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小砲
작은 구경의 포. 현대 화기 기준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구경명칭이다.
2 小包
우편으로 배달되는 편지 이상의 부피를 가지는 배달 규격. 소형포장물(small packet)[1]과는 다르다. 통상우편물<소형포장물<소포.
우정사업본부에서는 가로, 세로, 높이를 합하여 35cm 이상 160cm이하, 무게 30kg 이내의 우편물을 소포로 분류한다. 등기소포는 우체국 택배와 요금이 거의 동일하다.[2]
일본에서는 이 말을 순화시켜 こづつみ라고 읽는다. 작은 보따리라는 뜻이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겹말(작은 소포)로나 모순(큰 소포)되게 쓰는 말이기도 하다.
반댓말로 大包가 있으며 큰 보따리라는 뜻이다.
3 小胞
세포 소기관 중 하나
4 한제국 건국사에 등장하는 청동제 야포
오리지날은 고종 때 대원군 주도로 제작된 근대적 화포 중 하나.
포가만 근대적이고 포탄은... 그냥 퍽탄일 뿐이다.(...)
허나 작중에서의 모습은 그와는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그려지는 민국인 개발 무기.
특이하게 바퀴가 아닌 삼각대(현대의 M2 중기관총에 사용되는 M3 삼각대와 매우 닮았다)를 사용하며, 쉽게 분해해 운반이 가능하도록 했다.
산탄 전용 소구경 속사포로, 분당 최대 8-10발 정도. 흑색화약을 쓰는 산탄 20발이 든 금속약협탄을 사용한다.
19-20세기 경야포/산포와 20세기 초반의 중기관총 개념의 혼합적인 물건.
다만 경량화와 저가 생산에 그 주안점을 둔지라 주퇴복사기, 완충기가 없어 반동에 취약, 저위력 탄약을 쓸 수 밖에 없어 2-3백 미터 범위만 제압가능해 적의 보병화기에 매우 취약하다고 한다.
소설에서는 행주산성 전투에서 먼치킨 병기인K3와 함께 연합군 보병들을 때학살 시키는 ㄷㄷㄷ한 위력을 보여줬다[3]. 1차 대전때나 겪어야 할 기관총 쇼크를 당했기 때문에 연합군에서는 그 자리에서 미쳐버린 장교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