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우야담

於于野談

조선 중기의 문신인 유몽인(柳夢寅. 1559∼1623)이 저술한 한국 최초의 야담집. 총 5권 1책으로 인륜, 종교, 학예, 사회, 만물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선 후기에 성행한 야담류의 효시이며 풍자적인 내용과 문체로 이루어져 있다. 조선 초중기 및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를 배경으로 한 설화들이 주 내용을 이루고 있다.

유몽인은 인조반정 직후 광해군과 사이가 틀어져 낙향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광해군의 총신으로 여겨져 어우야담을 정리하지 못한 채 아들과 함께 사형당했다. 그 때문에 온전한 판본은 없고, 30여 종에 이르는 판본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것은 1964년 이제현의 후손 유제한(柳濟漢)이 어우야담을 처음으로 정리해 다섯 권으로 인쇄해서 출판한 만종재본이다.

특히 유몽인 본인이 임진왜란을 경험한 세대이기 때문에 전란 속에서 고통을 받은 일반 백성들에 대한 이야기가 상당히 많이 쓰여져 있다.

내용 중에는 천주교에 대한 설명도 들어 있다. 정확히는 중국에 온 선교사인 마테오 리치가 저술한 천주실의에 대해 설명하면서 함께 천주교에 대해 설명한 것. 천주교의 교리와 교황 제도에 대해 설명하며, 조선의 유불선과의 비교한 평가도 있다. 물론 유몽인 본인이 성리학자인 관계로 천주교에 대해선 비판적인 논조가 강하다. 후대의 이익이 천주실의를 소개한 이후로 당대 학자들이 천주교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공격과 옹호를 했는데, 유몽인이 어우야담에서 쓴 천주교 비판은 이런 논의의 선두주자 격라고 할 수 있다.

이순신에 대한 일화도 수록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다음과 같다.

임진왜란 때 통제사 이순신이 한산도에 주둔하고 있었다. 이순신의 아들은 충청도에서 싸우다가 말에서 떨어져 죽었다. 이순신은 아들의 죽음을 모르고 있는데, 충청도 방어사가 왜적을 사로잡아 한산도로 압송해 왔다. 이날 밤 이순신의 꿈에 아들이 피투성이가 되어 나타나,

“잡아온 왜적 13명 속에 나를 죽인 적이 끼어 있습니다.”
고 말했다. 이어 아들이 죽었다는 부고가 왔다. 이순신이 잡혀온 왜적들에게,
“어느 날 충청도 어디에서 흰 무늬가 있는 붉은 말을 탄 사람을 너희들이 죽이고 그 말을 빼앗았는데, 지금 그 말이 어디에 있느냐?”
하고 추궁했다. 그러자 왜적 중 한 사람이,
“어느 날 흰 무늬 있는 붉은 말 탄 소년이 우리 군중으로 돌진해 3, 4명을 죽이기에 풀숲에 복병해 있다가 습격해 죽이고 그 말은 진장(陳將)에게 바쳤다.”
하고 대답했다. 이순신은 통곡하고 그 왜적을 죽이라 명하고는, 아들의 혼백을 불러 글을 지어 제사했다.

이 일화는 김훈의 소설 칼의 노래에서도 각색되었다. 다만 이순신의 아들로써 왜병에게 죽은 것으로 알려진 이면은 한산도가 아닌 명량 해전 이후에 죽었기에 시간대가 맞지 않다. 여담으로 이순신 본인은 유몽인을 별로 안 좋게 평가했다. 유몽인이 암행어사로 남쪽을 돌아다니면서 관리들을 심사하는데 임실현감 이몽상과 무장현감 이충길, 영암군수 김성헌, 낙안군수 신호를 파면해 내치고 순천부사 권준은 "탐관오리의 으뜸"이라고 조정에 보고하면서 담양군수 이경로나 나주목사 이순용, 장성현감 이귀, 창평현감 백유항 등에 대해서는 그들의 과오는 덮어놓은 채 상을 요청했다거나, 그리고 수군을 친척 가운데서 뽑는 것과 장정 넷 가운데 둘을 전장에 내보내는 안에 대해서 비난한 적이 있었다. 난중일기 갑오(1594년)일기 2월 16일자에 이 이야기를 언급하며

"국가의 위급한 난리는 생각하지 않고 눈앞의 일에만 몰두해 남쪽의 헛소리에만 귀기울였다. 나라를 그르치는 교활하고 간사한 말이 진회가 무목(악비)한테 한 짓과 다를 바 없다"

라고 혹독하게 쌍욕[1]비판을 해놨다.

돌베개에서 만종재본을 비롯한 30여 종의 이본을 대조하고 번역해서 완역본을 출판했다. 만종재본에 수록되지 않은 39화가 수록되었다.

필사본이 국립중앙도서관 및 서울대 규장각에 보관되어 있다.
  1. 쌍욕일 수 밖에 없는 게 이 당시 관점에서 진회와 악비의 평가가 어땠는지를 생각해보자. 이순신은 유몽인을 진회에 비유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