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アニメージュ
Animage
공식 사이트 : [1]
토쿠마 쇼텐(서점)이 발행하는 애니메이션 잡지. 1975년 무렵부터 불기 시작한 애니메이션 붐을 타고 1978년부터 발행하여 현존하는 애니메이션 잡지의 최고참. 매월 10일에 발행하는 월간 뉴타입, 아니메디아와 함께 3대 잡지로 꼽히고 있다. 1979년부터 매년 애니메이션 그랑프리라는 이벤트를 열고 있다.[1]
카도카와 쇼텐이 발행하는 뉴타입이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에 특화되어 있다면 아니메쥬는 주로 스튜디오 지브리의 애니메이션에 특화되어있다.[2] 특히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의 만화판이 연재된 잡지이기 때문에 나우시카의 인기가 아직도 상당히 높다. 물론 최근 수년간은 시들해진 감이 있긴 하나, 나우시카가 1982년부터 1994년까지 연재되었고 극장판은 1984년에 나온 것을 생각해보면 지금도 인기 순위 100위 안에 들 정도라는 건 상당히 놀라운 일이 아닐수 없다.
물론 뉴타입에 지브리 애니 관련 기사가 없고, 아니메쥬에 건담 관련 기사가 없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주얼적인 성향이 강한 뉴타입에 비해서 주로 작품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하고 제작자들의 인터뷰 기사가 많다는 것이 차이점이라 할 수 있겠다.
다른 두 잡지인 뉴타입, 아니메디아에 비해 여성향적인 성격이 강해 표지도 여성향 작품이 강세이며 당연히 특집 기사도 여성향 작품 위주이다. 인기 캐릭터도 주로 남성 캐릭터가 상위를 차지한다.
2 역사
1978년 5월 16일 창간되었으며 잡지명은 영어「animation」과 프랑스어「image」의 일본식 발음인 아니메이숀+이마쥬 = 아니메쥬. 작명가는 1대 편집장이었던 오가타 히데오(尾形英夫)이다. 그는 토쿠마 서점이 발행하는 《아사히 예능》이라는 주간지의 편집장이었는데, 아들도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 것을 보고 회사에 애니메이션 전문잡지 창간을 건의하였다. 당시 회사내에서는 그런 오가타 히데오를 '회사의 명물 괴짜 편집자'로 불렀다고 한다. 6개월동안 잡지의 창간 준비를 하던 중 부편집장과 대판 싸우고 그를 홧김에 짤라버린 오카다는 그 전부터 친분이 있던 아사히 예능부 기자였던 스즈키 토시오를 부편집장으로 불러온다. 당시 오카다는 《아사히 예능》편집장도 겸임한 상태여서 스즈키 토시오가 실질적인 잡지의 편집장 역할과 잡지의 운영을 맡게된다.
드디어 《아니메쥬》 창간호의 발행이 성사되었지만 중요한 문제가 남아있었다. 바로, 스즈키도 오가타도 애니메이션 분야에 대해서는 문외한이라 잡지에 어떤 기사를 실어야되는지 모른다는 것(...) 결국, 두 사람은 창간호 기획 회의를 할때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 여고생 3명을 불러서, 창간호에 어떤 기사를 싣는게 좋을지 물어봤고 그 결과 잡지 창간기사로 '지난 애니메이션 다시보기'라는 제목의 과거의 아니메를 재조명 하는 코너를 기획하게 된다. 그런데 이 여고생들이 비범한 것이 코너의 첫 대상으로 태양의 왕자 호루스의 대모험을 입을 모아 추천했다.
해당 기획의 취재를 위해 코너의 담당 스즈키 토시오는 애니메이션을 만들었던 타카하타 이사오와 미야자키 하야오에게 연락을 해서 절친해지게 되었고 이들은 후에 스튜디오 지브리를 설립하게 된다. 사실, 처음 스즈키 토시오가 전화로 해당 기획을 문의 했을때는 취재를 거절당했는데 스즈키 토시오가 루팡 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의 제작중인 스튜디오로 미야자키를 직접 찾아가자 인연을 맺게 되었다고 한다. 창간호의 가격은 대부분의 잡지가 200엔 하던 시절 580엔의 고가였음에도 7만 부가 3일 만에 완판되었다. 곧 《아니메쥬》는 인기 잡지가 되어 월 20만부 씩 발행하는 잡지로 성장했고 전성기에는 45만 부씩 찍었다.
그런데 스즈키 토시오가 개인적인 친분으로 이토록 대단한 애니메이터가 있다는 것을 세상에 알리기 위해, 미야자키 하야오 특집 기사로 40페이지를 실은 1981년 8월호는 호응을 얻지 못하고 40만부를 찍어서 발행해서 20만 부가 반품되어 돌아왔다. 일반 대중은 물론 애니메이션 팬들도 일부를 제외하고는 아직 그를 인식하지 못했던 때의 일이다.
만화영화의 마술사 미야자키 하야오 모험과 로망의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