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현진인

한백무림서화산질풍검의 등장인물. 주인공 청풍의 스승이다. 화산도문에 전해지는 도인법에서 착안하여 자하진기를 만들어 청풍에게 가르친다. 그러나 문파내에서의 발언권이 약했고[1] 그 때문에 비검맹육극신과 결전을 치르라는 문파의 명을 받고 하산, 육극신과 싸워 패사한다.[2]

오로지 제자 청풍에게 돌아가겠다는 일념 아래 육극신과 맞서, 검조차 없이 자색의 진기를 내뿜고 육극신과 대등한 싸움을 벌였다. 파검마탄포를 감당하지 못해 팔과 다리를 잃어가면서도 자하진기를 통해 기의 팔과 다리를 만들어 팔십여 초에 이르는 경합을 벌이나, 끝내 당해내지 못하고 패하여 죽어간다. 마지막 순간 화산 쪽을 바라보며 제자의 이름을 불렀다고 한다.

자하진기를 완성한 상태에서 화산파에 그것을 보여줬으면 같은 장로들 사이에서 인정받을 수 있엇을 테지만… 도가적인 성품이 그걸 드러나지 않게했다.[3] 하지만 화산 장로들은 자주 일을 맡아 수시로 강호로 나섰던 것을 보면 실력은 인정 받았던것 같다. 실력조차 인정받지 못했다면 화산 장로자리도 없었을 테니 말이다. 사실 엄청난 강자다. 무려 그 육극신80합을 겨뤘다. 이게 정말 엄청난 것이, 당시의 육극신을 질풍검 말미의 육극신보다 약하다고 해도 어지간한 초절정고수라면 얼마 버티지 못하고 순살당했을 것이다.[4]당장 사방신검을 모두 얻고 사방신검의 무공을 전부 습득한 청풍도 육극신한테 밀렸다.[5]

이와 비슷한 경우가 무당마검 당시 승뢰악도군, 목영진인의 싸움인데, 당시 악도군은 승뢰에게 30합만에 제압당했으며[6] 목영진인은 20여합을 싸우고 중상을 입은채 목검을 부러뜨리고 실려나갔다. 이 싸움은 목영진인이 악도군보다 우위에 있어서 승뢰가 사정을 봐주는 여유가 없어서 이렇게 만들었다는 추측이 대세인데, 승뢰는 비록 처음에는 제압하려는 시도라도 했겠지만 육극신은 그런 거 없다. 다만 육극신도 처음부터 파검마탄포를 쓰지는 않았다. 파검마탄포를 꺼낸 후부터는 시종일관 유리하게 승부를 이끌어가며 선현을 압도하였다.

즉 반드시 제자 청풍에게 돌아가려는 사부 버프가 있었더라도 선현진인의 무위는 정말 엄청난 것이다. 승뢰 이상급의 고수가, 처음부터 사정을 전혀 봐주지 않고 죽이려고 하는 공격을 팔십합이나 받아낸 것. 거기에다 기어이 육극신의 가슴에 상처를 남기기까지 했다. 한백림은 질답란에서 곽준과 같이 청풍에게 돌아가고자 실력이상의 결과를 냈다고 말하였다.

후일 청풍과 싸우게 된 육극신청풍이 가진 자하진기를 알아보고 선현진인을 떠올리며 그를 "지금껏 싸워왔던 자들 가운데 손에 꼽을 만큼 강한 무인"이었다고 회상하며 그 스승에 그 제자라고 말해준다. 화산의 장문인이 버린 패라고 생각했던 인물이 비검맹의 탑3안에 들어가는 육극신에게는 그런 평가를 받았던것. 이 말을 듣고 여한이 없다고 생각하는 청풍의 심정은 과연 어땠을까….
  1. 화산파는 검법을 중시하는데, 자하진기 연성에 온 힘을 쏟는 선현진인은 조롱거리에 불과했다. 그래서 붙은 별호가 바로 무검진인.
  2. 이 때 이미 장문인 천검진인은 선현진인을 버리는 패 정도로 생각하고 있었다. 말하자면, '육극신이 알려진 것 보다 졸라 쎄다는 것을 알게 됨 > 이기는 것에 걸었다가 지기라도 하면 망신인데다가 고수도 하나 잃게 됨 > 익히 약하다고 알려져 있는 선현진인을 내보냄 > 이기면 좋고, 지면 육극신 성격상 선현진인을 죽일테니 그걸 핑계로 협상함.'
  3. 자하진기는 무적진가의 가주인 진천이 청풍에게 그 내공과 성품의 출처를 물어보고 선현진인한테 사사받았다고 하자 화산에 옥허진인 말고도 인물이 있었다고 평가했을 정도다. 후일 청풍의 네임밸류도 있었겠지만 자하신기로 이름을 바꿔 화산 최고의 내공으로 전수될 정도다. 세계관을 통틀어도 자하진기처럼 상,중,하단전 모두 균등하게 수련할 수 있는 심법은 거의 없다. 세계관 최강자인 소연신이 만든 광극진기 광신마체도 중단전 수련이 부족해 사용자의 심성에 영향을 줄 정도다. 물론 광극진기 자체가 철위강을 쓰러트리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만큼 밸런스가 잘 맞는 무공이라기보다는 장단이 확실한 무공이기 때문이다. 소연신의 또다른 무공인 협제신기는 수련에 부족함이 있다는 묘사는 없다. 대성하려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은 있지만.
  4. 초절정고수가 얼마나 대단하냐면 천잠비룡포에서 팔황과 대적했을 때를 제외하고 어디가서 안 꿇리는 참룡방의 무공 수위가 절정고수 수준이다.
  5. 질풍검에서 그려지는 육극신은 문무심신일체가 완벽한, 그야말로 절대적인 강자이며 최종보스다.
  6. 제압이라는게 중요하다. 악도군을 죽이지 않고 제압할 수 있을 정도로 승뢰의 경지에 높다는 증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