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전

1 마법 등을 펼치는 것

판타지 소설이나 무협 소설 등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 일상 생활에서는 전혀 쓰이지 않는 단어이고, 오로지 특정 장르의 대중 문학에서 등장하는 단어였으나 요즘은 게임에서까지 사용된다. 그리고 단어의 뜻을 몰라서 검색해보는 당신이 여기에 왔겠지

명사로는 '시전', 동사로는 '시전하다'인데, 실제로 이 시전하다는 단어의 한자가 생소하다보니 네이버 오픈사전에서는 始展, 施展 두 개를 써놓았는데, 사실 둘다 틀렸다.

정확한 한자는 보일 시(示)와 펼 전(展)을 사용하여 '시전(示展)'이라고 하는것이 맞는 표기법이다. 즉 '작품전시회' 운운할 때의 '전시(展示)'와 한자 순서만 다를 뿐, 그 의미는 '펼쳐 보임', '선보임' 정도로서 거의 비슷하다.[1] 흔히 이 단어가 일본에서 왔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은데[2], 사실 중국 무협 소설을 번역할때 걸맞는 단어가 없어 그대로 직역된 중국한문체이다.

영어로 Cast라는 단어를 '시전하다'라는 단어로 번역함으로써 판타지에서도 이 단어가 자주 나오게 되었다.

시전이라는 단어는 결국 (기술이나 주문을)외는 것, 혹은 읊는 것을 말하며, 동시에 그것을 결과로써 나타내는 것을 뜻한다.

주로 쓰이는 곳은 무공이나 특별한 기술, 혹은 마법을 사용할때이다. 게임소설의 경우 스킬이 이 경우에 들어가 '누구누구는 어떤 스킬을 시전했다더라'라는 단어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어쨌든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광범위하고, 딱히 전문적이지는 않아서[3] 전문용어가 아닌 이 '시전하다'라는 단어는 '시전 하다'라고 띄워쓰지 않는다고 한다.

나무위키에서도 이상하게 많이 사용되는 단어이다. '사용' '실시'등의 단어로 충분히 대체할 수 있는 문장에도 '시전'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유행어라서 인터넷에서 가벼운 글에 최근 자주 등장하지만, 표준어가 아니니 진지한 곳에서는 안쓰는게 좋다.

2 市廛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수도였던 개경/한양의 시가지에 있던 큰 시장. 지금의 동대문격. 서울 거주자가 수정바람

고려 시대에 경시서라는 기관이 물가 조절 및 상품의 종류를 통제했으며, 이는 조선 시대까지 이어졌다. 또한 "육의전"이라고 하여 명주, 종이, 어물, 모시, 삼베, 무명을 파는 전문상점이 커지게 되었다.

그러나 개항 이후 일본과 청나라의 상인들이 들어오면서 점차 빛을 잃고 쇠퇴하게 된다.

  1. '승전(勝戰)'과 '전승(戰勝)', '평화(平和)'와 '화평(和平)'의 의미가 비슷한 것과 마찬가지다.
  2. 심지어 한국에서 원래 안썼다고 악질적인 단어라고 매도하는 경우도 있다.
  3. 어떤 마법이나 스킬을 사용하든지 시전이라는 단어가 들어갈 수 있기에 전문적이지 않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