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는 사료가 부족한 만큼, 고구려의 연호로 추정하는 것들도 대부분 금석문에 남아있는 것들이다. 문헌사료에는 연호는 커녕 연호를 사용했다는 사실 조차 전하지 않는다. 중국에서 연호 사용 사실을 기록해준 발해와 신라와는 다른 특이한 점. 특히 발해의 연호는 중국이 그때그때 꼬박꼬박 기록해줬다. 그러다 발해 말기 일부 왕은 중국도 혼란기라 적어주지 못했다.
목차
1 고구려의 연호가 확실한 것
1.1 영락(永樂): 광개토왕
414년에 건립된 광개토왕비는 물론 408년에 건립된 덕흥리 고분에도 나온다. 교차검증이 된다! 이정도면 확인사살급. 고구려의 연호라는 근거를 더 언급할 필요가 없다. 특징을 좀 적자면, 한국 역사상 최초의 연호로 여겨진다. 지금까지 확인된 한국의 연호 중 이게 가장 이르다. 출처 사료도 408년 산으로 넘사벽으로 빠른 편. 고구려에서 최초 사용 연호인지는 불확실. 광개토왕비 등 관련 기록에 최초라는 언급이 없다. 명의 영락제도 같은 연호를 사용했다.
1.2 연가(延嘉)
연가7년명금동불상에 등장. 발굴지가 경남 의령이지만 명문에 아예 고려국이라고 써 있어서 이쪽도 확실하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언제 쓴건지는 아직 확실히 모른다.
2 고구려의 연호일 가능성이 높은 것
2.1 영강(永康)
1946년 평양에서 발굴된 금동광배 뒷면의 명문에서 확인. 명문에는 ‘永康七年’이라는 연호가 나타나 있으나 간지 부분이 마멸되어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다고 한다. 영강 연호를 사용한 중국 왕조는 많은데, 개중 이것과 한자까지 일치하는 것을 살펴보면 후한 환제, 서진 혜제, 후연 혜민제(모용보), 서진 문소왕(걸복치반) 정도가 있다. 이들중 7년 이상 사용한 것은 서진 문소왕 뿐인데 중국의 동쪽에 있는 고구려와는 달리 서진은 정반대편 서쪽에 있었기 때문에 굳이 고구려가 서진의 연호를 사용했을리는 없다. 그러므로 고구려의 연호일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
2.2 건흥(建興)
2.3 연수(延壽): 장수왕(?)
2.4 태화
3 고구려의 연호일 가능성이 있는 것
4 고구려의 연호일 가능성이 낮은 것
4.1 건시
4.2 태녕
4.3 백선 (또는 경□)
1930년 황해도 곡산에서 발견된 금동신묘명삼존불에 나타나는 명문을 바탕으로 파악한 것이다. 해당 불상의 명문은 다음과 같다.
景□四年在辛卯比丘 道國共諸善知識那婁賤奴阿王阿거五人共造無量壽佛一軀 (願亡師父母生生心中常値諸佛善知識等値遇彌勒所願如是願共生一處見佛聞法
곧바로 4년이라 기록된 것으로 보아 연호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나, 기본적으로 어떤 글자인지 판독이 안된다. 북한 학계의 주장인데, 무슨 근거인지 해당 부분을 白宣(백선)이라 판독한다고. 일단 위치상으로는 고구려의 것일 확률이 높지만 근거는 그게 전부다.
4.4 대흥
일본서기에 영양왕이 대흥왕이라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대흥이 연호라는 확실한 근거는 없다.
4.5 개화(開化)
엄밀히 따지면 굳이 여기에 서술하지 않아도 되는 연호(?). 등장하는 기록(사료가 아니다!)이 환단고기다. 물론 단순히 환단고기에만 나와서 적는게 아니라,그러면 안적지 위패산성 비문에도 나온다는데.... 문제는 이 위패산성 비문이라는게 공식적으로 전혀 확인되지 않은 자료다. 환단고기와 위패산성 비문에 의하면 보장왕 시기 연호라고.
자세한 것은 [1] 참조. 상당히 영양가있는 댓글이 많이 달렸으므로 그것까지 읽어보자.
기타 관련 게시물.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