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분증

食糞症. 주로 소화기관에 문제가 있거나 먹이 사정이 여의치 않은 경우 자기나 남의 을 먹어 영양소를 재흡수 하려는 증상을 뜻한다.

토끼같은 경우에는 종 자체가 아예 식분증 본능을 갖고 있다.
햄스터는 부족한 탄수화물을 보충하기위해 1차로 배출한 똥을 다시 먹어 최종적으로 까만 똥을 배설한다.
그외에 또한 이러한 증상을 보인다. 길거리의 똥개는 그러러니 해도 시추를 비롯, 애완견까지 똥을 처묵처묵 하는 이유가 바로 이 식분증 때문. 하지만 위와 같은 이유 말고도 똥을 먹어 주인의 관심을 받고자 하는 관심병이거나, 맛을 들여 습관이 되다시피한 경우도 있다. 해결법은 무시 혹은 입마개를 채우거나 변마다 페퍼 스프레이 같은 걸 끼얹거나, 즉각즉각 치우는 방법 등이 있다.
요크셔 테리어 같은 종들은 자기 똥을 먹는 일이 적지만 고양이 똥을 먹는 경우는 있다.

인간 역시 이 병에 걸릴 수 있는데, 다만 생리적 필요에 의한 것이 아닌 호기심이나 스카톨로지같은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치료법은...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충분한 영양 섭취 혹은 심리치료나 교정으로 똥을 못먹게 만들면 된다.

삼국유사에서는 똥을 차지하려고 다투던 개 두마리를 보고 지증왕이 배필을 찾게 된다.

왕은 음경(陰莖)의 길이가 1척 5촌이나 되어 훌륭한 배필을 구하기가 어려워 사신을 삼도(三道)에 보내 배필을 구하였다. 사신이 모량부(牟梁部)에 이르렀는데, 동로수(冬老樹) 아래에서 개 두 마리가 크기가 북만한 커다란 똥 한 덩어리를 양쪽에서 물고 다투는 것을 보았다. 그 마을 사람들에게 물으니 어떤 소녀가 고하여 말하기를 “이것은 모량부 상공(相公)의 딸이 이곳에서 빨래를 하다가 은밀히 숲속에 눈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그 집을 찾아 그녀를 보니 신장이 7척 5촌이나 되었다. 이 사실을 왕께 갖추어 아뢰자 왕은 수레를 보내 그 여자를 궁중으로 맞아 들여 황후로 삼았고, 군신들은 모두 경하했다. 출처 : 삼국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