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물신

1 개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등장하는 신들 중 하나. 담당 성우는 하야시 고바.

치히로가 욕탕에서 맞이한 첫 손님이다. 말 그대로 오물로 둘러싸인 신. 몸에서 나는 그 악취에 모두가 경악했고,[1] 치히로도 코를 틀어막지만 유바바[2]는 "손님에게 실례다!"라는 말을 한다.[3] 심지어 이 들고오는 밥마저 썩을 정도의 악취다! 더러우니까 욕탕에 오는 거니 어쩔 수가 없잖아 게다가 덩치도 커서 욕탕에 들어가니 오물에 오염된 물이 흘러넘쳐서 그야말로 온천의 재앙 수준으로 변한다. 심지어 주는 돈도 오물 투성이. 그런데...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2 사실

실은 오물신이 아니었다. 원래 유명한 강의 신이었는데 하쿠와 동족이라고 보면 된다. 하지만 하쿠는 애초에 아파트 공사로 묻혀 버릴 정도로 작은 강의 신이었지만 이 신은 유바바도 놀랄 정도로 거대한 강의 신으로 추정된다.

강에 버린 쓰레기가 뒤엉켜 오물로 몸이 뒤덮혀진 것. 치히로가 목욕을 시키던 중 몸에 무언가 꽂혀 있는 걸 발견하고 빼내려고 하자 아파한다.

그 뒤 유바바가 온천 직원을 대거 동원해 줄다리기를 해가며 결국 그것을 뽑아내는데, 알고보니 그건 폐자전거였던 것. 그 자전거와 더불어 몸에 엉켜있던 온갖 오물과 쓰레기가 빠져나오면서 쓰레기로부터 해방되고, 결국 본래 모습인 강의 신의 모습을 되찾는다.

이때 나온 본래 얼굴은 (일본 전통 가면극)에 나오는 노인 가면의 모습을 하고 있다. 치히로에게 고맙다는 말을 하고는 호쾌한 웃음소리와 함께 온천을 떠났다. 이후 욕탕은 그의 몸에서 쏟아져 나온 쓰레기로 뒤덮히지만, 그와 함께 여기저기 사금을 쏟아놓고 갔기에 큰 손해는 없었다.
유바바가 직접 크게 흑자를 봤다고 말했다. 애초 적자가 날 수가 없는 구조이다. 현실에서 쓰레기로 인한 손해는 폐기물 처리비용과 청소에 들어가는 인건비로 인한 것인데, 어차피 종업원들이 치울 테니 추가 인건비가 나올 일도 없고. 현실세계처럼 쓰레기를 버리는 데 돈을 지불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
특히 치히로에게는 경단 하나를 주고 떠났는데, 가마 할아범이 "쓴 경단"이라고 부르면서 놀라는 모습을 보면 아주 귀중한 영약인 것으로 추정된다. 작중 활약을 보면 거의 만병통치약+엘릭서+성수급.

파일:/storage/upload/2010/11/19/07820936 1290673969.jpg

등장 자체는 짧지만 그 시각적 임팩트(...)와 허허헣허하는 웃음소리가 너무도 강력했고, 이후 그가 뿌려놓은 사금을 가지고 기뻐하는 온천 직원들을 본 가오나시가 나중에 가짜 사금을 뿌리며 행패를 부리게 하는 원인제공을 하기도 했고, 이후 치히로가 그가 준 경단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즉 어떻게 보면 후반의 내용전개의 상당수가 이 강의 신에 의해 진행된 것이라고 볼 수도 있기에 상당히 중요한 등장인물 신이다.

더불어 똑같이 인간에게 큰 피해를 본 강의 신임에도 불구하고 하쿠와 모습이 판이하게 다른(...) 이유가 불명인데, 아무래도 자연이 파괴된 이후 고향을 떠난 하쿠와 달리 오염되는 고향에 계속 남아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결과적으로는 같은 용족이지 않나 강의 신이 오염되어 오물신의 모습으로 등장하는 점에서 볼 때 인간에 의해 오염된 자연을 상징하는 존재.
  1. 이녀석이 오고있을때 급하게 달려나온 한 종업원이 이번 오물신은 남산만한 오물신이라고 보고하기도.
  2. 참고로 가오나시를 치히로가 들여보냈을 때 유바바가 그 이상한 기운을 느꼈는데, 오물신 때문에 그대로 묻혀버렸다. (다만 유바바는 오물신의 기운은 아니라면서 묘하다고 한다.)
  3. 그런데 저 정도로 더러운 손님이 목욕탕에 오면 다른 손님들은 목욕을 할 수가 없어서 장사가 안 될텐데, 끝까지 오물신을 거절하지 않고 손님대접하는 것을 보면 나름 대단한 할멈이다.