싸게 부르는 것 같았다. "좀 싸게 해 줄 수 없습니까?" 했더니, "방망이 하나 가지고 에누리하겠소? 비싸거든 다른 데 가 사우." 대단히 무뚝뚝한 노인이었다. 값을 흥정하지도 못하고 잘 깎아나 달라고만 부탁했다. 그는 잠자코 열심히 깎고 있었다. 처음에는 빨리 깎는 것 같더니, 저물도록 이리 돌려 보고 저리 돌려 보고 굼뜨기 시작하더니, 마냥 늑장이다. 내가 보기에는 그만하면 다 됐는데, 자꾸만 더 깎고 있었다. 인제 다 됐으니 그냥 달라고 해도 통 못 들은 척 대꾸가 없다. 타야 할 차 시간이 빠듯해 왔다. 갑갑하고 지루하고 초조할 지경이었다. "더 깎지 않아도 좋으니 그만 주십시오." 라고 했더니, 화를 버럭 내며, "끓을 만큼 끓어야 밥이 되지, 생쌀이 재촉한다고 밥이 되나." 한다. 나도 기가 막혀서, "살 사람이 좋다는데 무얼 더 깎는다는 말이오? 노인장, 외고집이시구먼. 차시간이 없다니까요." 노인은 퉁명스럽게, "다른 데 가서 사우. 난 안 팔겠소." 하고 내뱉는다. 지금까지 기다리고 있다가 그냥 갈 수도 없고, 차 시간은 어차피 틀린 것 같고 해서, 될 대로 되라고 체념할 수밖에 없었다. "그럼, 마음대로 깎아 보시오." "글쎄, 재촉을 하면 점점 거칠고 늦어진다니까. 물건이란 제대로 만들어야지, 깎다가 놓치면 되나." 좀 누그러진 말씨다. 이번에는 깎던 것을 숫제 무릎에다 놓고 태연스럽게 곰방대에 담배를 피우고 있지 않는가. 나도 그만 지쳐 버려 구경꾼이 되고 말았다. 얼마 후에야 방망이를 들고 이리저리 돌려 보더니 다 됐다고 내 준다. 사실 다 되기는 아까부터 다 돼 있던 방망이다. 차를 놓치고 다음 차로 가야 하는 나는 불쾌하기 짝이 없었다. "그 따위로 장사를 해 가지고 장사가 될 턱이 없다. 손님 본위가 아니고 제 본위다. 그래 가지고 값만 되게 부른다. 상도덕(商道德)도 모르고 불친절하고 무뚝뚝한 노인이다." 생각할수록 화증이 났다. 그러다가 뒤를 돌아다보니 노인은 태연히 허리를 펴고 동대문 지붕 추녀를 바라보고 섰다. 그 때, 바라보고 섰는 옆 모습이 어딘지 모르게 노인다워 보였다. 부드러운 눈매와 흰 수염에 내 마음은 약간 누그러졌다. 노인에 대한 멸시와 증오도 감쇄(減殺)된 셈이다. 집에 와서 방망이를 내놨더니 아내는 이쁘게 깎았다고 야단이다. 집에 있는 것보다 참 좋다는 것이다. 그러나 나는 전의 것이나 별로 다른 것 같지가 않았다. 그런데 아내의 설명을 들어 보니, 배가 너무 부르면 옷감을 다듬다가 치기를 잘 하고 같은 무게라도 힘이 들며, 배가 너무 안 부르면 다듬잇살이 펴지지 않고 손에 헤먹기 쉽단다. 요렇게 꼭 알맞은 것은 좀체로 만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나는 비로소 마음이 확 풀렸다. 그리고 그 노인에 대한 내 태도를 뉘우쳤다. 참으로 미안했다. 옛날부터 내려오는 죽기(竹器)는 혹 대쪽이 떨어지면 쪽을 대고 물수건으로 겉을 씻고 곧 뜨거운 인두로 다리면 다시 붙어서 좀체로 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요새 죽기는 대쪽이 한 번 떨어지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가 없다. 