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하나의 문제 또는 사건, 주장 같은 것을 서로 다른 시각에서 또는 여러 가지 자료를 토대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행해지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방법이다. 즉, 다른 자료[1]와는 모순되는 것이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영어로는 Crosscheck라고 한다.
2 사례
2.1 역사학
교차검증을 통해서 신뢰도가 없을 만한 자료도 신뢰성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의 대표적인 예가 사마천의 사기나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이다. 처음에는 단순한 개인의 일기로 취급됐는데 교차검증을 통해 난중일기의 기록이 정확하다는 것이 인정되자 역사적 사료로서의 가치를 얻게 된 것이다. 사마천의 사기 같은 경우 갑골문이나 유물, 비슷한 시대의 기록들에서 사기의 서술이 매우 정확하다는것이 교차검증으로 드러나면서 사기의 신뢰도 역시 상당히 높아젔다. 다만 이와 같이 어떤 사료가 신뢰성을 얻으려면 그만큼 교차검증도 많이 해야 한다. 단순히 한두 개 교차검증하고 신뢰도를 이만큼 획득할 수는 없다.
반면 교차검증이 되지 않아서 신뢰성을 잃는 사례로는 청산리 전투에 관한 기록들을 들 수 있다. 2000년대 초에 사이버 공간에서 국내의 네티즌들과 일본의 네티즌들이 이 문제를 놓고 치열하게 격론을 벌였던 적이 있었는데, 국내에는 청산리 전투에 대한 일본 측 관련 사료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지 않아서 많은 일본인들의 비웃음을 받으며 쫓겨나는 일이 종종 벌어지곤 했다. 다시 말해, 일본 측 내부 문건에 청산리에서의 전투로 패퇴했다는 기록, 부상자를 후송했다는 기록, 사상자를 신사에 안치했다는 기록, 병력이나 물자를 충원했다는 기록 등이 분명히 있어야 하는데 그런 게 없었다는 것이다.[2]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을 참고할 것.
어떻게 보면 역사학이란 분야의 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사실 역사학이 맨 처음 성립되었던 시기들의 고대 사서들을 보면 동서양을 막론하고 "내가 ~에 가서 ~라고 들었다"라는 식으로 되어있는 서적들이 굉장히 많은데, 이 교차검증이란 기술이야말로 역사학의 이러한 태생적 한계를 극복하는 데에 최적화되어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국사학계의 경우 대중적인 인식과는 달리 조선사를 전공하는 이들의 수가 압도적인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또한 교차검증의 조건과 관련이 있다.
2.2 기타 분야
역사기록 말고도 교차검증이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분야가 있다. 바로 북한에 관한 이야기이다. 북한이 워낙 폐쇄적일 뿐더러 북한 주민에게는 거주지 이전의 자유가 없다 보니 탈북주민도 자신이 살던 지역이 아닌 타 지역에 대해서는 모르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사람의 기억이 항상 정확하지도 않아서 여러 사람이 얘기하는 부분만 신뢰도가 높고 나머지는 해당 탈북자의 얘기가 사실인지 잘못 기억하고 있는 건지 거짓말인지 알 수 없기에 탈북자의 말이라고 해서 신뢰도가 그닥 높다고 할 수 없다.
애니메이션 쪽에서 교차검증을 제대로 하지 않고 후속 설정을 난립시키게 되면 여러 가지 모순에 휘말리게 되는데, 이 쪽으로 가장 악명높은 것이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의 MSV이다.
나무위키를 비롯한 모든 종류의 위키위키에서도 키배토론을 할 때 증거로 내밀 자신의 자료에 대해 가장 먼저 해봐야 하는 일이 교차검증이다. 그렇지 않으면 해당 자료가 정확도가 떨어지는 자료일 경우 순식간에 토론에서 밀려서 패배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