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보충 모형

1 사전적 의미

실험 심리학 용어중 하나로, 의사 결정시 한 대상의 긍정적인 속성을 고려하지 않고 부정적인 속성을 가졌다는 이유로 그 대안을 기각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한마디로 단점을 지닌 덜 매력적인 대안을 하나하나씩 제거하여 선택을 하는 방식인데, 이 방식이 대안의 요인을 일일히 평가하여 정해진다 가정하기에 요인별 제거법이라고도 칭한다. 물론 최소한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치명적 단점을 지닌 대안은 조기에 제외시켜 선택범위에 넣지 않는다.그리고 멀쩡한 사람이 연애를 못하게 만드는 시각 솔로 만세!

2 예시

예시를 들면 아주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

이따금 주위를 둘러보면 생긴 건 다 멀쩡해도 이상하게 애인이 없는 사람이 있는데, 이런 사람의 경우 무의식적으로 비보충 모형 전략을 채택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즉, 영희와 미숙이와 갑순이가 있는데.

영희는 얼굴도 이쁘고 몸매도 쭉쭉빵빵하지만 직장이 별로라 사귈 수 없고.
미숙이는 성격천사같고 직장도 좋은데 얼굴이 좀 너프되 사귈 수 없고.
갑순이는 얼굴도 이쁘고 성격도 천사인데 몸매가 내 취향이 아니라 사귈 수 없고.

이러니 내가 여친을 사귈 수 있을 리가 없잖아, 하는 류의 시각이다.

다시 말하면 이성의 긍정적인 면을 보려하지 않고 부정적인 면만을 따져 그 단점 때문에 상대를 기각시키는 것은 비보충 모형 전략의 흔한 예시 중 하나로 볼 수 있다.그냥 감사히 사귀라고

이 세상엔 완벽한 사람은 없는 만큼, 연애란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 상대가 상대를 완벽하게 만들어줄 마지막 퍼즐 조각이 되어주는 의미 있는 것인데 이러한 전략을 무의식적으로 연애에 적용시키는 사람들은 알게 모르게 어영부영 넋놓고 있다 결혼할 시기를 놓쳐 평생 노처녀 또는 노총각으로 늙어갈 확률이 매우 높다.

반대로 얼굴만 예쁘면 장땡, 몸매만 내 취향이면 장땡, 잘생기면 장땡, 섹시하면 장땡, 성격만 좋으면 장땡인 식의 마인드는 애인 사귀기가 상대적으로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