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北學議. 조선시대 실학자 박제가가 1778년~1798년에 저술한 책.
말 그대로 북학(北學), 즉 북쪽에 있는 나라인 청나라를 배우자는 의미에서 저술한 책이다.
1778년 절친인 이덕무와 함께 중국 청나라의 문화를 견문한 후 1차로 북학의를 저술하고, 이후 수년간 내용을 보완하여 북학의 내편, 북학의 외편을 만들었다. 그러다 십수 년이 지난 1798년, 정조가 백성들을 위한 농서(農書)를 구하러 다니자 기존 북학의에서 농업 관련 내용을 추가한 진소본 북학의를 만들어 바쳤다. 때문에 북학의는 '내편', '외편', '진소본' 의 세 종류가 있다.
2 내용
전체적으로 보면 무작정 조선을 까고 청나라를 치켜세우는 글로 보이는 경우가 많다. 물론 잘 읽어 보면 그런 식의 책은 아니다. 애초에 그런 식의 악의가 있었다면 낙후된 조선의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책에 제시하지도 않았을 것이고 낙후된 원인에 대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을 시도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책의 서문에서 객관적이고 솔직하게 당대의 조선이 낙후되었다고 진단을 내린다. 대놓고 현재 국가의 큰 폐단은 한 마디로 궁핍과 가난이라고 결론내리고, 재물을 사용할 기술을 알지 못하고 공장(工匠)과 목축과 도공의 기술이 형편없으며 사농공상 네 부류의 백성이 누구나 할 것 없이 다 곤궁하게 살기 때문에 서로를 구제할 방도가 없다고 주장한다. 물론 그걸로 무작정 비하하는게 아니라 그에 대한 대안에 대해 깊이 고찰한다. 그리고 위기극복의 대안으로 중국 청나라와 통상하는 길밖에 없음을 결론내린다. 물론 무조건 '청나라 너무 좋아~' 라고 한 것은 아니고 그럴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한다.
당시 조선은 청나라와는 해로 통상이 차단당한 상태고, 일본과는 극히 제한적인 외교 및 통상관계만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더욱이 서양 제국에 대해서는 조선 스스로가 강력한 쇄국정책을 시행하며 문을 걸어잠근 상태였다. 박제가는 조선의 문호를 점진적으로 개방하는 것이 부국강병의 길이라고 여겼다. 북학의에서 박제가는 국토가 가장 작았던 신라가 부국강병을 이뤄 삼국을 통일한 원동력은 외국과 해로통상을 한 데 있었다고 주장하며, 외국과의 통상은 단순히 교역을 통해 이익을 얻는 데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기술과 예능을 배우고 저들의 풍속을 질문함으로써, 1차적으로 교역의 이익으로 경제가 발전하고, 2차적으로 기술과 문화를 학습하여 선진화되며, 3차적으로 외국인들이 조선에 대해 알고 들으면서 국격이 높아지고 높은 대우를 받게 된다고 주장했다. 서양과 일본은 여러가지로 지금 당장 통상을 여는 것이 매우 힘들지만 육로 통상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청나라와는 지금 당장 문호를 여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사대부들에 대한 비판이 많다. 사대부들이 기득권을 위해 폐쇄적으로 농업 위주의 조선 사회를 만들어놓고 상업은 개인의 이윤을 추구하는 행위라며 그동안 억제해왔다고 비판했다. 박제가는 책에서 통상을 통해 상업을 진흥시키자는 주장을 하면서 아무런 노동도 하지 않고 온갖 혜택을 누리는 유생이야말로 나라의 좀벌레라고 혹평하였다. 도덕적 이상만으로는 사회를 진보시킬 수 없으며, 근면한 농업경작만으로는 산업을 진작하고 기술을 진보시킬 수 없다고 여긴 것. 또한 현재 국내의 선비들은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에 사대의 관계를 맺고 있으면서도, 청나라를 멸시하는 풍조가 가득한데 이러한 시대착오적인 북벌론과 같은 정신승리법으로는 구국과 구빈(救貧)의 길을 걸을 수 없다며 이러한 상황은 고칠 필요성이 있음을 역설하였다. 그리고 수요억제, 근검절약, 절검이 민중의 삶에 도움이 된다는 성리학적 통념을 버리고 생산 확충에 따른 충분한 공급이 유통 질서를 원활하게 한다는 경제관을 가질 것을 주문한다.
전체적으로 효율성 추구의 사상을 주장하였다. 책에서 이용후생(利用厚生)에서 한 가지라도 갖추어지지 않을 때에는 정덕을 따지는 것이 허울 좋은 이상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는데, 한 마디로 의식주 문제도 해결 못하는데 도덕이고 윤리고 간에 무슨 소용이냐는 뜻. 도덕 우위의 학문이 권위를 가지고 있던 조국의 임금에게 바치기도 했던 책 치고는 지나칠 정도로 과격한 느낌이다.
3 의의
지나치게 조선의 상황을 깎아내린게 아닌가 하는 의혹이 있긴 하지만 어쨌든 당시 중국과 한국의 실생활과 생활 모습을 상세히 묘사한 작품으로 그 시대 일반인들의 생활 모습과 수레, 배, 성, 벽돌, 기와, 자기, 주택, 도로, 교량, 말 등에 대한 것들을 명확히 알아볼 수 있다. 밭, 거름, 뽕나무, 과실 등의 농사와 관련된 내용까지 기록되어 있다.
또한 지금은 이해하기 힘들지만 당시의 시대 풍조 상 청나라를 선진국으로 인정한다는 것은 매우 과단성 있고 혁명적인 사상이었다. 당시 조선에서 청나라를 멸시하는 풍조는 정말 엄청났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