예전에는 죽기에 대를 붙일 때, 질 좋은 부레를 잘 녹여서 흠뻑 칠한 뒤에 볕에 쪼여 말린다. 이렇게 하기를 세 번 한 뒤에 비로소 붙인다. 이것을 소라 붙인다고 한다. 물론 날짜가 걸린다. 그러나 요새는 접착제를 써서 직접 붙인다. 금방 붙는다. 그러나 견고하지가 못하다. 그렇지만 요새 남이 보지도 않는 것을 며칠씩 걸려 가며 소라 붙일 사람이 있을 것 같지 않다. 약재(藥材)만 해도 그러다. 옛날에는 숙지황(熟地黃)을 사면 보통 것은 얼마, 윗질은 얼마, 값으로 구별했고, 구증구포(九拯九暴)한 것은 세 배 이상 비싸다, 구증구포란 아홉 번 쪄내고 말린 것이다. 눈으로 보아서는 다섯 번을 쪘는지 열 번을 쪘는지 알 수가 없었다. 단지 말을 믿고 사는 것이다. 신용이다. 지금은 그런 말조차 없다. 어느 누가 남이 보지도 않는데 아홉 번씩 찔 이도 없고, 또 그것을 믿고 세 배씩 값을 줄 사람도 없다. 옛날 사람들은 흥정은 흥정이요 생계는 생계지만, 물건을 만드는 그 순간만은 오직 아름다운 물건을 만든다는 그것에만 열중했다. 그리고 스스로 보람을 느꼈다. 그렇게 순수하게 심혈을 기울여 공예 미술품을 만들어 냈다. 이 방망이도 그런 심정에서 만들었을 것이다. 나는 그 노인에 대해서 죄를 지은 것 같은 괴로움을 느꼈다. "그 따위로 해서 무슨 장사를 해 먹는담." 하던 말은 "그런 노인이 나 같은 젊은이에게 멸시와 증오를 받는 세상에서, 어떻게 아름다운 물건이 탄생할 수 있담." 하는 말로 바뀌어졌다. 나는 그 노인을 찾아가서 추탕에 탁주라도 대접하며 진심으로 사과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 다음 일요일에 상경하는 길로 그 노인을 찾았다. 그러나 그 노인이 앉았던 자리에 노인은 있지 아니했다. 나는 그 노인이 앉았던 자리에 멍하니 서 있었다. 허전하고 서운했다. 내 마음은 사과드릴 길이 없어 안타까웠다. 맞은편 동대문의 지붕 추녀를 바라보았다. 푸른 창공에 날아갈 듯한 추녀 끝으로 흰구름이 피어나고 있었다. 아, 그 때 그 노인이 저 구름을 보고 있었구나. 열심히 방망이를 깎다가 유연히 추녀 끝에 구름을 바라보던 노인의 거룩한 모습이 떠올랐다. 나는 무심히 "채국동리하(採菊東籬下) 유연견남산(悠然見南山)!"[3] 도연명(陶淵明)의 싯구가 새어 나왔다. 오늘 안에 들어갔더니 며느리가 북어 자반을 뜯고 있었다. 전에 더덕, 북어를 방망이로 쿵쿵 두들겨서 먹던 생각이 난다. 방망이 구경한 지도 참 오래다. 요새는 다듬이질 하는소리도 들을 수가 없다. 만호도의성(萬戶擣衣聲)[4]이니 위군추야도의성(爲君秋夜擣衣聲)[5]이니 애수를 자아내던 그 소리도 사라진 지 이미 오래다. 문득 40년 전 방망이 깎던 노인의 모습이 떠오른다. |
3 패러디
감동과 여운이 워낙 짙은데다 단어만 몇 개 바꾸면 의미가 전혀 달라지는 마법의 수필이기에 2차 창작들이 꽤 많다. 허생전과 함께 교과서 텍스트 중에서는 가장 패러디가 많은 글.
