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가람중학교

이 문서는 개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특수학교 및 유사한 교육 기관 관련 내용을 다룹니다.

다음에 해당되는 서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에 위배되는 내용을 작성할 시 문서 훼손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내의 교사 및 학생 등 비공인에 관한 서술
  • 기타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불필요한 서술

1 개요

전라남도 나주시에 위치한 공립 중학교. 이름답게 광주는 아무것도 해 준 것 없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내에 위치해 있다. 빛가람도시 내에서 처음으로 개교한 중학교인데, 매년 신입생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예를 들어 2015년에는 5개 학급이었던 1학년이 8개 학급으로 증가하였다. 다만 광주, 나주[1] 지역이 원체 인구당 학교수가 모자란 관계로 8개 반이 너무 많다는 반응도 있다. 다만 수도권 지역에서 내려온 학생들의 경우에는 그냥 그런가 보다 한다(…). 이 문제 때문에 금천면에 있던 금천중학교 이설 공사가 진행중이다.
또한 이곳에서는 광주시내 고등학교로 진학할 수 없다! 괜히 오해하고 교육청에 전화하는 일 없도록 하자. 광주 시내 고등학교로 진학을 희망한다면 여기로 오지 말고 남평읍 지역으로 가거나 아예 광주에 있는 중학교에 가자.

2 시설

학교 시설은 비교적 최근에 지어져 스마트칠판도 있는 등 신식인데인용 오류: <ref></code> 태그를 닫는 <code></ref> 태그가 없습니다, 터치펜은 다 고장나고 터치도 잘 되지 않아서 프로젝터로 화면만 띄우고 화이트보드에 쓰는 실정이다(...). 이러려면 대체 왜 스마트칠판을 설치했는지.</ref> 문제는 여기저기 보이는 하자. 벽은 떨어져 나가고, 장마철에는 계단에서 비가 새며(...), 화장실 남자 소변기 센서는 여기저기 고장나기 일쑤. 물이 안 내려가니 곤욕은 화장실 청소 담당 남학생들이 치룬다. 뭐 고치기야 빨리 하니 괜찮을런지 모르겠지만, 2014년에 지어진 학교가 비가 샌다는 것은 좀...
또한, 2015학년도까지는 큰 문제가 없었으나 2016학년도 들어 이렇게 많은 학생들이 들어올 지 예측을 못했는지, 교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다.[2] 이것은 교무실도 마찬가지. 사실 작년에는 빈 교실이 넘쳐나서 4층 같은 경우에는 오히려 섬뜩했을 정도였다. 그런데 지금은 너무 부족하다. 교사들도 많이 부족한 상태...였으나 2016학년도 2학기에 신규 전입 교사들이 오면서 많이 개선된 상황이다.

3 여담

혁신도시 내의 학교라서 경기도 이외 도교육청 소속 중학교 치고는 학생들의 출신지가 실로 다양한데, 이것은 학년마다 다소 다르다. 일단 1, 2학년의 경우 학교가 속한 지역인 나주시 출신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서울특별시경기도 지역, 특히 서울 송파구 출신이 많다. 근데 이건 그냥 송파구 인구가 많은 거 아닌가...[3] 근데 한전이 삼성동에 있었다는걸 감안하면 송파구에서 많이 왔을 수 밖에 없다 의외로 광주광역시 출신은 많지 않다. 그러나 3학년에서는 광주광역시 출신이 수도권 출신보다 많은 경우도 있다. 오히려 2015년까지만 해도 수가 나주 출신과 비슷할 정도였다. 전체적으로도 개교 초기에 비해 나주 출신 학생들이 비중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앞으로의 변화는 추가바람
  1. 도심 지역만. 시골 지역은 너무 적어서 문제다.
  2. 그나마 혼자 외딴 곳에 있던 1학년 8반 교실이 1학년 교실쪽으로 이전되는 등 나름 제자리를 찾아가고 있다.
  3. 실제로 송파구의 인구는 전국의 모든 자치구와 일반구를 통틀어서 가장 많다. 어지간한 들보다 많은 인구이니 뭐...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