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별곡

서경별곡 (西京別曲)

갈래고려가요
형식3음보, 맨 끝에 후렴구, 분연체, 3연 14절
성격이별의 노래
표현반복법, 설의법, 비유법
제재임과의 이별
주제이별의 정한, 이별의 슬픔

1 작품 소개

서경별곡(西京別曲)은 고려가요에 속한 작품 중 하나로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고려시대 서경(西京) 지역에서 주로 불렸던 노래이다. 작중 화자는 대동강 나루터에서 임과 이별하는 장면을 노래하고 있는데 비록 장르는 다르지만 정지상의 <송인(送人)>이라는 한시와 내용과 작중 배경이 동일하다.

2 본문

2.1 원본

西京(서경)이 아즐가[1] 西京이 셔울히 마르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2]
닷곤 ᄃᆡ 아즐가 닷곤 ᄃᆡ 쇼셩경 고ᄋᆈ마른[3]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여ᄒᆡ므론 아즐가 여ᄒᆡ므론 질삼 뵈[4] ᄇᆞ리시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괴시란ᄃᆡ 아즐가 괴시란ᄃᆡ 우러곰 좃니노이다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5]

구스리 아즐가 구스리 바회예 디신ᄃᆞᆯ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긴히ᄯᆞᆫ 아즐가 긴힛ᄯᆞᆫ 그치리잇가 나ᄂᆞᆫ[6]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즈믄 ᄒᆡ[7]를 아즐가 즈믄 ᄒᆡ를 외오곰 녀신ᄃᆞᆯ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信(신)잇ᄃᆞᆫ 아즐가 信잇ᄃᆞᆫ 그츠리잇가 나ᄂᆞᆫ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8][9]

大同江(대동강) 아즐가 大同江 너븐디 몰라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ᄇᆡ 내여 아즐가 ᄇᆡ 내여 노ᄒᆞᆫ다 샤공아[10]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네 가시 아즐가 네 가시 럼난디 몰라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녈 ᄇᆡ예 아즐가 녈 ᄇᆡ예 연즌다 샤공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大同江 아즐가 大同江 거넌편 고즐여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ᄇᆡ 타들면 아즐가 ᄇᆡ 타들면 것고리이다 나ᄂᆞᆫ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2.2 현대어 풀이

서경이 서울이지만
중수(重修)한 소성경을 사랑하지만은
당신과 이별하기보다는 차라리 길쌈하던 베를 버리고라도
날 사랑해 준다면 울면서라도 따라갈 거예요.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다고 해서
끈이야 끊어지겠어요?
천년을 외로이 살아간들
믿음이야 끊어지겠어요?

대동강이 넓은 줄 몰라서
배를 내어 놓았냐? 이 망할 놈의 사공아
네 마누라가 바람난 줄도 모르고
떠나는 배에 내 연인을 태웠니? 이 망할 놈의 사공아
(내 연인은) 대동강 건너편의 꽃을
배타고 건너면 꺾을 거예요.

3 해석

전체적인 내용은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을 다룬 내용이다. 아마 작중 배경은 대동강의 어느 나루터 부근인 듯하다. 그런데 이 작중 화자인 여성은 보통내기가 아니다. 1연에서 화자의 남친이 "우리 헤어지자."고 말하니 이 화자는 길쌈하던 베 즉, 자기 생업까지도 내팽개치고 자길 사랑해주기만 한다면 울면서라도 쫓아갈 거란다.

2연에서는 구슬이 바위에 떨어져도 끈은 끊어지지 않듯이 자신도 천년 동안 외롭게 살아도 남친을 향한 믿음은 변함이 없다면서 끈질기게 남친에게 매달린다. 그러나 그렇게 매달렸음에도 불구하고 남친은 배를 타고 뒤도 안 돌아보고 떠나버린다.

그러자 작중 화자는 3연에서 남친에 대한 원망을 엉뚱하게 뱃사공한테 화풀이한다. 뱃사공을 향해 "지금 네 마누라가 바람 피우고 있는데 그 배에 내 남친을 태워? 이 망할 놈아."하고 열라게 욕을 퍼붓는다(...) 대동강 건너편의 꽃은 단순한 꽃이 아니라 아마 연적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뱃사공한테 마음껏 화풀이를 쏟아낸 이 여성은 이제 헤어진 남친에게도 원망을 퍼붓는다. "이 배 타고 가면 딴 년이랑 놀아날 것이다."고. 아무래도 약간 얀데레끼가 있는 것 같다. 약간이 아닌 것 같은데?

4 특징

같은 고려가요이고 똑같이 화자가 여성인 작품인 가시리와 비교해 보면 가시리의 화자는 담담히 연인과의 이별을 받아들이는 전통적인 여성상을 띠고 있다면, 이 서경별곡의 화자는 전통적인 여성상과는 전혀 거리가 멀다. 가시리보다 더 순종적인데다 아예 축복까지 해 주는 진달래꽃과는 더욱 대조된다.

이별을 담담히 받아들이기는커녕 자기 생업까지 내팽개치고 사랑하기만 해준다면 울면서라도 따라갈 거라고 매달리기도 하고 그럼에도 연인이 자길 버리고 떠나니까 애먼 뱃사공한테 화풀이까지 해가며 이별을 적극적으로 거부한다. 이 작품의 화자는 적극적이다 못해 저돌적인 여성이고 연인에 대한 집착이 매우 강한 여성이라 할 수 있다. 아마 제 남친이 자기 버리고 떠난 것도 이 여자가 무서워서 헤어지자고 한 거 아닐까? 이렇게까지 집착할 정도면 사귀는 중에는 얼마나 집착했을까?

2연의 가사는 같은 고려가요정석가라는 노래에도 등장하는데 아마 당시에 유행하던 가사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혹은 위의 태도변화나 정석가와 동일한 부분이 조선시대에 궁중가사로 개편될 때 추가, 삭제돼서 나타난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실제로 고려가요는 조선시대 궁중 속악 가사로 개편되는 도중 유학자들이 남녀상열지사라고 비판하며 삭제한 경우가 많았다.
  1. 아무 뜻이 없는 조흥구이다.
  2. 경쾌한 리듬감 형성, 북소리의 의성어라고 한다
  3. 우리말에 '고ᄋᆈ'라는 말은 없다. 아마 '괴요'의 오기(誤記)인 듯하다.
  4. 화자가 여성임을 알 수 있다.
  5. 이별을 인정하지 않음
  6. 역시 아무 뜻이 없는 조흥구이다.
  7. 즈믄이란 '천(千)'의 순우리말이니 즈믄해란 곧 1,000년을 말한다.
  8. 임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과 믿음을 나타내는 부분
  9. 동일한 부분이 정석가에도 나온다
  10. 원망의 대상, 떠나는 임을 붙잡지 못하는 답답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