- '자막 다듬던 아재'
- '셀카 찍던 여인'
- '야동 굽는 노인'
- 연필 깎던 노인
- '우표 떼던 노인'
- 'CD 굽던 노인'
- '마우스 깎던 노인'
- '원화 그리던 노인'
- '전역증 깎는 행보관'
- '빌드 깎는 노인'
- '과자 깎던 노인'
- '피규어 깎던 노인'
- '야겜 만들던 노인'
- '커스텀 기타 깎던 노인'
- '피크 깎던 노인'
- '라이트노벨 쓰던 노인'
- '클컴 설치하던 노인'
- '간 보던 노인'
- '방망이 깎던 장샘'
- 백업CD 굽던 노인 - 오늘은 자체 휴강 34화 에필로그
- '딜도 깎는 노인'
- '사진 찍어주던 여인'
- '역적 토벌하던 장수'
- '형량 깎던 검사'
- '자소서 쓰던 노인'
- '진공관 앰프 깎던 노인'
- 공돌이 버전
- 크립깎던 펜어 - 도타 2
- 더 깎던 렌게(댓글 참조) - 논논비요리
- 비비탄 깎던 노인
- GAU-8긁던 A-10
- 유심 깎던 노인
- 읭읭이 깎는 노인 제목만 봐도 알겠지만 레바의 캐릭터 읭읭이 관련이다.
- 말유국 깎던 노인 마루유 개장하러 3-2-1도는 글.
- 상업지 올리던 블로그
- 죽창 깎던 노인
- 옷 벗던 아가씨[6]
- 머리 깎던 노인
- 화물 밀던 노인 - 오버워치
- 학점 깎던 노인 - 연세대학교 대나무숲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딜도 깎는 노인이 패러디 중에 으뜸으로 꼽힌다. 한마디로 ○○ 하는 □□라는 형식으로 저 ○○와 □□에 무궁무진한 소재들을 집어넣을 수 있어서 패러디로 엄청나게 많이 활용될 수 있다.
패러디가 풍부한 수필로 김소운의 피딴 문답, 피천득의 은전 한 닢이 또한 유명하다.
어이쿠! 왕자님 ~호감가는 모양새~의 엔딩 중에는 봉 깎는 장인[7]이 있는데 여러모로 이 수필을 떠올리게 한다.
그라나도 에스파다의 우스티우르 전진기지에는 '낚시대 깎는 노인'이라는 패러디 퀘스트가 있다...
현대의 빠른 변화에 맞춰서 그만큼 반응성을 보여야 하나, 지나치게 고지식적인 시각으로 반응이 늦어 망한다는 패러디도 다수 생겼다. 페르미 깎던 노인, 이말년의 미니언 깎던 노인등이 있다. 그리고 깨알같은 땅땅땅빵
디씨 하스스톤 갤러리에는 덱 깎던 노인이 있다
컴퓨터 본체 갤러리에는 CPU 깎는 갤러가 등장했다
- ↑ 왜인지 몰라도 1977년에 발간된 것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 이미 1974년에 한국 수필가협회에서 발간한 한국 수필 75인집에 수록되어 있다. 아마도 1977년에 해당 수필의 제목으로 발간된 것을 혼동한 듯.
- ↑ 결혼하여 가정을 차리다라는 뜻 - 위키러 주
- ↑ 도연명의 〈음주(飮酒)〉의 한 구절. '동쪽 울 아래에서 국화꽃을 따다가, 유연히 남산을 바라보노라'. 전원생활을 노래한 시다.
- ↑ '일 만 호의 다듬이질 소리'. 이백(李白)의 자야오가(子夜吳歌)의 한 구절.
- ↑ 그이를 위해 가을밤 다듬이질하는 소리. 판소리 열 두 마당 중 수궁가에 이 구절이 실려 있다. 원 시의 작자나 출전 추가바람
- ↑ 히어로 갤러리 필수요소 항목 참조
- ↑ 여기의 봉은 어이쿠 왕자님에 나오는 나라인 바이케에서 성행하는 춤인 봉춤을 출 때 필요한 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